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한-인도 CEPA 발효 1년,양국 교역량 대폭 증가

by 유로저널 posted Jan 05,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한-인도 CEPA가 2010년 1월1일부터 발효한 이래  對인도 교역량이 지난 11월 말까지 11개월동안 45%이상 서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CEPA(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란 상품교역, 서비스교역, 투자, 경제협력 등 경제관계 전반을 포괄하는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 채택된 용어로써, 실질적으로 자유무역협정(FTA)과 동일한 성격을 띠고 있다.
외교통상부가 지난 12월 30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한-인도 CEPA가 발효한 이후 11개월간 對인도 교역량은 44.5% 증가한 156억불, 수출은 45.3% 증가한 104억불을 기록하여, 2010년도에는 對인도 교역량과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갱신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對인도 교역량 최대치는 2008년 156억불이었으며 같은 해 수출 최대치는 90억불이었다.
한-인도 CEPA 발효 후 지난 11개월 동안 품목별로는 석유화학합성원료(214.4%), 선박(151.5%), 자동차부품(43.1%), 합성수지(42.3%) 등의 수출이 대폭 증가 했으며,  수입은 알루미늄(505.1%), 아연(264.0%), 합금철(163.8%), 면사(81.7%), 나프타(45.5%) 등의 품목이 대폭 증가했다.

이외에도, 한-인도 CEPA 발효 이후 11개월간 인도인의 국내 입국이 전년대비 23.1% 증가하고, 카레의 주성분인 강황의 對인도 수입이 75.6% 증가하는 등 양국간 인적교류와 친밀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입국한 인도인 수는 37,580명(2009.1~11월)에서 46,276명(2010.1~11월)으로 크게 증가 했으며,국내에 체류 중인 인도인은 2010년 11월 기준으로 총 7,547명이며, 이 중 취업인력인 1,569명의 대다수가 IT전문가·석박사 등 전문인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인도 양국은 CEPA 발효이외에도 2010년 1월 25일 인도 뉴델리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관계’로 격상하기로 합의하여 양국간 본격적인 협력의 발판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교류와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내년 중 인도 내 한국문화원을 신설하고 내년을 ‘한-인도의 해’로 지정하여 양국 문화교류를 활성화해 나가기로 양국간 합의하는 등 향후 양국간 교류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유로저널 이상협 기자
eurojournal07@eknews.net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eknews.net>

www.eknews.net는 최대발행부수와 최대발행면을 통해
전유럽 16 개국 한인사회로 유일하게 배포되고 있는 주간신문 유로저널의 홈페이지입니다.
기사 제보를 비롯한 광고 문의 등은 아래 연락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44 (0)208 949 1100, +44 (0)786 8755 848
eurojournal@eknews.net 혹은 eurojournals@hotmail.com
유로저널광고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