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31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Extra Form
extra_vars1 20090318233543_0_s3.jpg|||20090318233543_1_s4.jpg|||20090318233543_2_s5.jpg|||20090318233543_3_s6.jpg||||||||||||
extra_vars2 |||||||||||||||||||||||||||||||||||||||||||||||||||||||||||||||||||||||||||||||||




미국발 금융 위기로 전 세계 경기가 초토화된 이 시점에서 새삼 미국의, 또 전 세계의 금융 중심지인 뉴욕의 월스트리트(Wall Street)를 바라보게 된다. 한 때는 전 세계 경제를 쥐고 흔들었던, 현대 자본주의의 표상으로 막대한 부를 창출하며 수 많은 이들에게 달콤하고 화려한 유혹을 선사했던 월스트리트.

필자 개인적으로 2002년도에 뉴욕을 방문했을 때 고층 빌딩숲이 우거진 월스트리트를 거닐었던 적이 있었다. 당시만 해도 세상 물정 모르던 시절이라 그냥 여기가 월스트리트구나 하면서 거닐고 사진 몇 장을 찍었을 뿐, 월스트리트가 실제 어떤 곳인지, 무엇을 하는 곳인지, 어떤 상징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무지했다.

지금은 전 세계로부터 금융 위기의 주범으로 지탄 받으며, 날마다 많은 이들이 일자리를 잃고 있다는 우울한 소식이 들려오는 그곳은 결국 현대 자본주의에 눈먼 인간들이 허황되게 쌓아올린 바벨탑이었을까?

평범한 근로자들은 평생 만져볼 수 없는 엄청난 규모의 돈이 움직이는 곳, 그리고 어쩌면 그 돈의 논리와 힘이 그 어느 곳보다 막강한 곳, 한 사람의 인생을 역전시키는 곳, 영화의 소재로써 월스트리트는 정말 매력적이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의외로 월스트리트를 소재, 배경 혹은 주제로 삼고 있는 영화들은 의외로 많지 않다. 그것은 아마도 월스트리트를 영화로 담아내기 위해 필요한 지식이나 경험은 실제 월스트리트 근무 경험자가 아니고서는 갖기 어렵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90년대, 2000년대 들어서 월스트리트를 담은 영화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고, 그나마 8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두 편의 영화가 제법 월스트리트를 잘 담아내고 있는 것 같아 오늘은 그 두 작품을 소개하려 한다. 오락성도 상당히 갖추고 있는 작품들이라 이미 많은 이들이 봤겠지만, 요즘의 금융 위기와 초췌해진(?) 월스트리트의 현재 모습을 떠올리며 다시 한 번 감상해보면 좋을 것 같다.


월스트리트(Wall Street, 1987)

거장이라는 수식어가 조금도 아깝지 않은 올리버 스톤 감독의 1987년도 작품으로, 아마 월스트리트를 제대로 다룬 유일한 작품이 아닐까 싶다, 제목 자체가 ‘월스트리트’인 점도. 젊고 순수한(?), 그러나 야망에 불타는 증권 브로커가 월스트리트 증권 거물의 총애를 얻으면서 월스트리트에 입성한다. 그러나, 막상 월스트리트에 입성한 젊은이는 그들의 세계, 그들의 속성에 물들어가면서 점점 영혼을 잃어버리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고 갈등하는데...

이미 올리버 스톤 감독의 걸작 ‘플래툰’에서 월남전에 참전한 순진한 초년병 역으로 열연했던 찰리 쉰이 무대만 월남전 전쟁터에서 월스트리트로 바뀐 채 유사한 느낌으로 연기하고 있으며, 월스트리트의 거물로 등장하는 마이클 더글라스는 이 역할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을 만큼 완벽하게 배역을 소화하고 있다.

