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국제
2025.07.27 12:39
러시아 경제, 러·우 전쟁 발발 이후 3년 경과에도 안정세 유지해
조회 수 277 추천 수 0 댓글 0
러시아 경제, 러·우 전쟁 발발 이후 3년 경과에도 안정세 유지해 2025년 러시아 GDP 성장률 0.5~1.5% 수준으로 하향 전망되고 인플레이션도 지속적인 하향세 유지 예상 2022년 러·우 전쟁 발발 이후 3년이 경과했으며, 서방의 제재 속에서도 러시아는 정부 주도 경제 구조 재편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제재 장기화로 인한 물류 차질과 거래 비용 상승은 수출입 확대에 제약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동 내 지정학적 갈등이 격화되며 국제사회의 관심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다소 분산되는 가운데, 러시아는 북한과 전략적 협력을 확대하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세 강도를 높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2025년 러시아 GDP 성장률을 0.5~1.5% 수준으로 하향 전망하고 있다.. 건설업 및 제조업의 성장 둔화가 예상되며, 방위산업 부문은 성장세가 지속적으로 예상된다. 러시아 통계청 발표를 인용한 로스콘그레스 재단 보고서에 따르면 러시아의 2024년도 총 GDP는 약 1.9조달러(인구 1억 4천만명)로 세계 GDP 순의 10내외를 기록하고 있으며 1 인당 국민소득은 14,953달러(세계 평균 약 13,000달러)였다. 러시아의 명목상 GDP는 2020년 107.7조 루블(약 1조 3700억 달러), 2021년 134.7조 루블(약 1조 7100억 달러), 2022년 156.9루블(약 1조 9900억 달러), 2023년 176.4조루블(약 2조 2400억달러), 2024년 201.1조루블(약 2조 5500억달러)를 기록해 와서 전쟁중에도 9-10% 내외의 성장세를 지속해왔다. 러시아의 실질 GDP 성장률 추이를 살펴보면 2020년 -3%, 2021년 +5.9%, 2022년 -1.2%, 2023년 +4.1%, 그리고 2024년 +4.3%의 성장세를 지속해왔다. 러시아의 세계 GDP내 비중은 2020년 3.33%, 2021년 3.64%, 2022년 3.45%, 2023년 3.48%, 2024년 3.51%를 차지했다. 러시아의 1인당 GDP의 경우도2022년 15,482달러, 2023년 13,817달러, 2024년 14,953달러를 기록했다. 이러한 낮은 개인당 GDP에도 러시아에는 상당수의 부유층과 고소득 계층이 존재하며, 특히 자원, 국영기업, 금융, 군수산업 관련 종사자들은 높은 수준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반면, 전체 인구의 평균적 삶의 질이 낮고, 중산층의 기반이 약하다는 점이다. 또한 최근 몇 년간 외국 브랜드 철수, 물가 상승, 실질 임금 정체 등으로 인해 체감 소득은 더욱 줄어들었다. 국제 제재, 정치 리스크, 통화 가치 하락 등은 국민소득에 지속적인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소득 증가 가능성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재무부의 잠정 집계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1~6월) 러시아 연방 예산 적자는 3조 6,940억 루블(4,104억 달러)을 기록했으며, 이는 정부가 설정한 연간 재정적자 목표치(GDP 대비 1.7%)에 근접한 수준이다. 상반기 재정 수지 악화의 주요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한 에너지 수익, ▲국방비 지출 확대(GDP 대비 6.3%)가 지목되고 있다. 2025년 6월 러시아 중앙은행은 약 3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 인하(-1%p)를 단행 하면서도, 2025년도 평균 금리는 19.5~21.5%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러시아의 연평균 금리는 2020년 5.05%, 2021년 5.74%에 이어 러·우 전쟁 발발을 시작으로 서방의 대러 제재로 인한 루블 환율 변동, 인플레이션 폭등 등을 방어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9.5%에서 20%로 대폭 상향 조정하면서 2024년 17.49%,를 기록했다. 2025년 5월 기준 인플레이션은 9.89%를 기록하고 있다. 중앙은행 총재는 현재 추세대로라면 인플레이션은 최저 전망치인 7~8%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하며, 2026년도 연평균 인플레이션은 4%대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밝혔다. 유로저널 김세호 대기자 shkim@theeurojournal.com ![]()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