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박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부정평가가 긍정평가 앞질러

by eknews posted Nov 03,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박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부정평가가 긍정평가 앞질러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반 여론이 정치적 쟁점화 되면서,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와 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 여론이 수렴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국회 시정연설을 하면서 국정화 찬성 여론이 소폭 상승해서 44.8%를 기록한 반면,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소폭 하락하면서 44.5%를 기록, 거의 같은 수치를 기록했다. 부정평가 역시 50%로,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여론(50%)와 동일한 수치를 나타내, 부정평가와 국정화 반대 여론 역시 수렴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한일 정상회담, ‘한일중 정상회의’ 소식이 전해지면서 긍정적 요인이 전해졌지만, 야당의 장외집회와 역사학자, 전교조의 시국선언 등 각종 국정화 반대행동이 확산되면서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의 지지율은 2주 연속 동반 하락한 반면, 새정치연합의 지지율은 반등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의 주간집계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 140주차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44.5%(매우 잘함 17.7%, 잘하는 편 26.8%)로 2주 연속 하락했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50.0%(매우 잘못함 35.7%, 잘못하는 편 14.3%)로 8월 3주차(54.2%) 이후 10주 만에 처음으로 50%대를 넘어섰다. 

1018-정치 2 사진.jpg

박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은 중도층(▼5.4%p)과 진보층(▼3.3%p), 새정치연합 지지층(▼4.0%p)과 무당층(▼4.8%p), 30대(▼5.1%p)와 40대(▼4.9%p)에서 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부의 ‘국정교과서 추진 비밀 TF팀’ 운영 논란이 불거지고 야당의 장외집회와 전교조의 시국선언 등 일련의 조직적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행동이 확산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보수층(▲3.9%p)과 새누리당 지지층(▲2.4%p), 대전·충청·세종(▲5.1%p)에서는 박 대통령의 지지층이 오히려 결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지지도에서는 새누리당의 지지도는 중도·진보층, 영남권·충청권, 3040세대에서는 하락한 반면, 보수층, 서울, 60대 이상에서는 상승해  40.6%로 2주 연속 하락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국정교과서 반대 여론이 계속 이어지면서 중도층과 중도보수층, 영·호남, 경기·인천, 2040세대 중심으로 상승해 27.2%로 다시 20%대 중후반으로 올라섰다. 정의당은 0.9%p 하락한 4.8%를 기록했고 무당층은 1.9%p 감소한 23.9%였다.

여야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에서는, 박 대통령의 시정연설을 지지하고 역사교과서 국정화 행보를 공세적으로 이어간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대통령 지지층(▲5.8%p), 새누리당 지지층(▲4.5%p), 보수층(▲4.9%p) 등 3대 핵심 지지층을 결집시키며 22.5%로 3주 연속 상승, 18주 연속 선두를 유지했다. 하지만 김 대표의 지지율은 선친의 친일행적 논란에 전면적으로 반박에 나섰던 주 중후반부터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는 ‘역사교과서 사회적 논의기구’ 제안 등, 연일 국정화 반대 행보를 이어가며 19.0%로 2위를 유지했다. 문 대표는 서울(17.7%)에서 김무성 대표에 밀려 2위로 내려앉았으나 경기·인천(21.5%)에서는 김 대표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섰고, 20대(27.9%), 30대(27.3%), 40대(25.8%)에서 선두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자리 대장정’ 행보를 계속 하고, 서울 브랜드 선포식을 가진 박원순 서울시장은 광주·전라(▲9.1%p)와 새정치연합 지지층(▲9.3%p)에서의 강세로 3.2%p 오른 15.8%로 2주 연속 상승하며 문재인 대표와의 격차를 오차범위 내인 3.2%p로 좁히며 3위를 이어갔다. 박 시장은 광주·전라에서 30.0%의 높은 지지율로 선두를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선보인 서울 브랜드에 대해 당내에서조차 찬반 양론이 나오고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상승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오세훈 전 시장은 6.3%로 0.6%p 하락했지만 안철수 전 공동대표를 제치고 조사에 다시 포함된 올해 7월 5주차 이래 약 3개월 만에 처음으로 4위로 올라선 반면, 안철수 전 공동대표는 1.3%p 하락한 6.2%로 오세훈 전 시장에 밀려 올해 5월 3주차 이후 약 5개월 만에 처음으로 5위로 내려앉았다. 안희정 지사는 0.33%p 상승한 3.83%로 두 계단 올라선 6위를 기록했다.
이어 김문수 전 지사가 1주일 전과 동일한 3.8%,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0.8%p 하락한 3.7%, 홍준표 지사가 0.2%p 상승한 3.0%, 정몽준 전 대표가 0.7%p 하락한 2.5%, 남경필 지사가 0.8%p 하락한 1.5%, 심상정 정의당 대표가 1.1%p 하락한 1.2%를 기록했다. ‘모름/무응답’은 1.2%p 감소한 10.7%.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