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2060년 한국 인구 4400만명으로 감소,생산가능인구 세계 최하위권

by eknews posted Jul 14,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2060년 한국 인구 4400만명으로 감소,생산가능인구 세계 최하위권

한국 인구가 2030년 5200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계속해서 감소해  2060년에는 4400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한국 인구는 올해 5100만명으로 15년 뒤인 2030년에는 5200만명을 기록, 2060년에는 4400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2015년 현재 총 인구에 대한 생산가능인구(15~64세) 구성비는 73.0%로 전 세계에서 10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1966년 53.0% 이후 계속 증가해 2012년 73.1%로 정점에 이른 후 감소하고 있다. 2030년 63.1%, 2060년 49.7%까지 낮아진다.


생산가능인구 비중 순위는 1960년 106위 수준에서 2015년 10위로 올라갔으나 2030년 115위, 2060년에는 199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의 인구 순위는 올해 세계 27위지만 2030년 31위, 2060년 49위로 떨어진다.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은 2015년 13.1%로 1960년(2.9%)에 비해 4.5배로 증가한 수준이며 이후에도 계속 증가해 2030년에는 24.3%, 2060년에는 40.1%로 높아질 전망이다.


고령인구 비중 순위는 1960년 152위에서 2015년 51위, 2030년 15위, 2060년에는 2위 수준으로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출산율은 1970∼1974년 4.21명이었지만 50년 뒤인 2010∼2014년엔 1.23명이 됐다. 세계에서 4번째로 낮다.
기대수명은 1970∼1974년 62.7세에서 2010∼2014년 81.3세로 늘었다. 세계에서 14번째로 많다.


남북한 통합 생산가능인구는 올해 71.8%로 남한만 따로 봤을 때보다 1.2%포인트 낮아진다. 그러나 2030년이 되면 64.8%로 1.7%포인트 높아진다.


통합 고령인구 비중도 올해 11.9%, 2030년 20.2%로 떨어진다.
한국이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7%에서 0.4%로 감소한다. 아프리카 인구 비중만 15.9%(11억7천만명)에서 28.1%(28억명)로 높아지는 것으로 추산됐다.


올해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14억2천만명)으로 세계 인구의 19.1%를 차지했고,2 위에는 인도(12억8천만명·17.5%), 3위는 미국(3억2500만명·4.4%)에 이어 4위 인도네시아(2억6천만명·3.5%)가 뒤를 이었다.


2028년부터는 인도가 1위 인구국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2060년엔 인도(16억4천만명), 중국(13억1천만명), 나이지리아(5억4천만명), 미국(4억2천만명) 순서로 인구가 많을 것으로 추산됐다.


한국 유로저널 황윤시 기자
   eurojournal14@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