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31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Extra Form
extra_vars1 frankie_and_johnny.jpg|||frankie_amp_johnny_1991_reference.jpg|||f j.jpg|||||||||||||||
extra_vars2 |||||||||||||||||||||||||||||||||||||||||||||||||||||||||||||||||||||||||||||||||




지난 번 신부의 아버지(Father of the bride, 1991)를 소개한 이후 오랜만에 필자가 아끼는 작품 한 편을 소개한다. 우연의 일치로 지난 번 소개한 ‘신부의 아버지’와 같은 해에 개봉했던 영화 ‘프랭키와 쟈니’. 줄리아 로버츠를 일약 스타로 만들었던 ‘귀여운 여인’의 게리 마샬 감독이 ‘귀여운 여인’의 차기작으로 연출한 작품인데다 알 파치노, 미셸 파이퍼라는 당대 최고의 배우들이 출연한 작품임에도 흥행에서는 그다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해 일반 관객들에게는 다소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다.

영화는 Terrence MacNally의 희곡인 ‘달빛 속의 프랭키와 쟈니(Frankie and Johnny in the Clair De Lune)’를 원작으로 하고 있으며, 이 ‘Frankie and Johnny’는 미국의 오래된 구전 팝송이기도 하다. 대개의 로맨스 영화들이 젊은 남녀의 사랑을 담고 있는 데 비해 이 작품은 중년 남녀의 사랑, 그것도 마냥 로맨틱하거나 마냥 슬픈 그런 극적인 사랑이 아니라 평범한 중년 남녀의 사랑이 조금씩 이루어져가는 과정을 보여주면서, 뉴욕 소시민들의 삶을 아름답게 담아내고 있다. 아마도 연출을 맡은 게리 마샬 감독의 전작인 ‘귀여운 여인’을 통해 전세계적인 반향을 일으켰던 신데렐라 스토리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소박하고 잔잔한 드라마에 가까운 영화인 탓에 ‘귀여운 여인’과 같은 솜사탕(?) 같은 이야기를 기대한 관객들로부터 외면당한 면이 없지 않았던 것 같다.

주인공인 프랭키(미셸 파이퍼)는 이전 사랑했던 남성으로부터 받은 상처를 가슴 깊이 간직하고 사는 평범한 중년의 웨이트리스, 쟈니(알 파치노)는 어설픈 범죄로 감옥살이를 막 마치고 나온 중년의 요리사. 이 둘은 같은 식당에서 일을 하며 만나게 되고 프랭키에게 한 눈에 반한 쟈니의 구애가 펼쳐지지만 사랑으로 인한 깊은 상처를 안고 있는 프랭키로서는 마음을 쉽게 열지 못한다. 사실, 알 파치노와 미셸 파이퍼는 설명이 필요 없는 걸작 ‘스카페이스’(1983)에서 이미 연인으로 호흡을 맞춘 바 있다. 실제 중년의 나이에 접어든 두 배우들은 특별하지 않지만 소중한 삶을 살아가는 평범한 중년 남녀의 감성을 훌륭하게 살려내며, 보는 이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따스한 연기를 선보이고 있다. 이들 두 주연 남녀 외에도 디즈니의 ‘라이온 킹’에서 ‘티모’의 목소리 역으로 유명한 배우 나단 레인이 프랭키의 게이 룸메이트로 출연해 웃음을 선사하며, 주인공들이 일하는 식당의 인물들 또한 영화의 맛을 더해주고 있다.

프랭키의 마음을 가까스로 열게 된 쟈니가 프랭키를 데리고 새벽 꽃시장을 찾아 데이트를 하던 중 꽃으로 가득 찬 트럭이 열리면서 꽃으로 가득한 배경에서 둘이 키스를 나누는 장면, 창문을 통한 영화 속 각 인물들의 모습을 비추면서 저마다의 소중한 삶을 보여주는 장면 등 게리 마샬 감독은 화려하거나 자극적이지는 않지만 소박하고 따스한 감성을 장면 곳곳에 드러내고 있다.

특히, 마빈 햄리쉬가 담당한 본 영화의 음악은 영화의 따스함을 더해주고 있으며, 영화의 주제곡이나 다름없는 드뷔시의 ‘달빛(Clair De Lune)’은 주인공인 프랭키와 쟈니의 사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일등공신으로 이 영화의 매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 곡은 훗날 ‘오션스’ 시리즈에서도 등장한다.

영화가 전하고 있는 사랑은 대단한 그 무엇이 아니다. 다만 마음을 열고, 마음을 감싸주고, 마음을 나누는 과정으로 결코 쉽지만은 않지만, 그렇다고 어렵기만 한 것도 아닌, 우리네 삶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 평범하지만 가장 소중한 선물로 그려지고 있다.

젊은 남녀의 요란한, 지나치게 극적인, 또는 닭살스런 애정 행각만을 그려낸 요즘 로맨스 영화에 실증난 관객이라면, 특히 자신이 중년에 접어들었다고 여겨지는 관객이라면, 마지막으로 삶의 온기가 식어진 삶을 살고 있다고 느끼는 관객이라면 한 번쯤 감상해 볼 가치가 있는 작품으로 추천한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1 영화계의 두 천재 악동 file 유로저널 2007.10.31 2432
90 영화에서의 내러티브(서사구조), 필수인가, 선택인가? file 유로저널 2007.11.08 3014
89 한국 영화의 원작자로 재조명해보는 안정효 file 유로저널 2007.11.15 2395
88 영국의 어두운 현실을 표현한 영화 두 편 file 유로저널 2007.11.22 2436
87 놓치지 말아야 할 영국 영화 다섯 편 file 유로저널 2007.12.06 3371
86 통기타 선율이 매력적인 영화 두 편 file 유로저널 2007.12.13 1994
85 크리스마스에 볼만한 영화모음 file 유로저널 2007.12.20 3510
84 2007년 영화계를 돌아보며 file 유로저널 2007.12.27 1773
» 프랭키와 쟈니(Frankie & Johnny, 1991) file 유로저널 2008.01.03 3121
82 배우열전 (1) 제니퍼 제이슨 리 file 유로저널 2008.01.10 3641
81 배우열전 (2) 하비 케이틀 file 유로저널 2008.01.16 2441
80 배우열전 (3) 존 말코비치 file 유로저널 2008.01.24 2151
79 배우열전 (4) 스티브 부세미 file 유로저널 2008.01.30 3309
78 배우열전 (5) 김윤석 file 유로저널 2008.02.07 2253
77 배우열전 (6) 장만옥 file 유로저널 2008.02.14 4718
76 배우열전 (7) 로렌스 피쉬번 file 유로저널 2008.02.20 2612
75 배우열전 (8) 뱅상 카셀 file 유로저널 2008.03.06 2788
74 배우열전 (9) 존 쿠삭 file 유로저널 2008.03.13 2827
73 배우열전 (10) 위노나 라이더 file 유로저널 2008.03.20 2585
72 야생을 통한 자아찾기, ‘Into the Wild’ file 유로저널 2008.03.27 1615
Board Pagination ‹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Next ›
/ 1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