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세번째 이지스함 ‘서애류성룡함’ 진수

by eknews02 posted Apr 11,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803-사회 2 ekn 사진.jpg

 

세번째 이지스함 ‘서애류성룡함’ 진수


 대한민국 해군이 이지스구축함(DDG) 세종대왕함과 율곡이이함에 이어 세 번째인‘서애류성룡함’을 지난 24일 진수시켜 해상기동부대의 전략적인 운용을 강화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지난해 9월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하기 시작한 서애류성룡함은 앞으로 해상 시운전과 인수평가를 실시한 뒤 2012년도 후반기에 해군 인수와 함께 취역할 예정이며, 9개월여간의 전력화 과정을 거쳐 2013년 중반에 실전 배치된다.

해군 기동부대의 핵심임무 수행위한 강력한 능력 갖춰

해군기동전단의 핵심 전력이 될 서애류성룡함(DDG-993)은 최첨단 이지스 전투체계(AEGIS Combat System)를 바탕으로 강력한 대함·대공·대잠 능력을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전투함이다.
앞서 취역한 세종대왕함과 율곡이이함처럼 해상기동부대의 지휘함으로서의 임무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우리 해군의 광역 대공방어능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서애류성룡함의 SPY-1D(V) 레이더는 360도를 감지하면서 수백㎞ 떨어진 1000여 개의 적 표적을 동시 탐지·추적하고 그중 20여 개의 표적을 탑재한 대공무기로 동시에 공격할 수 있다.
수직발사관에 장착된 스탠더드 유도탄(SM-II)이 대표적인 대공 무기체계로서 사거리 170㎞급에 우수한 명중률을 자랑한다. 여기에 단거리 함대공 유도탄(RAM)과 근접방어무기체계(CIWS)로 20㎜ 골키퍼도 탑재, 3중의 방공망을 갖추고 있다.
이 같은 광역 대공방어능력은 자체 대공방어만 가능한 광개토대왕함과 같은 3500톤급 한국형 구축함(DDH-I)이나 구역방어를 펴는 충무공이순신함 등 4400톤급 한국형 구축함(DDH-II)과 그 격을 달리하는 것이다.
해상 전력·전략 전문가들은 1970년대 이래 현대 수상함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은 적 대함유도탄이나 항공기로 평가되고 있어 대공방어능력의 수준은 한 함정의 성능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점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런 현실에서 선진국 해군에 필적하는 대공방어능력을 갖춘 함정의 존재는 적지 않은 전략·전술적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서애류성룡함은 대공능력 외에 사거리 150㎞급의 함대함유도탄 해성이나 장거리 대잠어뢰 홍상어와 경어뢰 청상어 등으로 무장하고 있어 대함·대잠 분야의 능력도 탁월하다. 한마디로 전방위 전투능력을 보유한 함정이라는 점에서 우리 해군 전력에서 그 위상과 가치는 매우 큰 함정이다. 이 밖에 해상작전 헬기 2대를 탑재할 수 있으며 구경 127㎜의 주포가 함의 위용을 더해 준다.
배수톤수 기준으로 7600톤급인 서애류성룡함은 길이 166m, 폭 21m, 높이 49m로서 최대시속 30노트(55.5㎞)의 속도를 낸다. 특히 첨단 스텔스 기술이 적용돼 함정 생존성이 강화됐다. 300여 명의 장병이 승조해 임무를 수행한다.  한국 유로저널 이상협 기자
        eurojournal07@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