영화는 사람들이 일확천금의 꿈을 안고 뛰어드는 월스트리트라는 세계가 과연 그렇게 좋기만한 곳인지, 그곳이 과연 인간에게 참된 행복을 선사할 수 있는 곳인지, 화려해만 보이는 월스트리트의 이면과 인간의 가치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워킹 걸(Working Girl, 1988)

더스틴 호프만이 주연한 ‘졸업’으로 유명한 마이크 니콜스 감독이 1988년 연출한 ‘워킹 걸’은 월스트리트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이다. 월스트리트의 증권회사에서 비서로 일하는 테스는 똑똑하고 꿈많은 여성, 그러나 우연한 계기로 여상사인 캐서린이 사고로 병원에 입원하면서 테스는 비서가 아닌 상사인 캐서린의 역할까지 감당하게 된다. 일개 비서였던 테스는 금융 전문인으로 가장하여 중요한 비즈니스를 추진하게 되고, 캐서린의 애인인 잭과 사랑에 빠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 사실을 발견한 캐서린은 테스의 정체를 폭로하고 나서는데...

천대 받던 비서가 커리어 우먼으로 멋지게 재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 이 영화는 한편으로는 우연을 가장한 신데렐라 이야기의 아류로 읽혀질 수도 있겠다. 그러나, 이 영화는 월스트리트 세계에서 여성들이 엮어내는 이야기, 그리고 여성 또한 놀라운 능력과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과, 꿈과 재능을 지닌 인물이 결국 기회를 잡아 성공하는 아메리칸 드림까지 다양한 코드들을 흥미롭게 풀어내고 있다.

영원한 인디아나 존스 해리슨 포드는 능글맞은 비즈니스맨을 그럭저럭 소화하고 있으며, 나름 악역으로 볼 수 있는 시고니 위버의 연기는 매우 뛰어나다. 최근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메릴 스트립의 배역과 비교해 보면 흥미로울 듯. 무엇보다 이 영화는 그다지 큰 주목을 받지 못했던 금발 미녀 멜라니 그리피스를 마치 영화 속 테스처럼 재탄생 시키며 그녀의 최고 주연작이 되었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1 모든 것이 감시되는 세상, ‘에너미 오브 스테이트(Enemy Of The State)’ file 한인신문 2009.04.16 4527
250 연휴 기간 극장 나들이 추천작 file 한인신문 2009.04.09 3191
249 인간 본성의 위험한 실험, ‘엑스페리먼트(Das Experiment)’ file 한인신문 2009.03.30 5580
248 영국의 무서운 10대들, ‘이든 레이크(Eden Lake)’ file 한인신문 2009.03.26 5329
» 지난 날의 월스트리트를 보고 싶다면... file 한인신문 2009.03.18 2312
246 13일의 금요일, 제이슨이 부활했다 file 한인신문 2009.03.12 3952
245 거부할 수 없는 유혹, 그러나... file 한인신문 2009.03.05 1900
244 대니 보일, 드디어 세계 영화계 평정 file 한인신문 2009.02.26 2328
243 무엇을 걸고 무엇을 얻을 것인가? 영화 속 도박 file 한인신문 2009.02.18 2295
242 미인도, 영상으로 가릴 수 없는 설득력의 부재 file 유로저널 2009.02.07 1851
241 놓치지 말아야 할 최근 개봉작 세 편 file 유로저널 2009.01.31 2513
240 시네마 천국을 꿈꾸며... file 유로저널 2009.01.25 1600
239 오바마 대통령 시대에 다시 보는 ‘미시시피 버닝’ file 유로저널 2009.01.17 3623
238 사랑의 블랙홀(Groundhog Day) file 유로저널 2009.01.11 2116
237 흐르는 강물처럼(A river runs through it) file 유로저널 2009.01.05 3148
236 그들의 21세기 연출작을 기다리며 (8) 김영빈 file 유로저널 2008.12.19 2116
235 그들의 21세기 연출작을 기다리며 (7) 김성홍 file 유로저널 2008.12.13 1572
234 그들의 21세기 연출작을 기다리며 (6) 장선우 file 유로저널 2008.12.07 2077
233 그들의 21세기 연출작을 기다리며 (5) 정지영 file 유로저널 2008.12.02 1687
232 그들의 21세기 연출작을 기다리며 (4) 곽지균 file 유로저널 2008.11.23 1454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 1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