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20.03.15 23:55

인간적인 모순

조회 수 12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최지혜의 예술 칼럼 (247) 
인간적인 모순

1Emil Nolde1.jpg
Paul Gauguin, BATHERS AT TAHITI, 1897

한국을 방문했을 때, 에밀 놀데는 끊임없이 그가 본 것을 드로잉으로 수채화로 그렸고, 그의 부인 아다는 그 그림들을 묘사하는 글을 적었다.

그 중에 한국 노인을 펜화로 남긴 것도 있다. 그의 부인은 그것을 설명하는 글과 함께 한국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글로 기록했다. 

그 책에 있는 양귀비 연작 등의 꽃이나 바다를 그린 밝고 투명한 수채화는 특히 유명하다. 

2Vol. I Neuguinea 1913 und 1914. Vol. II Heimkehr, Weltkrieg, Heimat. 1914 bis 1921(에밀 놀데의 책 중 한 페이지).jpg
Vol. I: Neuguinea 1913 und 1914. Vol. II: Heimkehr, Weltkrieg, Heimat. 1914 bis 1921
(에밀 놀데의 책 중 한 페이지애 있는 한국 노인)

이후 1930년대에 그는 나치로부터 퇴폐적이고 반게르만적인 예술가로 낙인찍혔다. 하지만, 작업 금지령을 받은 후에도 비밀경찰의 눈을 피해 '못다 한 그림들'이라고 불리는 수많은 수채화를 남겼다.

3Emil Nolde , Red Poppies, c.1920.jpg
Paul Gauguin, BATHERS AT TAHITI, 1897

4Emil Nolde, Red and yellow sunflowers, 1920.jpg 
Emil Nolde, Red and yellow sunflowers, 1920


5Emil Nolde, Moon over the Marsh, circa 1920-1930.jpg 
Emil Nolde, Moon over the Marsh, circa 1920-1930


6Emil Nolde, Herbstwolken, Friesland, 1929.jpg
Emil Nolde, Herbstwolken, Friesland, 1929


4. 인간적인 모순
놀데의 매력은 아무래도 그의 삶을 관통하는 인간적인 모순에 있지 않나 싶다. 

7Emil Nolde in Munich, 1937.jpg
Emil Nolde in Munich, 1937

이는 작품 속에서 쉽사리 발견할 수 있는데, 그 주제가 극히 다양할 뿐만 아니라 기법들도 빠르게 변화하며, 또 한 시기 안에서도 다양한, 때로는 서로 완전히 상반되는 기법들이 공존한다. 

또한, 그의 자서전들을 읽게 되면 이러한 모순적인 모습들이 작품의 주제와 기법에서 그치지 않고 인물 자체로까지 확장됨을 알 수 있다. 편협한 민족주의적 정서를 주장하는가 하면 이국의 예술을 열렬히 칭송했고, 스스로 속세를 떠나 있음을 표방하는가 하면 베를린 분리파의 막스 리버만에 대항해 미술계에 스캔들을 일으키기도 했다. 

8Emil Nolde, Warship and Burning Steamer, undated (ca. 1943).jpg
Emil Nolde, Warship and Burning Steamer, 
undated (ca. 1943)

극단적인 반문명주의적 주장을 고수하면서도 함부르크의 항구 풍경이나 대도시 베를린의 밤 풍경에 본능적으로 매료되어 그 주제로 연작을 제작하기도 했다. 심지어 나치당에 참여한 적도 있었고 반유태주의적 주장을 공공연히 드러낸 적도 있었다.

9Emil Nolde, Moonlit Night, 1913 – 1914.jpg
Emil Nolde, Moonlit Night, 1913 - 1914

 놀데라는 인물은 이렇듯 확실히 자기 분열적인, 모순에 가득 찬 인물이었다. 그러나, 많은 모순에도 불구하고 예술을 통해 삶을 초극하려고 노력했던 한 명의 낭만주의자이기도 했다. 

(다음에 계속…)

최지혜
유로저널 칼럼니스트 / 아트컨설턴트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57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988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071
258 최지혜 예술칼럼 늘 신선한 충격을 안겨주다 file 편집부 2019.08.26 2325
257 최지혜 예술칼럼 단색화 이후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3 file 편집부 2018.01.01 2574
256 최지혜 예술칼럼 단색화 이후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4 file 편집부 2018.01.08 1964
255 최지혜 예술칼럼 단색화 이후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1) file 편집부 2017.12.12 2164
254 최지혜 예술칼럼 단색화 이후를 두려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2 file 편집부 2017.12.18 2409
253 최지혜 예술칼럼 당신은 지금 무엇을 욕망하는가? file 편집부 2018.08.06 1294
252 최지혜 예술칼럼 도날드 저드가 말하는 '타고난 예술가' file 편집부 2020.06.15 1475
251 최지혜 예술칼럼 디지털 예술 ‘NFT 아트’ file 편집부 2023.01.06 106
250 최지혜 예술칼럼 런던 데이트모던갤러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작가 중 한 명 file 편집부 2019.07.22 2249
249 최지혜 예술칼럼 루비이통이 발견한 쿠사마의 가능성 file 편집부 2020.06.01 2141
248 최지혜 예술칼럼 만남 ; 이우환과 바넷 뉴먼 file 편집부 2023.07.04 274
247 최지혜 예술칼럼 멘토를 찾아서 – 윤형근1 file 편집부 2024.05.12 72
246 최지혜 예술칼럼 모나드에는 창이 없다 file 편집부 2020.10.19 1292
245 최지혜 예술칼럼 모더니즘의 기본 개념 file 편집부 2019.11.18 1404
244 최지혜 예술칼럼 몽파르나스의 전설이 100년만에 부활하다 2 file eknews 2015.12.07 2749
243 최지혜 예술칼럼 무감각한 사회에 대한 분노를 예술로 표현하다 - 다다이즘3 file 편집부 2018.03.12 3807
242 최지혜 예술칼럼 무한 거울방의 시작 file 편집부 2020.06.30 1344
241 최지혜 예술칼럼 무한 거울방의 히트 file 편집부 2020.08.03 974
240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 땅에서 창작된 최고의 작품 file 편집부 2020.01.27 1373
239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 미술의 빛나는 새 현상 file 편집부 2019.03.18 1617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