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default_style == 'guest'"> guestbook">

영국의 부동산시장은 크게 주거용부동산시장(residential property market)과 상업용부동산시장(commercial property market)으로...

by 유로저널  /  on Jun 13, 2010 15:38
영국의 부동산시장은 크게 주거용부동산시장(residential property market)과 상업용부동산시장(commercial property market)으로 나눌 수 있다. 주거용 부동산 시장은 소유자가 거주하는 자가주택(owner occupation)과 그렇지 않은 임대주택(rented housing)으로 나눌 수 있고, 임대주택은 그 소유주체에 따라 다시 지방정부 (local authority)나 주택협회 (housing association)가 소유한 공공주택 (social housing)과 개인이 소유한 개인임대주택 (private rented housing)으로 나눌 수 있다.

1. 자가주택 (Owner occupation)의 특징
약 100년전인 1900년의 자가주택 점유율은 10%에 불과하였으나 요즘은 약 70%에 이르렀다. 이런 변화는 정부정책, 주택의 유효성 availability of housing, 자금 이용도, 대중의 취향과 선호도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영국의 자가주택 점유 (owner occupation) 수준은 유럽 평균보다는 약간 높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더 부유한 독일과 스위스는 오히려 영국보다 낮고, 반대로 영국보다 더 가난한 나라는 영국보다 훨씬 높은 경우도 있다. 그러면 왜 영국인들은 유럽의 다른 나라 사람과 비교하여 임대보다 소유를 더 선호하게 되었는지 살펴보자.

(1) 역사적 요인
역사적 요인들이 19세기와 20세기에 주택소유의 증가에 크게 기여하였다. 영국은 산업화의 첫 국가로서 시골에서 도시로 많은 인구가 유입됨으로써 그 많은 인구를 흡수할 주택 자원이 부족하게 되었다. 그래서 큰 회사는 개인 소유가 될 수 있는 주택개발에 투자를 하였고, 많은 노동자는 그들 자신의 주택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한 도구로 생긴 것이 주택공제조합 (building society)이다. 이는 각 지역에 근거지를 주고 운영되었는데 수익목적이 아닌 회원의 자립을 위한 기구로 그 역할을 하였다. Building Society Association의 회원에게 제공한 모기지 이자율은 여타 자금조달 시장에서의 비용보다 훨씬 저렴하였다. 이런 이유로  1980년대까지 building society는 모기지 시장의 70%를 지배했다. 이런 제도는 결과적으로 일종의 기업단합 (cartel) 이었으나 이 기구는 경제적 요구 뿐만 아니라 대중의 사회적 욕구도 이행하였기에 차기 정부에서도 계속 용인되었다.

(2) 정부정책
가. 모기지 이자에 대한 세금 경감 (tax relief on mortgage interest) 의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주택 소유가 증가하였으나 이 제도는 1999년에 철회되었다.
나. 1984년까지endowment mortgage (양로보험증권을 모기지대출에 대한 지급보증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모기지대출)를 이용한 사람은 지급한 보험료에 대한 세제혜택 (life assurance premium relief : LAPR)을 청구할 수 있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모기지의 자본 요소를 장려금으로 준 셈이다.
다. 주택소유의 권장은 Housing Act 1980으로 시작된 1980년대를 통하여 뚜렷한 정부의 정책이었다. 이는 공공주택세입자 (public sector tenants)에게 카운슬 집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주었고, 얼마 동안 살았느냐에 따라 후하게 할인도 하여 주었다. (다음 주에 계속)

하재성 CeMAP/Alpha Finance 대표
www.alphafinance.info
Tel : +44 (0)20 8949 7006

*신개념 온라인 토탈 금융서비스! 알파금융 (www.alphafinance.info)의 취급상품:
모기지/리모기지/Buy to Let 모기지/Commercial 모기지, 특수보험 (건축업자 contractor보험, 전문가-PI보험, Liability보험, Pub & 레스토랑보험), 최저가 자동차보험/Van보험/주택건물보험/ 상가건물보험/Business보험/여행보험/Pet보험, 각종대출 (담보/신용/소액긴급대출), 개인회생 IVA 및 채무관리 Debt Management, 에너지 (가스/전기) 공급자전환 /모바일 신규가입/브로드밴드전환 등 생활에 밀접한 각종 서비스 제공 (이메일 무료상담 : info@alphafinance.info)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유로저널-하재성의 금융정책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915 [하재성의 금융산책 12] 임차보유토지Leasehold 부동산 구입 시 주의할 점 유로저널 10/05/08 00:06 7447
3914 [하재성의 금융산책 53] Council Tax 산정과 어필 방법 유로저널 11/03/17 22:20 7093
3913 [하재성의 금융산책 47] 유언과 부동산 상속 유로저널 11/02/06 01:00 6169
3912 [하재성의 금융산책 56] 영국에서의 주택 구입 절차 eknews24 11/04/17 01:50 6161
3911 [하재성의 금융산책 58] 주택 매매 시 ESTATE AGENT의 역할 eknews24 11/05/01 21:58 6019
3910 [하재성의 금융산책 34] 금융과 법률3-영국의 변호사제도 유로저널 10/10/25 23:37 5891
3909 [하재성의 금융산책 39] 영국의 오르는 부가가치세율 (VAT) 유로저널 10/11/27 01:05 5206
3908 [하재성의 금융산책 27] Council Tax Benefit 카운슬 택스 보조금 신청 유로저널 10/08/28 23:57 5126
3907 [하재성의 금융산책 55] Top-up loan과 리모기지 file eknews24 11/04/11 19:58 5125
3906 [하재성의 금융산책 62] 부동산 구입 시 납부하는 인지세 (Stamp Duty Land Tax) eknews24 11/05/27 20:47 4929
3905 [하재성의 금융산책 59] 주택 매매 시 감정평가의 중요성 eknews24 11/05/06 23:18 4887
3904 [하재성의 금융산책 61] 주택 구입 시 유의할 주택의 결함 (2) eknews24 11/05/20 22:55 4714
3903 [하재성의 금융산책 46] 부동산 공동소유의 유형과 모기지 상환에 대한 책임 유로저널 11/01/29 00:03 4671
3902 [하재성의 금융산책 54] Business Rate 부과방식과 감면혜택 eknews24 11/03/25 23:44 4604
3901 [하재성의 금융산책 6] APR 이란 무엇인가 유로저널 10/03/29 19:46 4575
3900 [하재성의 금융산책 13] 나의 신용점수는 얼마일까? 유로저널 10/05/16 18:25 4476
3899 [하재성의 금융산책 63] 모기지 대출 시 상환능력과 가처분소득 eknews24 11/06/05 22:17 4475
» [하재성의 금융산책 16] 영국의 주거용 부동산 시장의 특징 (1/3) 유로저널 10/06/13 15:38 4232
3897 [하재성의 금융산책 65] 영국의 최저임금 eknews24 11/06/19 20:12 4115
3896 [하재성의 금융산책 64] 고용계약과 고용계약서 eknews24 11/06/12 21:36 3995
Board Search
1 2 3 4 5 6 7 8 9 10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