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9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예전에도 언급한 적이 있지만, 필자는 원래 정치, 경제에 참 무식한 편이었다. 그런 것들을 너무 많이 알면 오히려 행복을 잃어버리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언론 공부를 하면서, 글 쓰는 일을 하나의 직업처럼 갖게 되면서도, 내가 쓰고 싶은 이야기는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이야기, 행복을 발견할 수 있는 이야기였지, 세상의 정치, 경제에 대한 얘기는 결코 아니었다.

그래도 명색이 언론 공부를 했고, 신문 기자로 일을 해야 하니 어쩔 수 없이(?) 정치, 경제도 알아야 했고, 그렇게 기자로 일하면서 그나마 정치는 조금 이해했는데, 경제는 여전히 수박 겉핥기 수준으로만 기사를 겨우 쓰는 수준이다.

부끄럽게도 나는 아직 주식이니 펀드니 하는 것들이 정확히 어떤 원리로 돈을 만들어내는 것인지 알지 못한다. 신용카드도 한 번도 만들어본 적이 없고, 한국에서 얘기하는 연말정산이니 하는 것들이 뭔지도 모른다.

한국에서 부모님을 모시고 이것 저것 먹으러 다닐 때 필자가 무조건 현금으로만 계산을 하는 통에 그 때마다 부모님은 현금영수증을 꺼내시는데, 사실 이것도 도대체 왜 하는 것인지, 어떤 원리로, 우리에게 무슨 이득이 있는 것인지 아직 모른다.

이러면서 어디가서 기자라고 하기에 스스로도 참 부끄럽다. 그나마 문화예술에 대해서는 다른 일반 기자들보다 전문적인 기자라는 게 위안이라면 위안이다.

그렇게 필자가 경제에 대해 무식하다 보니 ‘주택’, ‘부동산’에 대해서도 무식하지 않을 수가 없다. 이것도 정말 부끄러운 얘기지만, 나는 우리나라의 ‘전세’ 제도가 대충이라도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에 대해 알게 된 지가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당장 부모님께서 살고 계시는 한국의 고향집이 현재 어떤 형태(?)로 되어 있는 집인지도 모른다. 한국에서 집을 사는 것과 관련해 사용되는 단어들인 ‘분양’, ‘청약’과 같은 것들이 정확히 뭘 의미하는 지 모른다. 가끔 어느 지역 분양을 받으면 로또라는 표현까지 쓰는 것을 봤는데, 왜 그렇게 얘기하는 것인지 도통 모르겠다.

친구들 중에서는 벌써 자기 집을 장만한 놈도 있는데, 가끔은 이런 스스로가 한심해 보이기도 한다. 그냥 ‘내 신간 편하면 그만이지, 뭘 그렇게 다 알고 살아야 하나’하는 태도로 지내왔는데, 한 편으로는 내가 아직 너무 철이 없나 싶기도 하다.

아마 오늘 이야기를 읽으시는 분들 중에서도 이런 필자에게 ‘니가 아직 뭘 모르는 구나, 니가 아직 세상을 덜 살았구나, 니가 아직 철이 없구나’하시면서 혀를 차는 분들도 계실 것 같다.

그런데, 한국사람들은 때론 너무 심하다 싶을 만큼 이 ‘집’이라는 것에 대해 예민한 것 같다. 굳이 그렇게까지 하지 않아도 될 것을, 집 때문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살아가는 것 같다.

아마도 내가 본격적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해야 하는 시기에 영국으로 온 바람에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한국인들이 그렇게 집에 혈안이 되어 살아가는 모습을 이해하기 어렵다.

물론, 영국에서도 집을 샀다가 나중에 집값이 올라서 차액을 남긴 이들도 있고, 그야말로 투기 목적으로 집을 사는 사람도 있다. 영국에서도 주택 가격 변동이나 주택 시장 현황은 경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그렇다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집을 사는 문제 혹은 임대하는 문제에 대해 그렇게까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살지는 않는다. 주택 가격에 대해 그렇게 예민하지 않다. 주택 시장이 그렇게까지 대단한 관심사이자 흥분하게(?) 만드는 사안이 아니다.

