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20.02.24 00:34

우리는 성인이기 이전에 사람이다

조회 수 14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최지혜의 예술 칼럼 (244) 
우리는 성인이기 이전에 사람이다

1. 현대적인 표현주의 양식의 종교화
종교화에 있어서 '예수의 탄생', '십자가형', '최후의 만찬'은 매우 전통적이고 경외심을 갖게 하는 소재들이다. 그래서 대중들은 그 제목만으로도 작품이 어떠할지 대충 예상을 할 수 있다. 

1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1495-1497.jpg
레오나르도 다 빈치, 최후의 만찬, 1495-1497 (산타마리아 델라 그라치에 성당)


2루벤스, 십자가형, 1620경.jpg
루벤스, 십자가형, 1620경(안트베르펜 왕립미술관)

그러나 놀데의 종교화는 좀 다르다. 그 주제에 있어서는 동일하지만 표현방식이 너무나 과격하고 충격적일 만큼 적나라하다.

 3에밀 놀데, 최후의 만찬, 1909.jpg
에밀 놀데, 최후의 만찬, 1909 (코펜하겐 국립 미술관)

놀데의 '최후의 만찬'과 유명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을 바교해 보면, 놀데의 그림이 매우 거칠고 투박한 것을 볼 수 있다. 빈곤하게 묘사된 예수와 제자들의 모습은 숭고하다기 보다는 차라리 힘들게 살아가는 노동자들의 모습과 닮아 있다.  

매우 협소한 장소에 서로의 몸을 부대끼며 모여 있는 예수와 제자들은 초라하고 남루한 모습으로 '우리는 성인이기 이전에 사람이다'라고 말하고 있는 듯 하다.

4고갱, The Yellow Christ, 1889.jpg
고갱, The Yellow Christ, 1889

이것은 고갱의 '엘로우 크라이스트'다. 이 작품 속 예수는 십자가에 못박혀 있다고 생각하기 어려울 만큼 편안하고 단정한 모습이다. 우화적인 표현과 안정된 칼라의 사용은 예수를 더욱 인간의 모습으로 표현해내려고 한 고갱의 마음을 느끼게 한다. 남부 프랑스의 모습을 보는 듯한 편안한 배경을 사용한 것도 인간 예수를 나타내고 싶어한 고갱의 의도 중 하나다. 

5Caravaggio, Cucifixion of St. Peter,1601.jpg
Caravaggio, Crucifixion of St. Peter, 1601

이것은 예수의 제자 베드로를 십자가에 매다는 장면을 그린 이탈리아의 카라바지오 작품이다. 너무나도 사실적인 표현과 현실감 때문에 그의 그림들 중 많은 작품들이 교회의 벽에 걸리는 것을 거부 당하거나, 걸린 그림들도 이후에 철거된 작품들이 많다. 

이 작품 속의 베드로의 표정과 위 고갱의 작품 속 예수의 모습은 서로 다르지만, 인간적인 면을 담고 있으면서도 숭고한 성인의 모습이라는 점에서 공통되는 부분이 있다.

6에밀 놀데, 십자가에 못 박힘, 1912.jpg
에밀 놀데, 십자가에 못 박힘, 1912 (놀데 재단소장)

이것은 놀데의 작품 '십자가에 못 박힘'이다. 여기에는 여러 인물들이 등장한다. 예수와 함께 못 박힌 두 명의 죄인,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은 후 유대인의 왕이란 조롱 섞인 죄패를 붙이고, 예수의 옷가지로 제비뽑기 장난을 하는 군인들, 그리고 슬퍼하는 마리아와 여인들이 있다. 모두 성서에 나온 실제 인물들과 이야기로 충실하게 재구성된 것이다.

10여명의 인물로 꽉 채워진 캔버스의 풍경은 원근법을 무시한 답답한 배경 구도를 하고 있다. 그리고 고통으로 일그러진 앙상한 예수의 모습은 보는 이로 하여금 예수의 고난을 느끼게  만든다.

놀데가 처음부터 이런 종교화를 그린 것은 아니다. 그는 처음에 다리파 멤버들과 함께 시민사회의 도덕률에 반항하며 보헤미안적인 자유로움과 본능적인 정신의 표현을 추구했다. 

