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 민주당 정권 재창출, 동교동계가 '킹메이커'

by 유로저널 posted Feb 11,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김대중 전대통령의 서거이후 구심점을 잃어 왔던 민주당에 동교동계의 활동이 대두되기 시작하면서 야권과 재야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특히,지난해 4월 정 의원이 재보선 출마를 위해 뛰쳐나간 후 대리전으로 이어졌던 지금까지의 대결구도와는 달리 정 동영의원과 정세균 대표가 ‘외나무다리’에 마주서면서 동교동계의 향방이 두 사람의 운명을 정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정 대표와 정 의원은 급히 주류와 비주류로 세를 나누고 언제 올지 모르는 전면전에 대비하고 있다. 친노·386 인사들은 정 대표를 지원하고 비주류 인사들은 정 의원을 돕고 나선 것. 이 와중에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동교동계에 정가의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계기로 다시 뭉치면서 '킹메이커'로 주목받고 있는 동교동계는 정 대표와 정 의원 모두에게 “좋지도 싫지도 않다”며 애매모호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두 진영의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김 전대통령의 최측근이자 민주화운동의 최전선에 섰던 동교동계는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오랜 정계 활동으로 방대한 인맥과 깊은 심계를 가지고 있는 이들인 만큼 김 전대통령의 정신을 있겠다는 정 의원과 정대표가‘정통성’을 인정하고 지지를 받으려면 이들의 인정이 중요할 수 밖에 없다.

정 대표는 ‘민주대연합’을 거론하면서 복당 대상에 동교동계를 올려놓고,한화갑 전 대표의 복당을 제일 먼저 이룬 데이어 설훈 전 의원을 경기 부천 원미을 지역위원장에 임명하는 등 동교동의 힘을 얻기위해 이미 내면적으로 작업을 시작했다.

정 의원도 김 전대통령이 입원해 있을 때 매일같이 병실을 찾으면서 동교동계 인사들과 눈도장을 찍으면서 거리감을 좁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대통령 서거 후에는 동교동계 좌장격인 권노갑 고문과 식사 자리를 여러 차례 함께 하고 자주 통화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매주 화요일 이희호 여사의 김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에 동교동계 인사들이 동참하면서 정례화되어 권노갑·김옥두·한화갑·한광옥·김홍업 등 동교동계 전·현직 의원들이 고정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화요 참배'에
정의원은 빠지지 않고 함께 하고 있다.

이에대한 보답이라도 하듯이 지난해 12월14일 권노갑·한화갑·한광옥·김옥두 전 의원 등 동교동계 핵심인사들은 정 대표를 만나 “다 힘을 합쳐야 한다”며 정 의원의 복당을 강조했다.

그러나 동교동계 한 인사는 “정 대표와 정 의원 중 누구에게 힘을 실어주느냐 마느냐에 대해서 내부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면서 “‘복당’은 민주진영의 통합을 위한 원칙이었을 뿐 동교동계는 중립적인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면서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한화갑 전 대표도 “적어도 동교동계가 당을 운영했을 때가 지금보다 훨씬 좋았고, 더 발전할 수 있었다”며 동교동계를 정세균 대표 체제 이후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한 전 대표 자체도 당권 도전을 고민하고 있다. 한 전 대표측 관계자는 “수권정당이 될 만한 여력을 갖춘 민주당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특별히 준비하고 있는 것은 없지만 자연스럽게 민주당 안팎의 인사들을 만나고 지방도 많이 돌아다니고 있다”고 말했다.

권노갑 고문을 겨냥, '정풍운동’을 벌였고 열린우리당 창당에 앞장서는 등 동교동계와 등을 돌릴 당시에 대한 기억이 남아있는 동교동계가 정의원에 대해 아무리 “이미 앙금이 사라진 지 오래”라며 “특히 김 전대통령의 유지인 ‘화해와 용서’에 따라 남아있던 불편함도 다 버렸다”고 말하고 있지만 당시 민주당이 분당되고 갈기갈기 찢어졌던 아픔은 버릴 수도 잊을 수도 없었던 분명한 사실이어서 동교동계의 향방이 주목될 수밖에 없다.


유로저널 정치부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