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中위안화 결제 요구에 우리 기업들 시스템 도입 서둘러

by eknews02 posted Apr 04,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중국의 잇따른 위안화 무역결제 확대조치로 중국과 거래하는 우리기업들이 위안화 결제시스템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OTRA가 최근 對중국 수출입기업 104개사, 중국진출법인 136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설문대상 전체기업의 77.5%가 위안화를 도입했거나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도입검토 원인으로 응답기업의 46%가 중국 바이어로부터 위안화 결제 요구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해 중국기업으로부터의 결제통화 변경 압력이 큰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4.2%만이 현재 위안화로 결제하고 있으나 위안화 미결제 기업 대부분이(76.5%가) 위안화 결제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며 특히 대기업의 경우 11개사 중 10개사가 모두 결제통화를 위안화로 변경할 것이라 밝혀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더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안화 결제 도입사유에 있어서는 한국 수출입기업과 중국진출 법인과 차이를 보였다. 중국현지 진출법인은 환율 절상으로 인한 환차손 리스크 감소, 자금 수령시 불필요한 외환업무 감소 등으로 위안화 결제를 적극 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P식품회사는 미달러 대신 위안화로 수출대금을 수령하자 환차손에 대한 부담이 없어졌고, 수출증치세 환급절차가 간편해졌다고 밝혔다. S식품회사 또한 그동안 달러로 결제하면서 위안화 절상으로 인해 환차손을 감수해야 했고, 중국 외환관리국의 달러결제대금 환전제한으로 자금 손실이 있었지만 위안화 결제로 손실 리스크가 줄어들었다고 했다.
對중국 수출입기업의 경우, 다양한 외화보유로 환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고 위안화 절상에 대한 기대로 위안화 결제시스템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D 자동차부품 회사는 중국의 바이어가 요구하고, 지속적인 환율 절상이 기대될 뿐 아니라 거래처가 주로 대만, 동남아 등 중국의 영향력이 큰 국가이므로 향후 전체 무역결제의 90% 이상을 위안화로 변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면, 위안화 결제에 대해 거부감을 보인 기업들도 상당히 많았는데 응답기업의 22.5%가 위안화로 결제통화를 변경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는데 그 이유로 위안화 결제시스템 미성숙, 위안화 환율 불안 때문이라고 답해 중국 위안화에 대한 불안이 아직도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위안화의 절상가능성 관련해서는 응답기업의 80% 이상이 향후 위안화가치가 향후 점진적으로 절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응답기업들의 58.4%는 위안화가 10년내 국제통화로 자리잡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 위안화 국제화가 빠른 시일 내에 추진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은 최근 위안화 무역결제 지역을 중국 전역으로 확대하기로 결정하는 등 위안화 국제화를 위해 위안화 무역결제 확대를 적극 독려하고 있어, 위안화 결제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