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브릭스는 지고 미스트가 뜬다

by eknews posted Oct 16,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브릭스는 지고 미스트가 뜬다


브릭스는 지고 미스트가 뜬다 최근 들어 글로벌 경기둔화 깊어지면서 지난 2003년에 등장해 신흥 시장을 대변하는 용어가 됐던 '브릭스(BRICS)'의 시대가 지나가고 한국을 비롯한 미스트(MIST)가 부상하고 있다.


브릭스(BRICS)란 2000년대를 전후해 빠른 경제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흥경제 5국을 일컫는 경제용어다. 지난 2003년 미국의 골드만삭스가 보고서에서 처음 언급한 이후 아예 정식 모임이 발족됐고 지난 2010년 12월에는 남아공이 공식 가입하며 4개국으로 시작했던 BRICs는 'BRICS'가 되며 5개국의 연합체가 됐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글로벌 시장에 경기침체가 짙어지며 이러한 브릭스가 흔들리고 멕시코(Mexico), 인도네시아(Indonesia), 한국(South Korea), 터키(Turkey)의 영어 머릿글자를 따서 만든 미스트(MIST)가 부상하고 있다고 최근 뉴욕타임즈(NYT)가 보도했다.


NYT는 '신흥시장이 브릭스만은 아니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주식시장에서 브릭스가 전반적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세가 장기화되며 국가의 성장 둔화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하고 "브릭스 펀드가 지난해 540억 달러가 빠져나간 데 이어 올해도 8월까지 130억 달러가 이탈했다."고 전했다. 아카디언 애셋 매니지먼트의 존 크리스홀름 투자책임자(CIO)는 "브릭스가 MSCI 신흥시장 지수의 44%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조금 더 시각을 넓힐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정치개혁을 지체하면 경제성장도 둔화한다.


한편 독일의 비영리기구인 베르텔스만재단이 15일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한 세계파이낸스 보도에 따르면 브릭스 가운데 브라질이 가장 유망하다는 평가이다. 베르텔스만재단은 브라질에 대해 지난 10년 간 극심한 가난의 범위를 반으로 줄이고 2천만명의 사람들을 중산층으로 올려놨다고 평가했다.


특히 정치제도 개혁과 사회기반시설의 발전을 이뤄내 5개국 가운데 가장 유망한 국가로 볼 수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반면 재단은 상대적으로 실적이 가장 나쁜 국가로 러시아를 꼽았다. 재단은 보고서에서 러시아의 일방적인 경제 전략과 지원 정책, 시민사회의 발전 부족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자연자원에 의존하는 전략을 극복함으로써 경제를 다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또 중국에 대해서는 인구변동, 사회적 불평등, 오염 등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그 성과는 '양면적'이라고 평가했다.


인도 역시 사회기반시설 부족, 만연한 부패 등의 문제와 더불어 막대한 지역 및 사회 불균형 때문에 성장이 저해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남아공의 경우 경제 안정성, 국가부채 감축, 사회복지 정책 강화 등은 높이 평가받을만 하지만 교육, 노동 분야에서 제대로 된 성과를 내지 못해 브릭스 내에서 '보통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브릭스 국가들이 정치개혁을 지체하면 경제성장도 둔화할 수 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유로저널 국제부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