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4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Extra Form
extra_vars1 cinema.jpg|||||||||||||||||||||
extra_vars2 |||||||||||||||||||||||||||||||||||||||||||||||||||||||||||||||||||||||||||||||||




지난주에 이어 오늘은 ‘디 워(D-war)’ 논란의 뒷북 두 번째 이야기이자 아마 마지막 이야기가 될 것 같다. 사실, 한 편의 영화를 놓고 그 영화에 대한 감상평이나 의견은 다양할수록 좋다는 개인적인 생각이다. 그것이 비합리적인, 또 비상식적인 원인으로 인한 무조건적인 칭찬이나 비하가 아니라면 영화를 통한 토론만큼 건전하고 흥미로운 일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디 워(D-war)’와 관련해서는 그러한 건전한 영화 이야기가 채 시작되기도 전에 심형래 감독과 충무로의 대결 구도를 비롯 영화 외적인 다양한 갈등 양상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여기에는 우리나라의 성숙하지 못한 인터넷 윤리가 그 폐해를 여지없이 드러냈다. 건전한 네티즌 문화에 대한 얘기는 그 자체만으로도 너무나 거대한 주제이니 그 부분은 생략하겠다.

사실 필자는 개인적으로 토론을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MBC에서 ‘디 워(D-war)’ 논란과 관련하여 방영된 100분 토론은 흥미 있게 시청하였다. 물론 토론이라는 것은 정확한 주제와 논거가 뒷받침되어야 진정한 토론이라고 할 수 있는데, 사실 그 날 토론은 단지 사람들의 관심을 사로잡는 자극적인 소재였을 뿐, 진정한 토론으로 보기에는 상당히 무리가 있었다. ‘디 워(D-war)’ 논란을 통해 한국 영화의 미래와 연관시켜 토론을 한다고 거창하게 내세웠건만, 한 쪽에서는 ‘디 워(D-war)’가 이러이러한 이유로 좋았다 내지는 응원해 줘야 한다라는 입장만을 반복하고, 상대편에서는 ‘디 워(D-war)’를 향한 객관적인 비평을 금지하는 분위기는 잘못된 것이다라고 주장했는데, 당시 워낙 치열했던 분위기에 휩쓸려 별다른 생각을 못했던 분들이라도 지금 단순히 정리해보면 두 입장은 서로 상반되어 토론을 벌여야 할 구도에 놓여있지 않다는 사실이 금방 이해될 것이다. 차라리 ‘디 워(D-war)’ 논란에 대해 과연 영화 자체의 평가를 떠나 그 어떤 이유로 한 편의 영화를 응원해 주는 게 맞느냐, 아니냐를 놓고 토론을 하던가, 아니면 ‘디 워(D-war)’를 향한 객관적인 비평을 금지하는 네티즌들의 태도가 옳으냐, 그르냐를 놓고 토론을 하던가, 아니면 정말 ‘디 워(D-war)’가 한국영화의 미래에 관한 대안이냐, 아니냐와 같은 보다 명확하고, 공평한 토론의 구도가 이루어졌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 게 사실이다.

필자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디 워(D-war)’를 향한 객관적인 비평을 통해 어느 정도의 성과를 보인 부분은 칭찬하고, 더욱 발전시키는 한편, 다소 부족한 부분들은 보편적인 영화평에 근거에 지적하고, 보완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게 옳다고 본다. 그리고, 다소 미흡한 부분들이 있다 할지라도, 이는 분명 한국 영화의 미래를 위해 일정 부분 중요성을 갖는 일이라면 한 번쯤 격려하고 응원해 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도 결국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기에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실은 일방적으로 ‘디 워(D-war)’를 찬양하기만 하는 일부 과격파들과, 또 이에 반해 ‘디 워(D-war)’의 단점만을 지적하고, ‘디 워(D-war)’를 둘러싼 현상에 극단적으로 비판적인 의견들이 충돌을 일으키는 구도로 진행되었다.

