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건강] 한국인 불면증의 64%는 자다 깨는 수면유지장애

by 유로저널 posted May 11,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한국인 불면증의 64%는 자다 깨는 수면유지장애
처음 잠들기 어려운 입면장애보다 수면유지장애가 월등히 높게 나타나


한국인이 가장 흔하게 경험하는 불면증은 수면 중 여러 차례 깨는 수면유지장애이며, 이는 전체 불면증 중 64%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처음에 잠들기 어려운 입면장애는 전체 불면증의 19%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결과는 성빈센트병원 수면역학센터(센터장 홍승철 교수)와 미 스탠포드 대학 오하이온(Ohayon) 교수가 공동으로 진행한 ‘한국인의 불면증 실태 연구’에서 나타났다.

홍승철 교수는 “불면증이라고 하면 보통은 쉽게 잠들지 못하는 증상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잠든 후 자주 깨는 것 역시 불면증이며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다”며, “이를 불면증이라고 생각하지 못해 병원치료를 안 받는 경우가 대다수”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 같은 수면유지장애는 장년층과 비교해 젊은층도 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불면증을 가진 55~64세 장년층의 11.9%가 수면유지장애를 겪고 있는데 비해, 25-34세의 젊은층도 9.7%로 장년층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홍 교수는 “장년층 이상의 경우는 관절염, 심장병 등으로 인한 여러 통증 때문에 잠에 깊게 들지 못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비해, 젊은 연령층의 경우는 취업시장 불안으로 인한 경쟁심화 및 인터넷 발달로 인한 불규칙한 수면습관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면서 “한창 활동량이 많을 나이인 젊은이들의 수면장애 수치가 장년층과 비슷하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실제 이번 역학조사에 참여한 피실험자 이모씨(27세)는 밤에 충분히 잔 것 같은데 낮에는 졸기 일쑤였다고 말한다. 단순한 춘곤증이나 식후 식곤증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번 연구결과에서 잠자는 시간은 9시간으로 길지만 자면서 수 차례 깨고 수면의 질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의 진단 결과, 최근 졸업을 앞두고 취업에 대한 심리적 압박이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홍 교수는 “수면장애는 우울증과 다양한 불안장애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수면장애가 지속될 경우 피로누적, 집중력 저하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수면 중 여러 차례 깨게 되는 수면유지장애를 겪는 경우, 밤에 잠이 들기 힘든 불면증보다 낮에 졸린 증상이 2배 더 많이 나타난다. 이와 함께 피로, 우울감, 집중력 저하, 기억력 저하 등을 동반하기 때문에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홍 교수 연구팀은 양질의 수면을 위해서 올바른 생활습관을 몸에 익혀야 한다고 강조한다. 잠자리에 드는 시간과 일어나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실내 온도는 16~24도 정도가 적당하다.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스트레스와 불안을 없애고 운동은 적어도 잠들기 3시간 전까지는 마쳐야 한다. 또한 잠자기 직전에 너무 많은 양의 음식이나 기름진 음식을 먹는 등 소화에 부담을 주는 것도 피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유로저널 김태호 기자
eurojournal21@eknews.net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