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 한국 성인남녀 84%, 공인들에 대한 신뢰 매우 낮아

by 유로저널 posted Aug 31,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우리 사회를 이끌어가기에 적합한 인물인지를 검증하는 인사청문회에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국민들의 공인들에대한 신뢰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청문회뿐 아니라 평소에도 사회지도층 등 공인들의 신뢰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취업포털 사람인이 자사회원인 성인남녀1,100명을 대상으로 “대한민국의 사회 지도층을 비롯한 공인에 대한 신뢰도”를  물은 결과, 84.3%가 ‘신뢰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했다.
공인을 신뢰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복수응다베서 ‘가식적으로 보여서(39.7%)'를 가장 많이 꼽았다. 최근 다양한 소통 창구를 통해 공인들이 친숙해지면서, 대중들에게 진심으로 대하는 태도를 더욱 중요하게 평가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사회적 파문을 일으킨 사례가 많아서(38.9%),  본받을 만한 점이 없어서(36.5%), 공인으로서 특별히 다른 점을 못 느껴서(25.9%), 그들과 빈부차이를 느껴서(17.4%), 외국의 존경할만한 공인들과 비교되어서(16.9%), 공인의 위상이 이전과 달리 낮아져서(14%), 나와 관계없는 사람이라 판단 어려워서(12.6%), 지식과 교양이 부족해 보여서(11.7%)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민국 국민들이 공인에게 가장 실망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덕적 해이(모럴 해저드)(17.7%)를 첫 번째로 꼽았으며, 개인적 사리사욕만 추구(16.8%), 탈세, 병역비리 등 국민적 의무 불이행(16.3%), 부정한 방법으로 부를 축적(14.8%), 책임감 부족(11%), 지위 및 재량권 남용(9.9%), 집단 이기주의(6%), 사회 환원 의식 부족(5.2%) 등의 의견이 있었다.
또한 공인들이 꼭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역시 ‘도덕성, 청렴도(43.2%)'를 1위로 꼽았으며 이어 공인으로서의 책임감(15.9%), 인간성 및 인격(9.9%), 언행일치(6.6%), 사회 정의 실현 노력(5.8%), 준법의식(4.1%), 전문성 및 능력(3.6%), 기부 등 사회 환원 의식(3.3%), 사회기여도(2.8%), 능력에 따른 구체적 성과(2.6%), 소신 및 당당함(1.5%) 등이 있었다.  


한국 유로저널 방창완 기자
                     eurojournal25@eknews.net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