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미국 유력지 <뉴욕 타임스> 사설,

제목: ‘한국 정부, 비판자들을 겨냥하다’



“민주주의적 자유를 박근혜 대통령이 퇴행시켜려고 골몰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우려스럽다”고 강하게 비판



11월 19일 뉴욕타임즈 사설 전문 해석본

한국인들은 세계적인 산업 강국으로 일어선, 가난뱅이에서 부자가 된 경제발전 만큼이나 독재로부터 활력있는 민주주의를 일궈낸 것에 대해 자랑스러워할 만하다. 이런 이유로, 낮과 밤처럼 확연하게, 북한의 꼭두각시 체제와 한국을 구별해주던 민주주의적 자유를 박근혜 대통령이 퇴행시켜려고 골몰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우려스럽다.


지난주, 수만명의 한국인들이 두가지의 억압적인 정부 조처에 항의하기 위해 거리로 나왔다. 하나는 한국의 교육자들이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역사 교과서를 정부가 발행하는 교과서로 대체하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한국의 족벌 대기업이 노동자들을 더 쉽게 해고할 수 있도록 노동법을 개정하는 것이다.


박 대통령은 또한 소셜미디어와 인터넷에서의 비판이나 반대의견을 통제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지난 토요일에는 한국의 가장 인기있는 메시징 앱(카카오톡)의 공동대표였던 이석우씨가 사임했다. 그는 10대들의 음란물 사진 게시를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기소됐다. 그러나 비판적인 사람들은 정부의 감시 시도에 저항하고, 정부에 비판적인 사용자들의 의견을 제한하기를 거부한 것에 대한 처벌이 (기소의) 진짜 목적이라고 주장한다.




4- 1021-정치 1 사진.jpg




박 대통령은 식민지시대 일본 제국주의의 장교였으며, 1961년부터 1979년까지 군사독재자였던 박정희 장군의 딸이다. 박 대통령이 학생들에게 한국 역사, 특히 민주주의적 자유가 산업화에 방해물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던 시기에 대해 왜곡미화된 버전을 가르치게 하려고 한다. 이러한 동기 중의 일부는 그의 아버지에 대한 이미지를 복원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 경제는 올해 메르스 호흡기 질환의 유행과 중국 및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수요 감소로 상당한 타격을 입었다. 그러나 해외에서 한국의 평판에 대한 가장 큰 위험은 경제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적인 것으로, 주로 역사를 다시 쓰고 비판자들을 억압하는 박 대통령의 가혹한 조처들이다.



국내 보도 자료 인용한 

“박근혜 정부, ‘독재자의 딸’ 기사 낸 美매체 수차례 항의”




“박근혜 정부, ‘독재자의 딸’ 기사 낸 美매체 수차례 항의” 기사의 사진
뉴욕 총영사가 박근혜 정부 비판 기사를 낸 미국 매체에 수차례 항의한 사실이 전해졌다.
지난 2일(한국시간) 미국 주간지 더 네이션(The Nation)이 게재한 ‘독재자의 딸이 노동자를 탄압하다’라는 제목의 기사에 대해 뉴욕 총영사관 관계자가 수차례 항의전화를 했다고 5일 외신번역매체 뉴스프로가 전했다.

이 같은 사실은 해당 기사를 작성한 팀 쇼락 기자의 페이스북 글을 통해 처음 알려졌다.
쇼락 기자는 “기사에 대해 박근혜 정부가 언성을 높이며 항의했다는 소식을 편집장에게 전해 들었다”며 “한 통이 아니라 여러 통의 전화를 걸어왔다. 직접 만나서 논의하자는 내용의 메일도 보내왔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기사 내용 사실 관계에 오류가 있다는 지적은 없었다”면서 “그저 막연하게 ‘한국이 지난 40년간 이룬 굉장한 발전’ 어쩌고 하는 말만 늘어놨다”고 덧붙였다. 

