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 지난 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고용 양극화 극심

by 유로저널 posted Nov 12,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대기업은 ‘5만 명 늘리고’, 중소·중견기업 ‘1.7만 명 줄이고’,  고용양극화 현상 심화

지난해 국내기업들중 대기업은 고용을 대폭 늘린 반면, 중소기업은 고용을 줄이는 이른바 고용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회원사 전국 6만 6천여개 기업의 최근 3년간 고용동향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대기업은 종업원 수를 전년보다 49,954명 늘려  전체 고용이 3.2% 증가한 반면, 중소,중견기업은 17,355명을 줄여 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종업원 수 규모를 비교해 보면, 상시종업원 수 1천명 이상의 대기업은 총 1,308개사로 약 160만여 명을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6만 3천여 개의 중소기업 고용인원인 131만여 명을 훨씬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기업은 각 사당 1,226명을, 중견·중소기업은 각각 436명, 21명을 고용하는 셈이다. 


업종별 고용규모를 살펴보면, 제조업이 170만명 이상의 고용을 유지하면서 국내 일자리의 절반 이상(52.6%)을 책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소매업(8.1%), 금융보험업(7.2%), 방송통신·정보업(6%), 건설업(5.1%)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가 85,085명으로 5년째 가장 많은 고용창출을 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현대자동차(55,984명), 기아자동차(32,616명), 케이티(30,841명), 엘지전자(29,554명) 순이었다.


고용규모별 기업현황을 분석해 보면, ‘5인 미만’ 사업장과 ‘10~49인 이하’ 사업장 비중이 전체의 58.6%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창업주 1인이 운영하는 ‘1인 창조기업’도 8.8%를 차지해 2년새 약 900여개나 늘어난 걸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이런 현상이 기업의 구조조정이나 정리해고에 따른 창업열풍과 재택창업 붐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이번 고용성적표의 가장 큰 시사점으로 ‘고용 양극화’를 지적하면서 “경기부침에 민감한 중소·중견기업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중견기업을 대기업으로, 중소기업은 중견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유인책 마련을 통해 경기상황에 좀 더 의연할 수 있는 규모로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박 본부장은 “1인 창조기업으로 시작했지만 추가고용을 통해 기업규모를 키워나가는 사례가 많이 발견됐다”면서 “이들 기업이 새로운 고용증대의 기대주인만큼 정부는 적극적인 창업지원과 지역특성화 전략에 맞는 첨단 제조업·녹색 IT산업 육성에 더욱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 5 년동안 대기업 이익 증가율 두 자리수,
하지만 고용은 1% 미만인 제자리

한편,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결실련)은 상위 15대 재벌의 5년간 연속 상장 계열기업의 당기순이익과 고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대기업의 이익 증가율이 두자리수를 나타냈지만 고용은 거의 제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실련에 따르면 글로벌 경제위기까지 포함되었던 지난 2005~2009년 5년 동안 상위 15대 기업집단은 당기순이익이 29조6791억원에서 33조7488억원으로 4조697억원, 13.7% 증가했으나,고용추이는 2005년 53만397명에서 2009년 53만4804명으로 4407명만 증가했다. 이는 지난 2005년 고용인원의 0.83%에 불과해 사실상 거의 그대로인 셈이다.
5년 동안 고용이 가장 크게 증대된 그룹은 삼성(9720명, 6.9%), 현대자동차(8104명), LG(5114명) 순인 반면,고용인원이 가장 많이 감소한 그룹은 롯데(-7243명. -24%), KT(-6935명), LS(-2769명) 순으로 나타낫다.
5년 동안 고용이 감소한 기업집단은 롯데 포스코 현대중공업 케이티 두산 LS 등 8곳이다.


경실련은 “당기순이익이나 사내유보금은 쌓여도 고용이나 투자가 증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며 “출자총액제한제도(출총제)와 같은 규제로 투자와 고용이 증가하지 않았다는 재벌들의 주장은 허구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한국 유로저널 방창완 기자
eurojournal25@eknews.net

 

<전 유럽 한인대표신문 유로저널, eknews.net>

www.eknews.net는 최대발행부수와 최대발행면을 통해
전유럽 16 개국 한인사회로 유일하게 배포되고 있는 주간신문 유로저널의 홈페이지입니다.
기사 제보를 비롯한 광고 문의 등은 아래 연락처를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44 (0)208 949 1100, +44 (0)786 8755 848
eurojournal@eknews.net 혹은 eurojournals@hotmail.com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