에른스트 키르히너를 중심으로 혁명적인 정신과 회화를 연결하는 다리가 되고자 했던 20세기 독일 표현주의를 대표하는 그룹이었던 다리파는 반 고흐, 고갱, 뭉크에 심취해 있었다. 

7Ernst Ludwig Kirchner (German,1880~1938), Berlin Street Scene, 1913.jpg
Ernst Ludwig Kirchner (German,1880~1938), Berlin Street Scene, 1913

그들은 주로 정열이나 불안의 드라마를 그림의 주요 소재로 다루고, 형태과 색채를 왜곡하며 회화의 방법 자체보다는 본능적이고 내적인 충동을 표현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삼았다. 
그래서 자연의 원시성을 중시하고 형식적으로는 각지게 표현하며, 사실적인 재현보다는 핵심적인 것만을 추출하여 그림을 단순화하였다. 

하지만, 놀데는 다리파와 결국 결별을 하게 되었고, 이후 1909년부터 시작해 약 20여점의 종교화를 제작했다. 
위의 작품들은 그 중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그림들이다. 놀데의 종교화도 다른 작가들의 작품과 마찬가지로 그의 신앙심과 열정으로 그려졌지만, 경배를 자아내는 성스러운 기존의 종교화와는 확실히 다른 특색을 띠고 있다.   

8에밀 놀데, 성스러운 밤, 1912.jpg
에밀 놀데, 성스러운 밤, 1912 (놀데 재단소장)

광기어린 작품으로 심지어 사악한 악마의 그림이라는 평까지 들어야 했던 놀데이지만, 현대회화의 종교미술에 중요한 자취를 남긴 화가 중의 한 명임이 분명하기에, 지금은 그를 현대적인 표현주의 양식의 종교화를 그린 작가라고 평한다.

2. 원시에 대한 두 가지 시각

(다음에 계속…)

최지혜
유로저널 칼럼니스트 / 아트컨설턴트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13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05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40
258 최지혜 예술칼럼 늘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다 file 편집부 2019.08.26 2322
257 최지혜 예술칼럼 단색화 이후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3 file 편집부 2018.01.01 2574
256 최지혜 예술칼럼 단색화 이후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4 file 편집부 2018.01.08 1961
255 최지혜 예술칼럼 단색화 이후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1) file 편집부 2017.12.12 2161
254 최지혜 예술칼럼 단색화 이후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2 file 편집부 2017.12.18 2409
253 최지혜 예술칼럼 당신은 지금 무엇을 욕망하는가? file 편집부 2018.08.06 1291
252 최지혜 예술칼럼 도날드 저드가 말하는 '타고난 예술가' file 편집부 2020.06.15 1470
251 최지혜 예술칼럼 디지털 예술 ‘NFT 아트’ file 편집부 2023.01.06 102
250 최지혜 예술칼럼 런던 데이트모던갤러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작가 중 한 명 file 편집부 2019.07.22 2248
249 최지혜 예술칼럼 루비이통이 발견한 쿠사마의 가능성 file 편집부 2020.06.01 2139
248 최지혜 예술칼럼 만남 ; 이우환과 바넷 뉴먼 file 편집부 2023.07.04 268
247 최지혜 예술칼럼 멘토를 찾아서 – 윤형근1 file 편집부 2024.05.12 60
246 최지혜 예술칼럼 모나드에는 창이 없다 file 편집부 2020.10.19 1269
245 최지혜 예술칼럼 모더니즘의 기본 개념 file 편집부 2019.11.18 1402
244 최지혜 예술칼럼 몽파르나스의 전설이 100년만에 부활하다 2 file eknews 2015.12.07 2749
243 최지혜 예술칼럼 무감각한 사회에 대한 분노를 예술로 표현하다 - 다다이즘3 file 편집부 2018.03.12 3803
242 최지혜 예술칼럼 무한 거울방의 시작 file 편집부 2020.06.30 1341
241 최지혜 예술칼럼 무한 거울방의 히트 file 편집부 2020.08.03 971
240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 땅에서 창작된 최고의 작품 file 편집부 2020.01.27 1368
239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 미술의 빛나는 새 현상 file 편집부 2019.03.18 1615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