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칸디나비아

핀란드,교육제도

by eknews posted May 25,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extra_vars1 |||||||||||||||||||||
extra_vars2 |||||||||||||||||||||||||||||||||||||||||||||||||||||||||||||||||||||||||||||||||

. 개요

 

 -

핀란드에서의 보편교육은 19세기 후반 민족주의 운동(Society for Popular Education 설립 등) 함께 보급되어 20세기 초 이미 문자해득율이 유럽인인중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1921 법에 의한 의무교육제도가 도입되었다. 1970년대까지 6년제 초등학교제도가 유지되었으나 70년대 교육개혁을 통해 9년제 기초교육과정으로 개편되었다.

 -

핀란드의 학제는 초등교육과 기초중등교육이 통합된 기본 교육과정(7-16, 9),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 또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이수하는 상급 중등교육과정(3), 전문대(polytechnic)과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는 고등교육과정으로 구분된다
7
세 이하 미취학 아동들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탁아시설(daycare center)이나 보모에게 맡겨지며 대부분의 6 아동들은 탁아시설 또는 종합학교 부설 취학전 과정(pre-school)에 등록하고 있다.

 -

핀란드는 모든 국민들에게 동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초등학교에서부터 대학과정까지 무상 공교육을 실시하며 종합학교를 이수하고 상급학교에 진학하는 모든 학생들은 경제적인 형편에 따라 소정의 장학지원혜택(융자 등)을 받을 수 있다. 핀란드는 GNP의 약 6.5%를 공공 교육부문에 지출하고 있다.

 

. 종합학교(Comprehensive School)

 

-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통합 과정에 해당하며, 7-16세까지 학생들이 10학년과정을 이수함(1-9학년까지는 의무, 10학년은 선택)

-

저학년 과정(1-6학년)에서는 학급담임교사로부터 모든 과목을 교육받으나고학년 과정(7-9학년)에서는 과목별 교사가 교육

-

외국어과목의 비중이 높아, 3학년 때부터 공용어인 스웨덴어나 영어, 독일어 등 외국어 중에서 1개 언어를 선택하여 배우도록하고 있으며, 학년이 올라가면 외국어가 추가 교육되고 있음

-

수업료, 교과서, 급식 등 모든 것이 무료이며, 학교운영비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책임지나, 국가보조금(100%까지 가능)을 지원받음

 

. 고등학교

 

-

3년제의 일반고등학교(upper secondary school; lukio) 과정과 2-3년제의 직업학교(vocational school) 과정 등 두 가지 형태의 고등학교 과정이 있음

-

3년제 일반 고등학교를 마치면 대학진학 자격시험(marticulation)을 거쳐 대학교에 진학하거나 직업학교 진학, 또는 취업의 길을 선택한다.

대부분의 일반 고등학교는 지방자치단체가 운영

-

실업계고등학교(vocational school) 경우 실기와 연계된 2-3년의 교과과정을 이수하며, 직업학교를 이수한 후에는 취업을 하거나 직업전문대학 또는 일반 대학교에 진학하여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다

직업학교의 절반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며, 1/3은 중앙정부, 나머지는 민간이 운영하나, 직업학교 운영비용의 70-100%를 중앙정부가 부담함.

 

. 대학교

 

-

핀란드 최초의 고등교육기관은 1640년 설립된 투르쿠 왕립 아카데미(Royal Academy of Turku)이며 헬싱키로 수도 이전과 함께 동 대학도 1828년 이전하여 오늘날 헬싱키 대학교(University of Helsinki)의 전신이 되었다.

-

현재 핀란드에는 최대의 대학인 헬싱키대학교(University of Helsinki)를 비롯한 10개의 종합대학교, 헬싱키 공과대학교를 비롯한 3개의 공과 대학교, 3개의 경제경영대학교(School of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헬싱키 예술디자인 대학교를 비롯한 4개의 예술대학교 등 20개 대학교에 약 17만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석사과정 : 최소 5(학사 취득 후 최소 2)

-

1990년대 고등교육제도 개혁으로 직업과 관련된 특수교육기관들을 통합하여 1996년부터 직업전문대학(polytechnic)을 설립하였으며, 현재29개의 전문대학에 약 75천명의 학생이 재학중이다. 전문대학(polytechnic)은 직업전문 지식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학사 학위를 수여하며 수학 기간은 통상 3.5-4년이다.

-

모든 대학교는 국립으로 교육부가 직접 관장하나, 대학교 운영은 자체적으로 이루어진다

-

EU Bologna 교육개혁과정에 따라 2005년 하반기부터 대학과정이 3년 수학후 먼저 학사학위를 취득이후 석사과정(학사 취득후 최소 2년 추가 수학)을 수학하도록 개편되었다.

 

. 성인교육

 

-

1899년에 최초로 성인교육기관들이 설립된 이후, 일반교육, 사회교육, 직업 교육 등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다양한 성인교육기관이 관련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정당 및 노동조합들도 교육위원회를 두어 강의 및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으며, 특히 노동조합들은 수많은 스터디 센터를 설립, 운영하고 있음

이밖에 핀란드 전역에 130여개의 음악학교와 12개의 체육학교가 있으며, 방송통신학교(open university)도 일반교육과 직업교육을 제공함

-

실업자 재교육을 위하여 교육부와 노동부 관할하에 직업교육센터(job Center)를 두어  교육훈련, 여행경비, 숙식 등의 무료제공 및 일일수당까지 지급하며, 이러한 직업교육 이수자는 매년 50만 명에 달하고 있음

-

특히 1980-90년대 이후 직업환경과 노동시장이 급격한 변화를 겪으면서 성인교육과정이 활성화되고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현재 1,000여개의 성인교육관련 기관이 활동하고 있다.

 

. 핀란드 교육에 대한 높은 평가

 

-

2000, 2003 OECD 회원국 중학교 학생(15)을 대상으로 한 학습능력 평가 결과 핀란드 학생들이 독해력과 수학능력, 문제해결능력 등 부문에서 최상위(2000 2, 2003 1)를 기록, 핀란드 교육제도의 우수성을 과시하여 세계 각국에서 다수의 시찰단이 방문하고 있다.

-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National Board of Education)와 학계는 핀란드 교육의 경험을 세계 각국과 공유하기위해 2005 3월 “Finland in PISA-studies-Reason behind the Results"라는 주제로 국제 세미나를 개최하였으며 우리나라 교육평가원 등에서도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한 것으로 파악된다.

-

언론에 의하면 동 세미나 결과 핀란드 교육의 성공 배경은 우수한 교사 “Teachers, teachers, and teachers"로 요약되며, 어떻게 교직에 우수한 이재를 확보할 것인지, 정치인들이 교육예산을 확보할 의지가 있는 지가 중요한 것으로 평가하였다고 한다.

 

. 관련기관 홈 페이지(영문)

 

       o 교육문화부 : 교육과학 및 문화업무(청소년스포츠 업무 포함)업무를 총괄하며 교육과학장관이 교육부문을 관장

          (영문 홈페이지: http://www.minedu.fi/minedu/education/index.html
       o
핀란드 교육위원회(National Board of Education) : 핀란드의 교육개발, 평가, 교육 정보 서비스 제공 및 지원업무를

          담당하는 교육전문기관(영문 홈 페이지: http://www.oph.fi/english/frontpage.asp?path=447)  

 

 

유로저널광고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