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외국인주민 100만명 시대 진입, 전년도 대비 24% 증가

by 한인신문 posted Aug 11,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외국인주민 100만명 시대 진입, 전년도 대비 24% 증가
해당 지자체 전체 인구의 5% 이상이 외국인인 곳이 15 개지역으로 증가중



한국 내 외국인 거주인구가 2006년 첫 조사 이후 매년 증가해 처음으로 100만명을 넘어섰다.

행정안전부는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09년 5월 1일 현재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은 1,106,884명으로 주민등록인구(49,593,665명)의 2.2%이며, 2008년 891,341명보다 215,543명이 증가(24.2%)하였다.

여기서 외국인주민은 90일 초과 체류 외국인, 대한민국 국적 취득자, 그 자녀들을 말한다.

이번 외국인주민 현황조사는 통계의 신뢰성·정확성 제고를 위해 법무부 등 관련부처 합동으로 지난 5월 한 달간 시군구별로 관련 시스템(외국인등록정보·주민등록·가족관계등록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전체 외국인주민 중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는 925,470명(83.6%)이고, 한국국적 취득자는 73,725명(6.7%)인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기존 조사시 파악이 곤란해 이번 조사에서 가장 중점을 두었던 외국인주민 자녀는 107,689명(9.7%)으로 조사되었다.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 중 외국인근로자가 575,657명으로 전체 외국인주민의 52%를 차지했고,결혼이민자는 125,673명(11.4%)으로 나타났다.

유학생은 77,322명(7%), 국내거소신고 재외동포 수는 43,703명(4%), 기타 외국인 103,115명(9.3%)이며, 한국국적 취득자 중 혼인귀화자는 41,417명으로 3.7%, 기타사유 취득자는 32,308명으로 2.9% 로 조사되었다.

국적별로는 조선족을 포함한 중국이 56.5%(624,994명)로 가장 많고, 동남아 21.2%, 미국 5.4%, 남부아 3.9%, 일본 2.4%, 대만·몽골 2.1% 순이다.

중국국적자중 조선족은  2008년에 비해 65,221명 증가한 443,566 명으로 중국국적자의 71%, 전체 외국인주민의 40.1%에 해당한다.

지역별로는 서울 30.3%, 경기 29.3%, 인천 5.6% 등 수도권에 집중(65.2%)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주민등록인구 대비 외국인주민이 5% 이상인 시군구는 15개로서 2008년(11개)보다 4개가 증가하였다.


* <서울> 영등포(11%)·금천(9.1%)·구로(8.2%)·중구(8.2%)·용산(7.0%)·종로(6.5%) <부산> 강서(7.1%) <인천> 중구(5.1%) <경기> 포천(6.4%)·안산(5.9%)·김포(5.7%)·화성(5.3%) <충북> 음성(5.9%)·진천(5.4%) <전남> 영암(8.4%)

한편, 외국인주민을 지원하는 기관과 단체는 2008년(564개)보다 59%(179개) 증가한 743개로 조사되었다.
이번 조사결과는 향후 정부의 외국인, 다문화가족 등 외국인주민에 대한 시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며, 지난 7월부터 복지부, 법무부, 여성부 합동으로 실시 중인 ‘다문화가족 실태 및 사회통합도 측정’조사에 반영되고 있다.


한인신문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전 영국 한인대표신문 한인신문, 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