당장 우리 회사 사람들만 봐도 개중에는 자기 집을 갖고 있는 사람도 있고, 월세로 사는 사람도 있고, 다양한 형태로 주거를 해결하고 있지만, 어느 누구도 단 한 번도 주택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얘기한 경우는 없었다.

자기 집이 있다고 그게 그렇게 대단한 것도 아니고, 또 영국에서 가장 흔한 주거 형태인 월세를 산다는 것도 아무 문제가 없다.

집을 사기 위해 그렇게 혈안이 되어 있는 이들도 없고, 또 집을 가진 이들도 그 집을 통해 어떤 이익을 보거나 혹은 손해를 볼까 신경을 곤두세우는 이들도 없다.

집은 어디까지나 고단한 하루 일과를 마치고 퇴근하여 맘 편히 두 다리 뻗고 누울 수 있는 그런 곳이면 되는 것이다. 형편이 되면 자기 집을 살 수도 있는 것이고, 형편이 안 되면 월세로 살면 되는 것이다. 집은 결코 우리 인생의 목적도, 수단도 아닌 것이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그게 그렇지가 않은가보다.

집이라는 것에 대해 한국이 영국과 다른 정서를 갖고 있는 것, 그렇게 차이점일 갖고 있다는 사실 자체는 괜찮다.

문제는 그것이 사람을 더 행복하게 해주는 차이점인지, 불행하게 하는 차이점인지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한국 사람들은 영국 사람들보다 집과 관련해 몇 배나 더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을 보니, 아무래도 그것은 사람을 더 불행하게 하는 차이점인 모양이다.

다음 회에 계속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전성민의 '서른 즈음에' - 필자 소개 file 유로저널 2007.01.19 12958
» 집, 두 다리 뻗고 잘 수 있는 곳이면 된다 (1) 유로저널 2011.01.22 2966
192 사는 곳 vs 그리운 곳 유로저널 2011.01.16 3923
191 떠날 때를 알 수 없으니... file 유로저널 2011.01.08 2751
190 끝과 시작 유로저널 2010.12.28 2759
189 크리스마스 이브에 ‘그렘린’을 보는 이유 file 유로저널 2010.12.12 3576
188 퇴근을 기다리고, 주말을 기다리며, 12월을 기다리듯... 유로저널 2010.12.03 2857
187 음악이라는 것... file 유로저널 2010.11.22 2661
186 문득 세월이 흘렀음이 진하게 느껴진 어느 날에... 유로저널 2010.11.14 2491
185 천재 보컬도 좋지만 싱어송라이터가 그립다 유로저널 2010.11.05 3075
184 그 시절, 그 녀석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유로저널 2010.11.01 2920
183 한국의 노약자석 vs 영국의 노약자석 file 유로저널 2010.10.24 8566
182 차세대 포럼, 그리고 동포사회 file 유로저널 2010.10.17 3055
181 서른 넘어 다시 만난 ‘백 투 더 퓨처’ file 유로저널 2010.10.10 4681
180 영국 6년차, 런던 나그네의 보석상자 file 유로저널 2010.10.03 3666
179 나는 런던의 한국인 헤드헌터 - 마지막 (구직자 조언 추가 in 2011) 유로저널 2010.09.20 5276
178 나는 런던의 한국인 헤드헌터 (7) 유로저널 2010.09.11 2926
177 나는 런던의 한국인 헤드헌터 (6) file 유로저널 2010.09.06 2991
176 나는 런던의 한국인 헤드헌터 (5) 유로저널 2010.08.29 2658
175 나는 런던의 한국인 헤드헌터 (4) 유로저널 2010.08.21 2525
174 나는 런던의 한국인 헤드헌터 (3) 유로저널 2010.08.14 2389
Board Pagination ‹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0 Next ›
/ 2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