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 해외 진출기업 35%,“진출 초기보다 생산여건나빠져”

by 유로저널 posted Nov 12,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해외 진출기업 35.2%가 현지 생산여건이 진출 초기에 비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해외에 생산거점을 두고있는 국내 제조기업 332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해외진출국 생산여건 실태와 애로요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외 생산거점 진출초기에 비해 생산여건이 악화됐다’고 답한 기업이 35.2%에 이르렀다. 업종별로는‘섬유’업종에서 생산여건이 악화됐다는 응답비율이 53.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전자,반도체(35.5%)' ’기계,철강(29.4%)',‘석유,화학(29.3%)',‘자동차,조선(24.3%)' 순으로 조사됐다.

해외 생산여건이 나빠졌다고 대답한 업체들 대부분은 악화 원인으로 ‘현지 인건비 상승(92.5%)'을 꼽았다. 이 밖에도 원자재가 상승(3.7%), 현지국 경기 악화(1.9%) 등의 응답도 있었다.

실제로 해외진출국의 현지 임금수준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임금수준이 진출초기와 비교했을 때 어떤 변화가 있냐는 질문에 73.3%의 기업이 ‘임금이 올랐다’고 답했다. ‘별다른 변화없다’라고 대답한 업체가 25.4%였고 ‘하락했다’라고 응답한 기업은 1.3%에 불과했다. 임금상승정도에 대해서는 29.1%가 ‘3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10~20%(25.2%), 5~10%(21.4%), 5% 이내(17.5%), 20~30%(6.8%) 순으로 조사됐다.

해외진출국의 정부규제와 관련해서는 응답업체의 32.8%가 ‘규제강화 추세가 심화되고 있다’고 보고 있었다. ‘진출초기와 비슷하다’는 응답이 대부분(62.6%)이었으나 ‘규제개선이 많이 이루어졌다’라고 응답한 기업은 4.6%에 불과했다.

국내기업들의 해외 생산법인 경영실적은 생산거점 조성 이후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액의 경우 66.9%가 진출초기보다 증가했다고 응답했고 매출액이 감소했다는 응답은 1.9%에 불과했다.

대한상의측은 “그동안 세계의 생산기지 역할을 해왔던 신흥개도국의 생산여건이 예전만 못하다고 느끼는 기업들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특히 신흥개도국들의 고도의 경제성장과 사회발전 과정속에서 현지 임금수준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적지 않은 기업들이 높아진 인건비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 유로저널 방창완 기자
eurojournal25@eknews.net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eknews.net>

www.eknews.net는 최대발행부수와 최대발행면을 통해
전유럽 16 개국 한인사회로 유일하게 배포되고 있는 주간신문 유로저널의 홈페이지입니다.
기사 제보를 비롯한 광고 문의 등은 아래 연락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44 (0)208 949 1100, +44 (0)786 8755 848
eurojournal@eknews.net 혹은 eurojournals@hotmail.com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