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광복 70년 특별기획전 ‘독립을 향한 여성영웅들의 행진’ 개막

by eknews posted Aug 11,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광복 70년 특별기획전 ‘독립을 향한 여성영웅들의 행진’  개막


광복 70년을 맞아 강인한 조국 독립의지를 통해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여성독립운동가들의 활동과 업적을 재조명하는 자리가 마련되었다.
여성가족부는 8월 12일부터 23일까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소재) 3층 야외전시장에서 ‘독립을 향한 여성영웅들의 행진’을 주제로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



1007-여성 3 사진.PNG

서대문 형무소 '9옥사' 벽면에는 여성독립운동가들 이름과 약력이 쓰인 12폭 대형 천이 지난 8월 1일 설치되었다. 서울시가 광복 70년을 맞아 23일까지 여는 특별전 '돌아온 이름들' 전시이다. 여성독립운동가들은 국운이 기울어가던 한말부터 일제강점기 내내 다방면에 걸쳐 치열하게 독립투쟁을 벌였지만 한 번도 대대적인 조명과 관심을 받지는 못했다. 식민지하에서 민족차별은 물론 성차별이라는 이중의 고통을 겪었기에 기록도 변변히 남기지 못한 경우도 많다. 이번 전시도 부족한 자료 속에서 최대한 찾아낸 266분의 이름을 '여기, 현재'로 불러내고자 마련한 것이다. 전시 오프닝 행사로 여성운동가들 출신 고등학교 후배들이 전시장 곳곳에서 선배들 이름을 불렀던 것도 바로 이런 뜻에서이다. 2013년에 복원된 '서대문형무소 여옥사'에 가면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사진 모습과 감옥 생활을 좀 더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보통 사람들이지만 일제 폭압에 맞서는 용기를 냈기에 비좁은 형무소 생활과 고문까지도 겪어야 했다.



이번 특별기획전은 그동안 제대로 조명 받지 못한 여성독립운동가들이 우리 독립운동사에서 지닌 의미와 독립운동가의 어머니와 가족으로서의 역할, 광복군 등 대일항전 무장투쟁에서의 활동 등을 구체적인 사료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여성들이 다양한 구국활동을 통해 조국 독립에 기여했음을 상기시킨다.



<1부 구국의 횃불, 대한독립여자선언서>에서는 ‘대한의 신성민족 독립을 향해 행진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대한독립여자선언서와 대한민국 애국부인회 등을 통해 독립운동을 독려한 김마리아, ‘죽어서도 독립만세를 부르리라’고 하며 송죽비밀결사대를 조직한 김경희 지사 등의 활동을 보여준다.



<2부 대한, 대한아! 내 너를 위해 영웅을 길렀도다>에서는 안중근의사가 사형 구형을 받자 ‘일제에 목숨을 구걸하지 말라’고 하신 어머니 조마리아, ‘나의 아들이 되기보다 나라의 아들이 되어라’고 하신 김구 선생 어머니 곽낙원 등의 이야기를 통해 여성들이 독립운동가의 어머니 또는 가족으로 독립운동의 원동력이자 민족정신의 중심이었음을 확인한다.



<3부 독립전쟁을 선포하다>에서는 여성독립유공자로 독립전쟁에 직접 참전한 오광심, 지복영, 박차정 지사, 중국 항일 대전에 참전하기 위해 여성비행사가 된 권기옥 지사 등의 자료가 전시된다.



권기옥 지사는 한국 최초 여류비행사 권기옥은 "빼앗긴 하늘을 찾고자 비행사가 되었다."면서 "(비행기 타고)조선 총독부를 폭파하고 싶었다."고도 말했다.
또한, "이봉창과 윤봉길 의사를 안다면 나를 기억해 주는 것도 마땅하다."는 이화림은 "이봉창이 일본 일왕 암살 준비를 할 때 수류탄을 가져갈 수 있도록 훈도시라는 일본 남자 속옷을 만든 사람" 이고 "윤봉길이 (의거를 위해)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 갈 때 데려다준 사람"이기도 하다.
러시아에서 혁명가로 활동했다가 1918년 총살당한 김 알렉산드라는 "조선 해방을 꿈꾸고, 조선 13도를 생각하며 열세 걸음을 걷고는 사형당했다."고 한다.



조선 최고의 갑부인 이회영과 혼인했지만, 남편이 민족운동에 투신하며 전 재산을 바치자 엄동설한에 강냉이 죽을 먹고 지낸 이은숙은 "가난 때문에 짝 안 맞는 장화를 아들에게 사준 일이 있는데 그 아들이 장가가서 아들을 보자 장화부터 사서 신겼다."며 "소낙비가 어찌 내 가슴에 내리는 비를 당하겠느냐."고 말한다.
특히 이번에 전시되는 ‘대한독립여자선언서’는 대한여성이 대한독립 의지를 세계만방에 알린 최초의 독립선언서로, 식민지 여성이 제국주의 국가를 상대로 민족자유와 국가독립을 선언했음을 보여주는 흔치 않은 사료다. 국내 뿐 아니라 세계사적 의미도 큰 것으로 평가된다.



‘대한독립여자선언서’는 여성독립운동가 8인이 1919년 2월 작성해 3·1만세운동의 기폭제가 됐으며, 이후 국내외 항일여성독립운동단체 조직 및 체계적 독립운동이 활발해지는 계기가 됐다.
이 자료는 1983년 안창호 선생의 큰 딸 안수산 씨가 미국 자택에서 발견해 국가에 기증, 독립기념관이 소장해 왔으며 다른 선언서들이 국한문 혼용체로 쓰여 진 것과 달리 1335자 모두 순한글로 작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생존해 계시는 여성독립운동가 민영주, 박기은, 오희옥, 유순희 지사 4분이 직접 손도장을 찍은‘다시 보는 대한독립여자선언서’가 전시된다.
오희옥 지사는 1939년 당시 14세 나이로 중국 유주에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 입대, 일본군 정보수집과 일본군 내 한국인 사병탈출에 기여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한국 유로저널 노영애 기자
      eurojournal26@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