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2011.07.02 13:59

옛날의 나는(III)

조회 수 344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옛날의 나는 알기만 했지 되지는 못했습니다. 되지 못했기 때문에 알기만 알았지 그렇게 살지를 못했습니다. 삶에 금과옥조 같은 수많은 좋은 말들을 어릴 때부터 부모님으로부터, 학교에서 선생님으로부터, 신앙을 통하여, 수양을 통하여, 책을 통하여 수없이 보고 듣고 알고 있었지만 그렇게 살지를 못했습니다. 그저 그렇게 사는 시늉을 한데 불과했습니다.

 

남보다 많이 알려고 여러 분야를 두루 섭렵하며 책을 구해 읽고 전문가를 찾아 다니며 강의를 들어서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려고 애썼습니다. 그리고 남보다 많이 아는 것으로 돋보이고 많이 아는 것으로 행세하려 했습니다.

 

 경전에 있는 성현의 말씀도 아는데 불과했습니다. 아니 알려고 하는 정도에 불과하였습니다. 아무리 알려고 해도 어렵기만 하고 제대로 알 수가 없었습니다. 믿고 따르는 분이 한 말의 뜻도 제대로 몰랐고 안다 하더라도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하지 마라는 말을 제대로 지킨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 이와 같이 성현의 말씀을 제대로 알지도 못하고 그대로 따르지도 못한 것은 결과적으로 성현을 거역하는 것이고 생명의 말씀을 헛소리가 되게 하였습니다. 성현을 헛소리하는 사람으로 만들고 말았습니다. 그러면서도 스스로 그러한 줄을 몰랐습니다. 왜 그렇게 살지 못하는 지도 몰랐습니다. 어떻게 하면 말씀대로 살 수 있을까 고민하던 끝에 결국 인간은 그렇게 살 수 없으니 그렇게 살려고 노력하면 된다고 편의적으로 생각하고 합리화하였습니다. 그렇게 사는 존재가 되면 되는데 그렇게 되는 방법이 없어 될 수가 없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옛날의 나는 마음이 가난하지 못하여 들꽃처럼 그냥 살지 못하였습니다. 마음이 가난한 어린이 같지 못했습니다. 왼손이 하는 일을 오른손이 모르게 하지 못했습니다. 도대체 말의 뜻도 원리도 알지를 못했습니다.

 

옛날의 나는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뜻을 알지 못했습니다. 천상천하유아독존(天上天下唯我獨尊), 일체가 끊어진 것도, 색즉시공(色卽是空) 공즉시색(空卽是色), 생사일여(生死一如)도 깨치지 못했습니다. 깨침이 무엇인지 몰랐습니다. 깨달음이 무엇인지 몰랐습니다. 알려고 수많은 책을 수없이 읽고 깨쳤다는 사람들을 수도 없이 찾아 다녔지만 알지 못했습니다. 그러한 경지가 되어야 알 수 있다는 것을 되어보지 못하여 알지 못했습니다.

 

옛날의 나는 꿈을 꾸고 있었습니다. 허망(虛妄)한 망념(妄念)을 가지고 미몽(迷夢)을 헤매었습니다. 꿈을 꾸면서 꿈인 줄 모르고 망념으로 살면서 허망한 존재인 줄 몰랐습니다. 의식이 깨어있지 못하고 죽어있어 생명이 없음을 알지 못했습니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6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4
2096 최지혜 예술칼럼 초현실주의는 ‘꿈‘ (‘혁신적인 미술 운동의 역사를 새로 쓰다’ 4) file 편집부 2022.03.11 139
2095 최지혜 예술칼럼 색즉시공 공즉시색 (시그마 폴케5) file 편집부 2022.04.25 143
2094 CBHI Canada 건강 칼럼 피부와 칼슘 I. (여드름) file 편집부 2023.04.11 147
2093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나는 다른 사람이 했던 게 아니라, 단지 내가 해야 할 것을 하기로 결정했다” (3) file 편집부 2022.03.11 149
2092 최지혜 예술칼럼 유토피아를 꿈꾸다 – 몬드리안2 file 편집부 2023.05.03 149
2091 최지혜 예술칼럼 “예술가의 예술가” (시그마 폴케4) file 편집부 2022.04.25 152
2090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라우센버그가 들라크루아라면 재스퍼 존스는 앵그르다” (4) file 편집부 2022.03.11 154
2089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나는 그림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는 전혀 모른다” (2) file 편집부 2022.03.10 159
2088 최지혜 예술칼럼 꽃을 그리는 사람들 1 – 고흐 file 편집부 2022.05.09 160
2087 최지혜 예술칼럼 "시간으로 존재하지 않고, 오직 회화만 존재한다.” (시그마 폴케3) file 편집부 2022.04.04 174
2086 최지혜 예술칼럼 한국화의 두 거장 – 청전 이상범 2 : 능수능란한 줄타기 file 편집부 2023.02.20 174
2085 CBHI Canada 건강 칼럼 칼슘과 통풍 file 편집부 2023.02.20 182
2084 최지혜 예술칼럼 한국화의 두 거장 – 소정 변관식 1 : 자유로운 나그네 file 편집부 2023.02.27 183
2083 최지혜 예술칼럼 ‘미래를 위한 그림’ – 힐마 아프 클린트2 2. 미래를 위한 그림 file 편집부 2023.06.06 187
2082 최지혜 예술칼럼 사람을 그리는 화가들 3 - 모딜리아니와 호크니 file 편집부 2022.07.25 189
2081 이윤경의 예술칼럼 독일, 바드 엠스 Bad Ems에서 흙을 빚는 도예가 신유경 – 2 file 편집부 2023.01.06 189
2080 이윤경의 예술칼럼 퀴퍼스뮐레 현대미술 박물관MKM Museum Kuepersmuehle fuer Moderne Kunst – 2 file 편집부 2022.05.02 210
2079 최지혜 예술칼럼 사람을 그리는 화가들 2 - 마티스와 모딜리아니 file 편집부 2022.07.11 217
2078 최지혜 예술칼럼 한국화의 두 거장 – 청전 이상범 1 : 한국적 서정성 file 편집부 2023.02.08 219
2077 런던지점 조부장의 에피소드 선생님, 건배!! file 편집부 2023.05.31 226
Board Pagination ‹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