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5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수정 삭제


보름 전 ‘그렇게 떠나면 안 되잖아’ 편을 써놓고 혹시나 하는 마음이 남아있었건만, 회사에서 오후 티타임에 동료들이 차를 끓여오고 비스킷을 사 와서 즐겁게 나눠먹는 중 인터넷으로 한국 뉴스를 보다가 결국 천안함 장병들의 시신이 발견되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눈물을 감추느라 고생했다.

솔직히 많은 기대를 한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혹시나 했는데...

어둡고 차가운 그곳에 갇혀서 차오르는 숨을 참다가 결국 마지막 순간을 맞이한 그들이 겪어야 했을 고통과 공포를 떠올리니 너무나 끔찍해서 나도 모르게 몸이 떨린다. 얼마나 무서웠을까,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그렇게 아무런 준비도 세상을 떠나야 했던 그들의 안타까움을 누가 달래줄 수 있을까...

내 자식이, 내 남편이 그렇게 공포와 고통 속에서 떠났다는 것을 그 누구보다 처절히 실감하고 있을 유가족들의 아픈 가슴은 차마 헤아리기조차 어렵다. 사랑한다는 말도, 잘 가라는 말도 못한 채, 아무런 예고도, 준비도 없이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 보낸 그들의 뜨거운 눈물이 언제나 메마를 수 있을까...

국가에 대한 의무를 완수하던 중 세상을 떠난 그들, 그런데 정작 국가는 국가의 부름에 몸을 던진 그들에 대한 국가의 의무를 다 한 것인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앞으로의 상황이 대충은 예상된다.

국가의 높으신 양반들이 심각한 척하는 표정으로 유감을 표시할 것이고, 사건을 정확히 규명하고 책임자의 잘잘못을 가려서 필요한 처벌을 하라며 폼(?) 나게 명령할 것이다, 정작 자신들 역시 책임자라는 사실은 인정하지 않은 채. 이들 높으신 양반들 대부분은 정작 자신이나 자신의 자녀들은 군 면제자겠지. 몇 명의 높으신 군인들이 옷을 벗을 지도 모를 일이지만, 아마도 그저 ‘재수가 없구나’ 할지언정, 진심으로 반성하고 슬퍼하지는 않을 것이다.

해군은 당분간 해군들을 배에 태우지 않으려 할 것이며, 배에 태우더라도 혹시나 모를 사태에 대비해 호들갑을 떨면서 안전을 점검할 것이다, 그저 당분간이다. 해군뿐만 아니라 당분간 전 군이 안전을 강조하면서 뭘 하더라도 위험 요소가 없는지 확인하느라 호들갑을 떨 것이다.

당분간 해군을 자원하는 이들이 없을 것이고, 부모들도 자기 자식들이 해군을 가면 어쩌나 하면서 노심초사 할 것이다. 이러다가 해군 입대자 미달 사태가 발생하여 강제징집으로 해군을 충원할 지도 모를 일이다.

정치인을 비롯한 사회 고위층이나 돈, 권력을 거머쥔 이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더더욱 자신들의 자녀들을 군에 보내지 않은 것에 대해 잘 한 선택이었다고 안도할 것이며, 이들은 앞으로 정말 자녀들을 군에 보내지 말아야겠다고 재다짐을 하고 있을 것이다.

그렇게 세월이 흐르다 보면 우리는 어느새 천안함이라는 배 이름조차 가물가물해질 것이다. 그저 유가족들의 가슴에만 지워지지 않을 상처로 남은 채, 그 모든 것들은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흘러갈 것이다.

돈과 권력이 있어서 자녀들을 군에 보내지 않아도 되는 이들과, 돈과 권력이 없어서 자녀들을 군에 보내놓고 마음 졸이는 이들이 공존하는 대한민국은 변함없이 유지될 것이다.

옆자리에 앉은 영국인 동료도 인터넷으로 BBC 뉴스를 통해 천안함 소식을 접하고서 필자에게 아는 척을 한다. 그저 “So sad”라고 대꾸해줄 뿐, 해줄 말이 없다. 2010년 최첨단 시대에, 또 그 중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의 최첨단 국가를 자부하는 한국에서 사람의 목숨이 달린 일인데도 그렇게 어설픈 대응을 보였으니 뭐라 말하겠는가?

영국에서도 주기적으로 이라크, 아프간 전사자들에 대한 소식이 들려오고, 그 때마다 군에 대한 장비 지원이나 정부의 정책이 옳은 것인가를 매섭게 몰아치는 논란이 일어나곤 한다. 군인은 국가에 대한 의무를 다해야 하지만, 국가 역시 군인들에 대한 의무를 바르게 했느냐는 것이다.

거기에 왕가의 자녀들이나 귀족 출신들, 그러니까 이 나라에서는 돈과 권력을 가질 만큼 가진 이들도 군복무를 하는 모습이 최근에도, 또 역사 속에서도 심심찮게 보인다.

앞으로는 ‘타이타닉’이나 ‘포세이돈 어드벤처’ 같은 영화들을 마냥 즐겁게 감상하기 어려울 것 같다. 이전까지는 그저 영화 속에나 존재하는 그런 일이라고 여겼다. 그런데, 이번 사건을 통해 그렇게 공포와 고통 속에서 떠나야 했던 이들, 그리고 형용할 수 없는 슬픔을 안은 채 남겨진 이들의 모습을 내 조국에서 목격하게 되니 그것이 얼마나 끔찍하고 얼마나 슬픈 일인지 가슴 깊숙한 곳에서 실감된다.

이번 천안함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면서, 유가족들께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전성민의 '서른 즈음에' - 필자 소개 file 유로저널 2007.01.19 12958
253 첫 눈 내리던 날 유로저널 2007.01.25 2614
252 불공평을 불평하는 순간 루저가 된다 file 유로저널 2009.11.27 2610
251 무엇으로 인정받을 것인가? file 유로저널 2009.08.29 2604
250 ‘서른 즈음에’의 마지막 ‘해’ eknews03 2012.12.28 2594
249 인생 곳곳에서 우리를 기다리는 구타 유발자들 유로저널 2009.08.09 2593
248 친구 file 유로저널 2008.06.03 2589
247 지난 여름날로 떠나는 여행-2 file eknews03 2012.08.06 2582
246 나는 런던의 한국인 헤드헌터 (1) 유로저널 2010.08.02 2565
245 능구렁이가 되어간다는 것 유로저널 2009.11.14 2564
244 해가 지지 않는 나라의 그늘 (3) eknews03 2011.09.04 2562
243 이민사회의 존경받는 원로가 된다는 것 eknews03 2012.10.01 2556
242 그런 계절이 왔으면 유로저널 2007.01.19 2556
241 아직은 스마트폰을 쓰지 않는 이유 (1) eknews03 2012.06.24 2555
240 얼었던 가슴을 녹이는 계절 eknews03 2015.03.01 2554
239 인생이라는 거대한 무대에 올라선 배우들 file 유로저널 2007.09.13 2554
238 심심해서 좋은 영국의 여름날 file eknews03 2013.07.16 2550
» 결국은 그렇게 떠나셨네요 file 유로저널 2010.04.18 2537
236 해가 지지 않는 나라의 그늘 – 마지막 eknews03 2011.09.18 2535
235 600파운드짜리 이야기 eknews03 2013.02.24 2527
234 나는 런던의 한국인 헤드헌터 (4) 유로저널 2010.08.21 2525
Board Pagination ‹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0 Next ›
/ 2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