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2011.05.18 19:37

모난 돌, 둥근 돌

조회 수 544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모난 돌이 오랜 세월 산골짜기를 흐르는 물에 시달리기도 하고 모난 돌끼리 부딪치다 보면 모가 깎여서 둥근 조약돌이 됩니다. 모가 클수록, 모가 많을수록 많이 시달립니다. 바닷가 모난 돌도 끊임없이 파도에 씻기고 서로 부딪치다 보면 둥근 자갈이 됩니다.

 

 채석장에서 다이너마이트를 터뜨려서 채취한 돌덩이는 모나고 거칠어서 쓸모가 없습니다. 그래서 레미콘 같은 큰 통에 모난 돌덩이를 넣고 이십사 시간 며칠이고 돌립니다. 그러면 모난 돌덩이끼리 부딪쳐 깨지고 깨져서 둥근 돌덩이가 됩니다. 마치 오랜 세월 비바람에 깎여나간 자연석처럼 되어 비싼 값에 팔려서 조경석(造景石)으로 쓰입니다. 쓸모 없는 돌덩이가 쓸모 있는 돌덩이로 됩니다.

 

 무른 돌은 쉽게 깎여나가서 물살에 덜 시달리지만 단단한 돌은 쉽게 깎여나가지 않기 때문에 물살에 더 시달립니다. 단단한 돌은 물살에 저항하다가 큰물이 지면 물살에 휩쓸려 구르면서 이리저리 부딪쳐서 조각조각 깨집니다. 별로 쓸모 없는 잔 돌이 됩니다.

 

 사람도 누구나 모가 나 있습니다. 모난 사람은 세상 일에 부대끼고 이 사람 저 사람과 부딪치느라 세상살이가 어렵습니다. 세상을 살면서 이런 일 저런 일에 시달리고 이런 사람 저런 사람과 부딪쳐 가면서(세상풍파 - 世上風波를 겪으면서) 모난 성질이 없어지고 둥근 성질로 바뀝니다. 둥글어진 만큼 세상 일과 사람과 어울리며 살게 됩니다. 사람이 가진 모는 틀입니다.

 

 단단한 돌처럼 마음이 굳은 사람일수록(틀이 셀수록) 쉽게 깨져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세상사(世上事)나 사람과의 융화가 어렵습니다.

 

 모난 돌이 둥근 돌이 되어도 모난 돌일 때보다는 덜 하지만 물의 부딪침은 계속됩니다. 돌이 다 깎여나가서 없어질 때까지 물살에 시달립니다.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이 가진 모는 라고 하는 틀입니다. 라고 하는 틀이 다 없어질 때까지 부딪침이 계속됩니다.

 

 부딪침이 싫고 깨지는 아픔이 두려워 부딪침을 피한다면 모가 없어지지 않고 남게 되고 모가 있는 한 비바람과 물살이 끊임없이 부딪쳐옵니다. 그러므로 살면서 어려움(세상풍파의 부딪침)에 직면하면 피하지 말고 (남을 탓하거나 외면하지 말고) 정면으로 맞서서 자기의 틀을 찾아서 없애야 합니다. 자기의 틀이 있어서 부딪침이 오기 때문에 틀을 깨지 않으면 틀이 남아있어서 계속 부딪침에 시달리게 됩니다. 틀을 없애는 것이 지금까지 불가능했지만 마음을 다 닦으면 일체의 틀이 없어집니다. 틀이 없으면 세상과 하나로 살게 됩니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8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9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7
159 아멘선교교회 칼럼 아멘선교교회 2022년 3월 30일자 말씀 file 편집부 2022.03.29 33
158 최지혜 예술칼럼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 사실인가? (시그마 폴케2) file 편집부 2022.03.29 127
157 이윤경의 예술칼럼 모스브로이히 박물관 Museum Morsbroich – 1 file 편집부 2022.03.29 85
156 아멘선교교회 칼럼 아멘선교교회 2022년 4월 6일자 말씀 file 편집부 2022.04.04 25
155 최지혜 예술칼럼 "시간으로 존재하지 않고, 오직 회화만 존재한다.” (시그마 폴케3) file 편집부 2022.04.04 178
154 이윤경의 예술칼럼 모스브로이히 박물관 Museum Morsbroich – 2 file 편집부 2022.04.04 90
153 아멘선교교회 칼럼 아멘선교교회 2022년 4월 20일자 말씀 file 편집부 2022.04.25 32
152 아멘선교교회 칼럼 아멘선교교회 2022년 4월 27일자 말씀 file 편집부 2022.04.25 33
151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가의 예술가” (시그마 폴케4) file 편집부 2022.04.25 152
150 최지혜 예술칼럼 색즉시공 공즉시색 (시그마 폴케5) file 편집부 2022.04.25 143
149 이윤경의 예술칼럼 퀴퍼스뮐레 현대미술 박물관MKM - 1 file 편집부 2022.04.25 117
148 아멘선교교회 칼럼 아멘선교교회 2022년 5월 4일자 말씀 file 편집부 2022.05.02 38
147 최지혜 예술칼럼 “나를 흥미롭게 하는 것은 예측불허한 것이다” (시그마 폴케6) file 편집부 2022.05.02 109
146 이윤경의 예술칼럼 퀴퍼스뮐레 현대미술 박물관MKM Museum Kuepersmuehle fuer Moderne Kunst – 2 file 편집부 2022.05.02 210
145 아멘선교교회 칼럼 아멘선교교회 2022년 5월 11일자 말씀 file 편집부 2022.05.09 42
144 최지혜 예술칼럼 꽃을 그리는 사람들 1 – 고흐 file 편집부 2022.05.09 161
143 아멘선교교회 칼럼 아멘선교교회 2022년 5월 18일자 말씀 file 편집부 2022.05.16 55
142 최지혜 예술칼럼 꽃을 그리는 사람들 2 – 권미향 file 편집부 2022.05.16 273
141 아멘선교교회 칼럼 아멘선교교회 2022년 6월 15일자 말씀 file 편집부 2022.06.13 44
140 최지혜 예술칼럼 꽃을 그리는 사람들 3 - 조안 미첼 file 편집부 2022.06.13 291
Board Pagination ‹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