쇼락 기자는 이후 뉴스프로와의 인터뷰에 응했다. 그는 한국 정부의 항의 방식에 대해 “아주 특이하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만일 내가 한국의 조그만 잡지에 기사를 썼는데 미국 정부가 편집장에 전화를 걸어 불평하는 것을 상상이나 하겠나? 외교관이 하는 일이 이런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날 진행된 제2차 민중총궐기 대회에서 경찰의 차벽과 물대포가 보이지 않은 것에 대한 생각도 밝혔다. 쇼락 기자는 “일단 집회가 합법이라는 법원 판결이 있었고, 1차 집회 때 보여준 공권력은 과잉진압이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후 정부는 비웃음거리가 됐고, 대통령의 복면 발언으로 인해 더 많은 비난을 받았기 때문일 것”이라고 봤다. 

논란이 된 ‘독재자의 딸이 노동자를 탄압하다’ 기사에는 “노동자와 시민들을 탄압하는 박근혜 대통령의 행동은 그의 아버지를 떠올리게 한다”며 “1979년 박정희 대통령 역시 노동환경 개선과 임금인상을 위해 노력하던 학생과 노동자를 야만적으로 억압했다”는 내용이 실렸다. 

팀 쇼락 기자 페북 글 전문. 

더 네이션 잡지 편집장이 이번 기사에 대해 박근혜 정부가 언성을 높이며 항의했다는 소식을 지금 막 알려줬다: 
(Just got a note from my editor at The Nation saying the Park government has complained to them vociferously about this article:) 

“뉴욕 총영사관 측은 한 통이 아니라 여러 통의 전화를 건 뒤, 우리 잡지사 사무실에서 만나 당신 기사에 대해 ‘논의’하자는 이메일도 보냈다. 나와 통화한 그 사람은 자세한 이야기도 없었고 사실관계에 오류가 있다는 지적 혹은 주장 같은 것도 하지 않았다. 그저 막연하게 ‘한국이 지난 40년간 이룬 굉장한 발전’ 어쩌고 하는 말만 늘어놨다.” 
(“I received an e-mail, followed up by an phone call?actually, a spate of phone calls?from the Korean Consulate General here in New York wanting to have a meeting, in our office, with me ‘to discuss’ your article. The man I talked to on the phone did not go into any details, nor did he point out?or even claim?that there were factual errors. Just vague words along the lines of the ‘remarkable progress Korea has made over the past four decades.'”) 

이 기사를 신속하게 한국어로 번역해서 널리 퍼뜨려준 네티즌들에게 감사하다. 말은 힘이 있다. 아마 오바마 대통령도 귀를 기울일지 모르겠다. 
(Thanks to the Korean netizens who immediately translated the article into Korean and spread it far & wide! Words have power. Maybe even President Obama can listen.)
















유로저널광고

  1. 해외 병역기피자 입국금지 및 국적 회복 불허법 발의

    Date2020.12.19 Category사회 Views204825
    read more
  2. 선천적 복수국적자 국적선택신고 안내 -외국국적불행사 서약 방식- (2023년 5월 수정안 제시)

    Date2019.01.07 Category사회 Views317296
    read more
  3. 5월부터 41세 미만 병역미필자는 재외동포 비자 발급제한

    Date2018.02.19 Category사회 Views328270
    read more
  4. 병역 미필자는 국적 회복 불허, 해외 병역대상자 40세로 !!!

    Date2017.06.20 Category사회 Views368813
    read more
  5. 10억 넘는 해외금융계좌 내국인과 일부 외국인 신고 안 하면 과태료율 40%

    Date2016.05.31 Category사회 Views403036
    read more
  6. 재외국민 국내거소신고제도 폐지에 따른 재외국민 주민등록증 발급 안내

    Date2016.05.22 Category사회 Views415837
    read more
  7. 병역 의무 회피나 감면 목적 외국 여행이나 유학 후 미귀국시 강력 처벌

    Date2016.02.22 Category사회 Views399859
    read more
  8. 재외동포, 입국시 자동출입국심사 가능한 반면 지문정보 제공 필수

    Date2015.11.23 Category사회 Views397510
    read more
  9. 재외국민 선거, 법 위반하면 국적에 관계없이 처벌 받는다.

