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20.07.20 20:32

이것도 예술인가?

조회 수 11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최지혜의 예술 칼럼 (255) 
이것도 예술인가?

뉴욕에 머무르면서 전위적 퍼포먼스와 해프닝, 회화, 조각 등을 선보이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쿠사마 야요이는 팝 아티스트의 전설인 앤디 워홀과 같은 세계적 작가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일상적인 사물의 재발견을 표현한 설치 작품과 행위 예술들을 선보였다.

1Yayoi Kusama,14th Street Happening, 1966.jpg

1960년대 후반 들어서 그녀가 제도권 전시장 밖으로 창작의 시공간을 확장하면서 매진한 해프닝과 퍼포먼스도 그 무렵 서구에서 유행한 비주류 예술 운동의 일환 중 하나였다.  

2Yayoi Kusama, Self-Obliteration, 1966.jpg

<육체의 향연 (Body Festivals)>(1967)을 조직한 쿠사마 야요이는 알몸 퍼포머들을 고용해서 언론의 주목을 끌었다. 당시 그녀는 자신이 팝 아티스트 앤디 워홀보다 더욱 많은 신문 기사를 장식했다고 주장했다.

4야요이 쿠사마에 대한 신문 기사 중 하나.jpg

1968년 그녀는 또 다시 알몸 퍼포먼스를 계획했다.

5Kusama's Anatomic Explosion outside the New York Stock Exchange, 1968.jpg

<해부학적 폭발 (Anatomic Explosion)>은 “주식으로 마련된 자금이 전쟁에 사용된다”는 반전 메시지를 전달하며 뉴욕 증권 거래소에 반대하는 알몸 퍼포먼스였다. 락앤롤 뮤직에 맞춰 폴카 도트를 온몸에 그린 알몸의 퍼모머들이 춤을 추며 빙빙 돌았다. 그리고 그녀는 그 속에서 폴카 도트를 가진 월 스트리트 남자들을 몰아내자라고 소리를 쳤다. 

6Yayoi Kusama in 'Performance Self-Obliteration by Dots,' 1968.jpg

<자기 소멸 (self Obliteration)>(1968)은 자신과 자신의 작업을 실험적 영화로 연출하여 기록한 영상작업이다. 

7Yayoi Kusama, Anatomic Explosion Central Park New York, Central Park, New York, 1969.jpg

또한 그녀는 베트남전 참전 반대로 뜨거워지던 미국 사회의 반전 문화와 1968년 미국 대선을 기회 삼아서, 센트럴 파크와 브루클린 다리 등지의 공공장소에서 알몸의 퍼포머들로 구성된 반전 해프닝도 기획했다. 
전쟁을 반대하며 벌인 이 퍼포먼스에서는 알몸의 남성은 피켓을 들고 있고, 알몸의 여성들은 서로 부둥켜 안고 있었다. 그녀는 게이 결혼식도 또한 의도 했던 것일까? 분명한 것은, 포스트모던의 꿈틀거림 속에서 그녀가 당시의 사회적 개념과 통념에 반기를 제시한 것이다.  

8_y.jpg

그녀의 악명이 점점 사그라 들 때쯤, 그녀는 자신의 전략을 바꿨다. 장르를 넘나들며 다양한 활동을 하기 시작했다.
1969년에는 ‘nudity love sex & beauty’라는 타블로이드 잡지 <쿠사마 의식(儀式) (Kusama orgy)>도 간행하고 하고, 소설도 썼다. 또한 ‘Nude Fashion Company’라는 이름아래 자신만의 샵을 열어 자신이 디자인한 옷을 팔기도 했고, 자신의 그림과 조각들로 구성된 무대를 만들어 패션쇼도 열었다.

9_y.jpg

그녀는 폴카 도트와 같은 무한 패턴이 있는 튜닉도 만들었고, 신체의 은밀한 부분이 노출되도록 구멍을 낸 옷들도 손수 디자인하고 만들었다. 
또한 ‘쿠사마 엔터프라이즈’을 만들어 아트 활동을 조직하면서 기존의 보수적인 예술로부터 더욱 멀리 거리를 두기 시작했다. 

10_y.jpg

이런 다양한 몸부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결국 1973년 일본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다음에 계속…)

최지혜
유로저널 칼럼니스트 / 아트컨설턴트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페이스북 : Art Consultant Jihye Choi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60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99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20087
238 최지혜 예술칼럼 당신은 지금 무엇을 욕망하는가? file 편집부 2018.08.06 1295
237 최지혜 예술칼럼 자연은 내적인 감정의 투영체다 file 편집부 2019.05.06 1301
236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의 아방가르드 file 편집부 2019.11.10 1302
235 최지혜 예술칼럼 정체성을 찾아 떠나는Grand Tour 4-2 file 편집부 2017.09.18 1312
234 최지혜 예술칼럼 브라질의 우뚝 솟은 블랙수트의 모더니스트Mira Schendel 4 file eknews 2016.04.03 1313
233 최지혜 예술칼럼 그림을 그리는 것은 창조의 생명력과 교감하는 행위와 같다 file 편집부 2019.04.29 1314
232 최지혜 예술칼럼 무한 거울방의 시작 file 편집부 2020.06.30 1344
231 최지혜 예술칼럼 추상화는 심오한 현실에 이르는 한 방법 file 편집부 2019.12.02 1353
230 최지혜 예술칼럼 미국 땅에서 창작된 최고의 작품 file 편집부 2020.01.27 1373
229 최지혜 예술칼럼 모더니즘의 기본 개념 file 편집부 2019.11.18 1404
228 최지혜 예술칼럼 이 시대 우리 심층의 갈망을 일깨워 줄 영웅은?(2) file 편집부 2018.12.02 1407
227 최지혜 예술칼럼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미술 교사 file 편집부 2019.11.25 1410
226 최지혜 예술칼럼 이 시대 우리 심층의 갈망을 일깨워 줄 영웅은?(3) file 편집부 2018.12.10 1418
225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는 경험에서 창조되는 것이다 file 편집부 2019.02.06 1422
224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은 무한하며, 예술가의 지식과 능력은 한정되어 있다 file 편집부 2019.04.01 1432
223 최지혜 예술칼럼 '일단 유명해져라, 그렇다면 사람들은 당신이 똥을 싸도 박수를 쳐 줄것이다.' file 편집부 2018.10.14 1451
222 최지혜 예술칼럼 정체성을 찾아 떠나는Grand Tour 2-1 file eknews03 2017.08.14 1458
221 최지혜 예술칼럼 깨지는 경계선, 만들어지는 자화상 (Anne Imhof 3) file 편집부 2017.10.23 1461
220 최지혜 예술칼럼 회화의 존재조건이 무엇인가 file 편집부 2019.09.23 1462
219 최지혜 예술칼럼 클레멘트 그린버그가 보증한 작가 file 편집부 2019.11.04 1475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8 Next ›
/ 18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