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日 지진 후 3달, 한국 기업 희비 엇갈려

by eknews posted May 30,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日 지진 후 3달, 한국 기업 희비 엇갈려


810-경제 4 ekn 사진.jpg
지난 3월 11일 일본 동북부를 강타한 규모 8.9의 강진 여파로 미야기현 나토리 마을에 쓰나미가 덮쳐 밀려들어오면서 가옥들이 휩쓸리고 있는 장면
<사진: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 전재> 


지난 3월 일본 대지진으로 국내기업 4분의 1이 피해를 입은 가운데 7.4%는 반사이익을 누린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진 발생 3달이 다 돼 가지만 아직까지 영향을 받고 있다는 기업이 15.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지진의 영향으로 부품소재의 대일의존도가 완화될 전망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제조업체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 지진사태 이후 국내 산업계 변화와 대응실태’ 조사에 따르면, 국내기업 24.8%는 일본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반사이익을 얻었다는 답변도 7.4%로 집계됐다.
또한 응단 기업의 10.6%는 지진 발생 3 개월이 지난 현재까지도 수출입·부품조달 차질 등 피해를 겪고 있는 반면, 5.0%는 일본과 제 3국에 대한 수출 증가 등 혜택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업종별 명암도 엇갈려 대일 부품의존도가 높은 기계와 전기전자 업종은 피해를 입은 반면 석유화학과 철강 등의 업종은 일본의 극심한 에너지난과 지진피해 복구과정에서 반사이익을 본 기업이 더 많았다.
일본으로부터 핵심부품을 조달하지만 세계시장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반도체업종, 그리고 식자재 조달에 차질을 겪었지만 방사능 누출로 대일수출이 급증한 식품업종 등은 피해와 수혜가 교차했다.
대한상의는 이같은 기업 설문결과와 지진혜택 사례를 바탕으로 에너지(발전기 등), 안전식품(생수 등), 피해복구산업(철강 등)이 일본지진 이후의 새로운 유망분야로 떠오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일본지진의 영향으로 부품소재의 대일의존도가 완화될 전망이다. 실제로 응답기업 4곳 중 1곳(26.4%)은 일본지진 이후 대응조치를 취했거나 추진 중이며, 대응활동으로 이중 26.4%가 일본이외 부품소재 조달선 확보를 꼽았고,그외 수출시장 다변화(25.8%), 적정재고수준 확대(24.2%), 안전관리대책 강화(22.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이번 설문 조사 결과, 최근 지진공포와 전력난을 피해 해외로 진출하려는 일본기업들의 움직임이 포착된 가운데, 응답기업의 10.2%는 ‘해외진출에 관심 있는 일본기업을 알고 있다’고 답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일본대지진의 재발가능성 때문에 국제사회에서 대일거래를 꺼리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일본기업의 한국진출은 국제사회의 이같은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어 다방면으로 윈윈효과가 많다”고 주장했다. 


한국 유로저널 안성준 기자
eurojournal1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