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30대 대기업 임원 10명 중 2명 '해외파’, 연봉은 직원의 10배 수준

by eknews posted Apr 25,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30대 대기업 임원 10명 중 2명 '해외파’, 연봉은 직원의 10배 수준



국내 30대 대기업 및 공기업 임원 10명 중 2명은 해외에서 공부한 해외대학 출신인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30대 대기업 및 공기업 임원 3천여 명의 최종학력과 연령, 1인 평균 보수액 등을 조사결과 30대 기업 임원 중 74.2%는 국내학교 출신이었고, 21.2%는 해외대학 출신으로 집계됐다. 4.6%는 출신학교를 공개하지 않았다.


출신학교별로 ‘해외대학’을 졸업한 임원이 21.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임원이 10.2%, 뒤이어 ▲고려대학교 6.6%, ▲연세대학교 6.3% ▲한양대학교 4.6% ▲KAIST 4.5% ▲성균관대학교 4.5% 순이었다.


특히 해외대학 출신 임원은 10년 전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2007년 동일조사 결과 해외대학 출신 임원이 11.7%에 그쳤던 것에 비해 이번 에는 21.2%로 9.5%P 크게 증가한 것이다.


2007년 당시 조사 결과에서는 서울대학교를 졸업한 임원이 13.6%로 가장 많았고, 이어 해외대학 11.7%, 고려대 8.89%, 연세대 7.1%, 한양대 6.5% 순으로 많았었다.


30대 기업 임원의 연령은 평균 만 52.7세로 1964년생인 임원이 10.5%로 가장 많았고 이어 1963년생(9.3%) 1965년생(9.2%) 1962년생(9.0%) 순으로 많았다. 상세 연령대별로는 만 나이 기준 50대인 임원이 73.7%로 가장 많았고, 40대 임원도 22.2%로 많았다.


국내 52개 주요 그룹 상장계열사 241곳의 등기임원 1인당 보수는 연 6억2600만원인 반면 직원 1인당 보수는 6190만원으로 등기임원의 10분의 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등기임원 보수가 10억원 이상 되는 기업은 40개사(16.6%)였다. 등기임원 평균 보수가 가장 많은 구간은 1억~5억원으로 47.7%에 달했다.


직원 평균 보수는 6천만원대를 받는 구간이 24.5%로 최다였다. 241곳 중 59곳이 여기에 속했다. 이어 5천만원대가 19.5%로 높았고, 4천만원대도 18.3%를 차지했다.


6- 1.jpg


저성장과 불황에 이어 지난 해보다 인건비가 증가하면서 긴축경영을 펼치는 기업이 늘고 있는 가운데, 기업 10곳 중 8곳(중소기업 81.3%,대기업 80.8%, 중견기업 66.7%)은 신규채용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연봉 동결(36.7%, 복수응답),잠정적으로 채용 중단(33.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원 평균 보수가 1억원 이상 되는 곳은 7개사 2.9%였고, 9천만원대는 3.7%, 8천만원대는 7.9% 수준이었다.
30대 기업, 올해 채용 작년보다 작아


한편, 30대 그룹(공기업·금융그룹 제외)을 대상으로‘2016년 고용계획’을 조사한 결과, 올해 30대 그룹 중 21개 그룹의 신규채용 규모가 작년수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6개 그룹은 작년에 비해 신규채용 규모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규채용 규모를 늘리는 그룹은 9개 그룹에 불과했다. 그 결과, 올해 신규채용은 작년 13만 1,917명보다 4.2% 감소한 12만 6,394명으로 예상된다. 반면, 총근로자수는 작년 116만 5,522명 대비 1.6% 증가한 118만 4,605명으로 전망되어,‘14년 이후 총근로자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위 10대그룹의 2016년 채용규모는 79,144명으로 2015년 80,440명에 비해 1.6% 감소한 수치이지만, 올해 전체 신규채용 규모(126,394명)의 62.6%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상위 10대그룹이 일자리 창출을 견인할 전망이다.


올해부터 정년 60세가 의무화 되었음에도 대상기업 10곳 중 6곳은 임금피크제를 도입하지 못하고 있고, 이로 인해 기업의 신규채용도 위축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단계 정년연장 적용대상 기업(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300개를 대상으로 ‘정년 60세 시대의 기업대응실태’를 조사한 결과, 임금피크제를 도입한 기업은 42.7%에 불과했고, 연공형 임금체계를 직무·성과급형으로 개편한 기업은 23.7%로 더 적었다.


또한, 임금피크제 도입과 임금체계 개편 둘 다 못했다고 답한 기업이 절반(46.0%)에 육박했다.


<표:통계로 말하는 데이타뉴스 전재>
한국 유로저널 김태동 기자
   eurojournal13@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