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경제] 한국 소비자 소비 심리, 양호한 수준 유지

by 유로저널 posted Aug 31,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소비자태도지수와 전기 대비 경제성장률 추이

자료: 삼성경제연구소; 한국은행, ECOS.

1년 후 경기가 좋아지는 이유

한국 소비자 소비 심리, 양호한 수준 유지

2010년 3/4분기 소비자태도지수는 국내 주택시장 침체, 생활물가 상승, 세계 경기 둔화 가능성 대두 등으로 전 분기의 52.7에서 0.5p 하락한 52.2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소비자태도지수가 5분기 연속 기준치(50)를 상회하고 있어 전반적인 소비심리는 양호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경제연구소 ‘2010년 3/4분기 소비자태도조사’보고서는 이와같이 밝히면서 특히 소득계층별로는 고소득층의 소비심리 위축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고소득층의 소비심리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위축된 이유로 한국 주택시장의 부진이 상대적으로 부동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고소득층의 소비심리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했다.

이 연구소의 조사대상 가구의 절반에 달하는 480개 가구는 향후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하였으며, 그중 34.2%가 막연한 기대감을 그 근거로 지목하여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하였다. 그 뒤로는 수출호조(24.4%)와 투자호조(10.0%)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향후 경기회복의 근거를 수출호조라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전기 대비 8.2%p 하락하였는데, 이는 최근 미국 및 중국을 비롯한 세계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수출의 경기견인력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향후 경제상황이 악화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로 물가상승이 가장 높은 응답률(43.6%)을 보였다. 이는 신선식품 물가를 비롯한 생활물가가 빠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다가, 향후 공공요금 등 서비스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우려가 표출된 결과로 해석된다.

현재소비지출지수 및 미래소비지출지수는 각각 전 분기 대비 2.0p와 0.6p상승한 49.0과 50.2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경제 회복세가 지속됨에 따라 소비심리가 5분기 연속 기준치를 상회하는 등 양호한 소비심리를 바탕으로 소비의 회복세가 지속되는 현상을 반영한 결과이다. 그러나 최근 한국 경기의 둔화 가능성 대두와 세계경기의 불확실성 점증으로 소비심리가 전 분기 대비소폭 악화되는 등 이번 분기 소비자태도조사 결과에는 향후 소비의 향방에 대한 상반된 정보가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향후 소비의 회복세가 지속된다하더라도 그 회복의 강도는 점차 둔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1년 후에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한 480가구 중 가장 많은 34.2%가 언론의 긍정적인 보도 등에 따른 막연한 기대감을 그 근거로 지목했다. 수출호조가 경기회복의 근거라고 지목한 가구는 24.4%. 투자호조 및 고용상황 개선을 지목한 가구는 각각 10.0%와 9.2%. 물가안정과 소비호조를 지목한 가구는 7.7%로 동일한 수치를 나타냈고, 정치사회 안정을 지목한 가구는 6.9%. 경기회복의 근거를 언론의 긍정적인 보도 등에 따른 막연한 기대감이라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전 분기 대비 8.7%p 상승한 반면, 수출호조라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8.2%p 하락. 미국 경기 회복세 지속 여부가 불투명해지고 중국 경기 둔화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세계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어 수출의 경기 견인력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하락한 것으로 판단

물가상승 우려 속에 고용회복을 전망

1년 후 가계의 물가를 전망하는‘물가예상지수’는 2010년 3/4분기에 전분기보다 0.5p 하락한 73.6을 기록하였으며, 2009년 3/4분기 이후 4분기만에 하락했지만 여전히 기준치(50)를 크게 상회해 향후 물가불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지속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1년 후의 고용상황을 예상하는‘고용상황전망지수’는 54.1로 2/4분기보다 0.3p 상승했는 데 이는 2010년 7월 일자리 증가 폭(전년동월 대비)이 47.3만 개를 기록하는 등 최근 고용상황 개선이 지속되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유로저널 김 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