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default_style == 'guest'"> guestbook">

‘프리미엄 브랜드가 되기 위한 4가지 조건’ 흔히들 독일의 3사 BMW, 메르세데스 벤츠, 아우디를 일컬어 프리미엄 메이커라 한다. ...

by eknews  /  on May 16, 2011 00:03

‘프리미엄 브랜드가 되기 위한 4가지 조건’


프리미엄+벤츠.jpg 프리미엄+랜드로버...jpg 


흔히들 독일의 3사 BMW, 메르세데스 벤츠, 아우디를 일컬어 프리미엄 메이커라 한다. 여기에 포르쉐까지 포함하면 순수 독일 자동차 업체 중 VW을 제외하곤 모두 프리미엄이라는 황금색 표딱지를 붙이고 있는 셈이다. VW은 양산형 브랜드로 분류가 되나 이미 상당 수준 프리미엄 메이커 못지않은 위치까지 올라와 있다. 독일 메이커들만 이런 프리미엄 마크를 붙인 건 아니다. 이태리 스포츠카의 대명사 페라리와 영국의 자존심 랜드로버, 그리고 북유럽 안전차의 대명사인 볼보 역시 일반적으로 프리미엄급으로 분류가 되고 있다.

이에 반해 캐딜락이나 인피니티, 렉서스, 마이바흐나 애스턴 마틴, 마세라티, 롤스로이스 등은 럭셔리 브랜드로 분류된다. 물론 한국의 현대나 프랑스 푸조, 시트로엥, 일본의 토요타와 혼다 등의 경우는 대표적 양산형 메이커로 분류된다. 럭셔리 브랜드의 경우 매우 비싼 가격으로 연간 판매대수가 많지 않은 것이 대체적이다. 반면 프리미엄 메이커는 양산형 만큼은 아니지만, 누구나 동경하는 모델들을 통해 지속가능한 고객들을 확보한 채 높은 마진율로 여타 다른 메이커들로부터 부러움을 받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프리미엄 브랜드의 기준은 뭘까? 오늘은 프리미엄 메이커가 되기 위한 4가지 조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프리미엄 딱지가 붙기 위한 가장 첫 번째 조건은 바로 ‘혁신적 기술’에 있다. 에어백 경우 미국의 작은 회사에서 만들었지만 그 가능성을 보고 권리를 사와 자동차에 적용시키고 일반화한 것은 볼보나 벤츠같은 곳이었다. 차체자세제어장치(ESP)와 같은 중요한 시스템 역시 메르세데스 벤츠가 일반화시켰고, 아우디의 경우 뛰어난 엔진과 공기역학적 차체 등을 통해 기술을 통한 진보를 이뤄냈다. BMW나 포르쉐 역시 남다른 기술력을 통해 혁신으로 자동차시장을 이끌어 오고 있는 것이다. 이런 기술력 없이 프리미엄 마크를 단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두 번째로 중요한 조건은 ‘브랜드 관리 및 전통을 만들어가는 힘’이라 할 수 있겠다. 벤츠, 아우디, 베엠베, 람보르기니 등은 그 이름만으로도 사람들의 마음을 설레게 한다. 이런 브랜드에 대한 동경은 단순히 기술력을 뽐내는 것에만 머문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차를 선택한 고객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줄 수 있는 끝없는 브랜드 관리를 통해 차곡차곡 쌓여온 것이며, 그런 과정들은 자연스럽게 브랜드에 전통을 만들어가게끔 해줬다. 이런 노력과 이를 통한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느냐는 프리미엄 메이커의 대단히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세 번째 조건은 ‘최고의 인재들이 함께 하는 회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임러의 경우 마이바흐라는 최고의 엔지니어가 없었더라면 지금의 메르세데스로 발전할 수 있었을까? BMW 역시 에버하르트 폰 쿠엔하임과 같은 인재가 없었다면 과연 동경하는 메이커로 성장할 수 있었을까? 아우디 역시 페르디난트 피에히 전 VW 회장과 같은 걸출한 엔지니어를 만나지 못했더라면 지금의 위치에 올랐을 수 있을까? 최고의 기술자들을 찾아내고 그들과 함께 혁신적인 기술을 이뤄내며, 이들의 뒤를 이어 끊임없이 인재들과 함께 할 수 있을 때, 프리미엄 메이커라는 타이틀은 주어질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조건으로 ‘협력업체들과의 상생’을 들 수 있다. 제아무리 뛰어난 자동차 회사라고 할지라도 자동차의 모든 부품을 자신들이 개발하거나 만들 수 없다. 오히려 엔진이나 차체 엔지니어링을 제외하면 많은 협력 업체들의 기술과 힘을 빌어야 한다. 그래서 프리미엄 메이커들은 이런 뛰어난 업체들과 협력 작업은 물론, 이윤의 정당한 분배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포르셰는 이런 이익 분배에 적극적인 기업 중 하나다. 이제 이런 기준에 따라 다시 한 번 자동차 메이커들을 생각해보자. 그리고 과연 이 기준에 어떤 기업들이 들어맞고 어디가 분발해야하는지를 생각해보자. 프리미엄 타이틀 얻기 위한 길은, 결코 쉽게 얻어지지 않아 보인다.

댓글 '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유로저널- 이완기자의 오토스케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6 [오토칼럼 16] ‘자동차 브랜드, 이렇게 탄생했다’ file eknews 11/06/19 22:00 2472
15 [오토칼럼 15] ‘아우토반이 만든 독일차의 특징’ eknews 11/06/12 23:30 4040
14 [오토칼럼 14] ‘연봉 7천만 원밖에 안 보이는가?’ eknews 11/06/05 21:47 2134
13 [오토칼럼 13] ‘지금의 아우디를 있게 한 남자 페르디난트 피에히’ file eknews 11/05/30 00:22 3334
» [오토칼럼 12] ‘프리미엄 브랜드가 되기 위한 4가지 조건’ file eknews 11/05/16 00:03 4008
11 [오토칼럼 11] ‘현대 포니, 레트로룩으로 만날 수 있을까?’ file eknews 11/05/01 23:06 3963
10 [오토칼럼10] ‘세 마리 토끼 잡기는 점점 현실화 되고 있다’ file eknews 11/04/24 20:40 3120
9 [오토칼럼 9] ‘패밀리룩 이야기’ file eknews 11/04/24 20:37 4460
8 [오토칼럼 8] 유럽에 출시될 i40 cw와 k5의 중요성’ file eknews 11/04/24 20:26 4086
7 [오토칼럼 7] “자동차 회사들은 무엇으로 먹고 사는가?” file eknews 11/04/04 01:14 2684
6 [오토칼럼 6] ‘스타 디자이너의 의미’ file eknews 11/04/03 23:12 3956
5 ‘당신의 자동차는 안녕하십니까?’ file eknews 11/03/20 23:35 2998
4 ‘한국자동차, 유럽시장에서 어떤 승부를 펼쳐야 하나’ file 유로저널 11/03/14 01:20 3068
3 전기차, 미래 자동차의 핵심이 될 것인가? file 유로저널 11/03/07 01:07 3723
2 자동차 역사의 당당한 주인공 베르타 벤츠 (Bertha Benz) file 유로저널 11/03/02 05:38 3903
1 “현대차 해외에선 승승장구, 국내에선 전전긍긍” file 유로저널 11/03/02 05:38 2682
Board Search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