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14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내 그림은 미시간 호수, 또는 바다, 또는 들판에 관한 느낌의 반복이다

8. “내 그림은 오히려 시에 가깝다”
조안 미첼은 그녀의 말년에는 고흐의 영향을 받아, 해바라기 그림에 집중하기도 했었다. 
 
Joan Mitchell, Sunflower 2(Etching), 1972.jpg
Joan Mitchell, Sunflower 2(Etching), 1972
 
Joan Mitchell, Sunflowers, 1991.jpg
Joan Mitchell, Sunflowers, 1991

미첼은 1949년 고등학교 동창인 바니 로셋과 파리에서 결혼을 했다. 로셋은 미첼의 조언으로 출판사 그로브 프레스를 매입했으며, 헨리 밀러의 판권으로 크게 성공을 했다. 그러나 이들은 3년 후 이혼을 했다. 로셋은 이혼 후에도 네 번의 결혼을 더 했다. 
1951년에는 추상표현주의 화가 그룹전 ‘9스트릿 아트쇼’에 잭슨 폴락, 윌렘 드 쿠닝, 한스 호프만, 그리고 헬렌 프랭켄탈러 등과 함께 전시를 했었다. 
 
Willem de Kooning, Interchange, 1951.jpg
Willem de Kooning, Interchange, 1951

당시 그녀는 윌렘 드 쿠닝의 그림을 보고 충격을 받았었다고 고백한 적이 있다. 
 
Willem de Kooning, Untitled XIII, 1975.jpg
Willem de Kooning, Untitled XIII, 1975

1952년에 그녀는 뉴갤러리에서 드디어 개인전을 가졌다. 
그녀는 추상화가 풍경의 재현이 아니라 바로 풍경 자체가 될 수도 있다는 폴록이나 클라인 같은 선배 추상표현주의자의 발견을 확장시키고 거기에 변화를 주었다.
미첼은 자신의 그림이 미시간 호수, 또는 바다, 또는 들판에 관한 느낌의 반복이라고 말하면서 자신의 그림이 오히려 시에 가깝다고 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그림이라고 강조했다. 
그녀의 화법을 시대적으로 정확히 구분하기는 어려우나 대체적으로 1950년대 초반에는 큐비즘(Cubism)의 영향을 받아, 짧고 강렬한 스타카토 리듬이 있는 선이 자주 나타난다. 
 
Joan Mitchell,Untitled, 1950.jpg
Joan Mitchell, Untitled, 1950

50년대 후반에는 신체적 운동감이 엿보이는 강한 붓 놀림이 전면적인 작품에 등장한다.
 
Joan Mitchell, Untitled, 1957..jpg
Joan Mitchell, Untitled, 1957

또한 이전의 수직적인 붓질과 물감의 물질적 특성을 보여주던 흘리기(Dripping) 기법의 사용은 굵고 힘있는 수평선의 도입으로 발전된다. 
 
Joan Mitchell, Untitled, 1959..jpg
Joan Mitchell, Untitled, 1959

이후 1960년대에는 좀 더 유기적인 선들과 어둡고 강렬한 색채의 물감들이 흰색 배경에 빗대어 두껍고 비대칭적으로 칠해졌다.
 
Joan Mitchell, Untitled, 1961.jpg
Joan Mitchell, Untitled, 1961
 
Joan Mitchell, Untitled, 1965.Jpeg
Joan Mitchell, Untitled, 1965

9. 힘찬 붓 놀림과 춤추는 듯한 섬세한 색채의 조합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38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905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969
358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 추상표현주의의 확장 file 편집부 2019.02.25 21725
357 최지혜 예술칼럼 ‘눈’은 잘못된 거울이다 - 르네 마그리트 2 file 편집부 2018.04.16 19707
356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예술칼럼(46) 현대미술은 '아름다움'이란 단어로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4 한국에서 내가 본 작품들 중 가짜는 없었다 file eknews 2015.10.25 16105
355 최지혜 예술칼럼 우리의 삶을 흔들어 놓는 예술가 1 – 싸이 톰블리 4 file eknews 2016.08.14 13691
354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가는 그가 보고 있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을 삼가야 한다 file 편집부 2019.04.08 9663
353 최지혜 예술칼럼 삶의 기쁨에서의 절정과 아름다움의 서비스를 모두 함께 전달해 주는 것은 바로 예술이다4 file eknews 2016.01.17 9569
352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3)인문학 열풍…칼융의 페르소나와 진짜인 나를 찾아가는 길 file eknews 2015.02.02 9268
351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의 예술칼럼 (18) 행운과 비운의 화가, 마크 로스코 3 - 소제목 : 무의식의 바다를 항해하다 file eknews 2015.03.31 9040
350 최지혜 예술칼럼 철사의 왕(King of wire), 알렉산더 칼더 - 2 file eknews 2016.04.17 9022
349 최지혜 예술칼럼 < 예술가가 사랑한 예술가 1 > 검은 피카소, 바스키아 ( 4 ) file eknews 2016.05.22 8776
348 최지혜 예술칼럼 그림 가격 떨어지나? 피카소 2 file eknews 2017.06.18 7819
347 최지혜 예술칼럼 오, 내 사랑! (1) 꽃의 도시 피렌체에서 사랑이 꽃피다 file 편집부 2017.09.25 7692
346 최지혜 예술칼럼 < 우리의 삶을 흔들어 놓는 예술가 1 > 싸이 톰블리 ( 2 ) file eknews 2016.07.31 7672
345 최지혜 예술칼럼 유럽이 꿈틀거릴 때 - 다다이즘4 file 편집부 2018.03.19 7152
344 최지혜 예술칼럼 보편적인 휴머니즘 file 편집부 2020.01.13 6994
343 최지혜 예술칼럼 나는 타인의 욕망을 욕망한다 file 편집부 2018.08.26 6858
342 최지혜 예술칼럼 철사의 왕(King of wire), 알렉산더 칼더 1 file eknews 2016.04.10 6611
341 최지혜 예술칼럼 28: 세계 미술시장의 눈이 중국으로 쏠리고 있다-중국이 미술시장의 판을 키우다 (4-2편) file eknews 2015.06.08 6447
340 최지혜 예술칼럼 왜 연인들의 얼굴을 보자기로 싸버렸는걸까? 르네 마그리트 3 file 편집부 2018.04.23 6278
339 최지혜 예술칼럼 최지혜예술칼럼(46) 현대미술은 '아름다움'이란 단어로 규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5 “이우환 미술관? 한국에 내 이름만으로 된 미술관을 허락한 바 없다” file eknews 2015.11.01 6116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