    Date2015.11.17 Category사회 Views403798
    read more
  10. 재외동포 등 외국인 입국 즉시 공항에서 휴대폰 개통 가능

    Date2015.10.01 Category사회 Views401042
    read more
  11. 한국 국적 포기자, '최근 3년간 5만명 육박,병역기피자도 증가세

    Date2015.09.23 Category사회 Views413066
    read more
  12. 국내 주민등록자, 해외 재산·소득 자진 신고하면 처벌 면제,10월1일부터 6개월간

    Date2015.09.22 Category사회 Views393894
    read more
  13. 2007년 출생 선천적 복수국적자,2025년 3월31일까지 국적이탈 신고해야 (18세 이전 이탈 가능); 2023년 5월 수정안 추기 게시)

    Date2015.07.19 Category건강 Views423546
    read more
  14. <뉴욕 타임스> 사설 : ‘한국 정부, 비판자들을 겨냥하다’ ( 한국 정부 항의문에 대한 글 포함)

    Date2015.11.24 Category정치 Views2084
    Read More
  15. 정동영,텃밭 전주대신 부산 영도 출마 선언

    Date2012.01.18 Category정치 Views2084
    Read More
  16. 이재오, ' 대권엔 생채기, MB엔 눈도장’

    Date2010.12.15 Category정치 Views2082
    Read More
  17. [정치] 북핵문제 해결없이 남북한 경협 한계

    Date2009.11.15 Category정치 Views2082
    Read More
  18. ‘박근혜. 최순실 게이트’에 이재명 성남시장 급부상 **

    Date2016.11.22 Category정치 Views2080
    Read More
  19. 문재인 의원, 지역구 불안감에 부산에서 수도권 이전 고려중

    Date2014.10.21 Category정치 Views2079
    Read More
  20. [정치] 북한 후계체제 취약해, 극단적 행동 가능성 높아

    Date2010.11.08 Category정치 Views2079
    Read More
  21. [정치] 여당 패배 원인, 4대강> 북풍> 세종시 順

    Date2010.06.16 Category정치 Views2079
    Read More
  22. 새누리 정두언, 원유철 원내대표는 '영원한 간신' 원색 비난

    Date2016.04.19 Category정치 Views2078
    Read More
  23. 패자아닌 패자 박지원, 비노계와 호남 지지로 위상 상승

    Date2015.02.17 Category정치 Views2077
    Read More
  24. 차기대권, 박원순과 안철수 상승하고 김무성 하락

    Date2014.09.23 Category정치 Views2074
    Read More
  25. 야권 단일화, ‘어게인(Again) 2012’ 여부에 벌써부터 신경전

    Date2016.09.13 Category정치 Views2073
    Read More
  26. 나경원, '반민특위'가 국론분열 원인 주장에 국민들 비판 높아

    Date2019.03.20 Category정치 Views2072
    Read More
  27. 새누리당과 야권 통합 세력 지지율 동률

    Date2012.03.23 Category정치 Views2072
    Read More
  28. [정치] 야 4당, 추미애 국회 윤리위 제소

    Date2010.01.13 Category정치 Views2071
    Read More
  29. 촛불민심에 역행하는 친박계, '아직도 수준낮은 종북타령' ***

    Date2016.12.06 Category정치 Views2069
    Read More
  30. 쑥대밭 된 국민의당 총선 전 공중분해론 급부상

    Date2016.03.01 Category정치 Views2069
    Read More
  31. 황교안, 대정부 질의 때와 달리 靑 압수수색 거부

    Date2017.02.08 Category정치 Views2067
    Read More
  32. [정치] 아프간에 2년 6개월간 350명 이내 재파병

    Date2009.12.09 Category정치 Views2066
    Read More
  33. [정치] 야권, 추모정국 군불지펴 지방선거 승리노려

    Date2010.03.17 Category정치 Views2064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94 Next ›
/ 9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