아마도 그러한 가운데 가장 피해를 봤을 사람들은 순수하게 영화를 관람하려던 관객들이 아니었나 싶다. ‘도대체 이 영화가 뭐가 어떻길래 그렇게들 난리지?’라는 호기심으로만 이 영화를 관람했다면 아마도 한 편의 영화를 진정 순수하게 관람했다고 보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한 편의 영화를 본다는 것은 어두컴컴한 극장에서 빛과 그림자라는 마법을 통해 한 사람의 내면 깊숙한 그곳과 은밀한 소통으로 이루어지는 감격스런 만남인 것을, 어쩌면 세상에서 들려오는 너무나 시끄러운 소음으로 정작 자신에게서 들어야 하는 가장 정확한 소리를 놓쳐버린 게 아닌가 싶다.

논란이 가열되면서 사람들은 모두 누가 옳고 누가 틀리냐, 누구의 설득력이 더 강하냐, 누구의 표현력이 더 후련하냐에 더욱 관심을 가질 뿐, 정작 ‘디 워(D-war)’라는 한 편의 영화가 자신에게 어떠한 느낌으로 다가왔는지를 충실히 느끼고 생각해 보는 일에는 오히려 소홀한 듯 보였다. 그것이 21세기에 영화를 소비하는 방식이요, 마케팅이라는 거대한 힘의 논리라면 할 말이 없지만, 분명 한 편의 영화를 만나고, 그 영화를 통해 또 다른 세상을 만나고 간직하는 행위에 있어서 방해되는 것들을 가급적 피해야 한다는 생각이다.

아무리 잘 만들었다 해도 이 세상에 완벽한 영화란 있을 수 없으며, 반대로 안좋기만 한 영화도 없을 것이다. 꼭 봐야 한다고 강요할 수 있는 영화도 없지만, 또 그 영화를 본다고 손가락질 당할 영화도 없을 것이다. 영화를 둘러싼 담론이 결과적으로 그 영화가 가져올 미래를 더욱 건강하게 만들지 못한다면 결국 그 담론은 의미 없는 그것일 뿐이다. 영화팬들에게 영화를 향한 순수를 불러일으키는 영화 ‘시네마 천국’의 주인공 토토가 만약 ‘디 워(D-war)’를 관람한다면 과연 그는 어떤 느낌으로 ‘디 워(D-war)’를 만날지…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 이 시대 최고의 스타일리스트를 찾아서 (2) 이명세 file 유로저널 2007.06.01 1538
110 이 시대 최고의 스타일리스트를 찾아서 (3) 왕가위 file 유로저널 2007.06.13 2303
109 스크린을 통해 만나는 6.25와 북한 file 유로저널 2007.06.21 1907
108 스크린을 통해 만나는 베트남전 file 유로저널 2007.06.28 1845
107 행운인가, 불행인가? 배역의 그림자 file 유로저널 2007.07.05 1907
106 영화음악가 열전을 연재하면서 file 유로저널 2007.07.12 1866
105 영화음악가 열전 (1) 엔니오 모리꼬네 file 유로저널 2007.07.20 1647
104 영화음악가 열전 (2) 존 윌리암스 file 유로저널 2007.07.27 2035
103 영화음악가 열전 (3) 조성우 file 유로저널 2007.08.03 2129
102 영화음악가 열전 (4) 에릭 세라 file 유로저널 2007.08.08 2752
101 영화음악가 열전 (5) 대니 엘프만 file 유로저널 2007.08.15 2704
100 영화음악가 열전 (6) 니노 로타 file 유로저널 2007.08.22 3459
99 ‘디 워(D-war)’ 논란의 뒷북 (1) file 유로저널 2007.09.04 2038
» ‘디 워(D-war)’ 논란의 뒷북 (2) file 유로저널 2007.09.13 2424
97 괴수 영화의 지존을 찾아서 (1) file 유로저널 2007.09.20 2081
96 괴수 영화의 지존을 찾아서 (2) file 유로저널 2007.09.27 3006
95 노장 영웅들의 귀환 file 유로저널 2007.10.03 1766
94 주목해야 할 영국 출신 영화감독 2인방 file 유로저널 2007.10.10 2287
93 스크린을 통해선 본 미래 (1) file 유로저널 2007.10.17 2026
92 스크린을 통해선 본 미래 (2) file 유로저널 2007.10.25 2054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 1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