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직장인 87%, ‘번 아웃 신드롬’ 위험 적신호 켜져

by eknews posted Jul 11,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직장인 87%,‘번 아웃 신드롬’위험 적신호 켜져


815-사회 1 ekn 사진.jpg

독일에서 ‘휴식 신드롬’ 일으킨 과학 저널리스트 울리히 슈나벨 ‘행복의 중심 휴식’ 이라는 책이 발간되면서 한국인들의 휴식 문화에고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발표 자료에 따르면 한국 근로자의 연간 근무시간은 2,256시간으로 회원국 중 1위인 반면 여가 시간에서는 최하위를 기록했으며, 자살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이렇듯 성공 지향문화에 익숙한 한국의 기업 문화 속에서 과도한 근무를 지속하다 보면 자칫 ‘번 아웃 신드롬(탈진증후군)’에 빠질 수 있다. 일에만 매진하던 사람들이 주로 걸리는 이 병은 무기력증이나 자기혐오, 직무거부 증상을 보이거나 이명, 불안장애나 우울증, 심지어 자살이라는 비극을 낳기도 한다.
실제, 여름 휴가를 앞두고 온라인 리서치 전문업체 엠브레인은 <행복의 중심 휴식>(걷는나무)의 출간에 맞춰 남녀 직장인 1천 명을 대상으로 ‘휴식에 대한 의식’관련 설문 조사 결과 ,전체 직장인의 87.3%가 ‘휴식이 부족하다’고 답했고 ‘충분히 쉬고 있다’는 응답은 12.7%에 지나지 않았다.
특히 20대 직장인 70%는 법정공휴일수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이는 한국 직장인의 대다수가 시간에 쫓기고 잠시 쉴 여유조차 갖지 못하는 번 아웃 신드롬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장된 휴가는 자유롭게 사용하느냐’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68%가 휴가를 사용할 때 눈치를 본다고 답했으며, 그 이유로는 △‘혼자 쉬는 게 미안해서(34.8%)’, △‘돌아왔을 때 밀린 일이 부담스러워서(29%)’, △‘상사가 안 쓰니까(20.3%)’, △‘인사고과에 나쁜 영향을 줄 것 같아서(15.6%) 순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가장 선호하는 방법은 음주가무(27.4%)보다 휴식(37%)이었다. 또한 직장인들은 창의적인 발상을 하는 데도 ‘독립된 공간에서의 휴식(37%)’을 △‘책’(21%), △‘새로운 연구자료’(20%), △‘토론 및 회의’(12%)보다 더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이렇듯 휴식을 갈망하는 직장인들은 일과 휴식 중 예상과는 달리 ‘휴식’보다는 ‘일’을 선택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만 원의 상여금을 받는다면 연차 전부를 반납하고 일하겠다’는 직장인이 과반수 이상 집계된 것. ‘일 때문에 15일 연차 전체를 포기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도 전체 응답자의 53.7%는 ‘그렇다’고 답했다.
이는 분단의 아픔과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독일의 상황과 유사하다. 최근 독일에서 ‘휴식 신드롬’을 일으킨 최고의 과학 저널리스트 울리히 슈나벨은 <행복의 중심 휴식>에서 “우리는 지금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재의 행복을 반납하는 역설적 상황에 빠져 있다”며 “일을 더 잘 해내고 싶고, 행복한 인생을 원할수록 우리가 더 열심히 해야 할 것은 정신을 달래주는 ‘휴식’을 갖는 것이다”라고 조언한다.
그는 또한 “작곡가 존 레넌,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노벨문학상 수상자 윈스턴 처칠이 영감을 얻는 비결은 낮잠을 통한 휴식이었다”며 “진정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행복한 삶을 살고 싶다면 졸거나 명상하는 것도 방법이다”고 말했다.  


한국 유로저널 안하영 기자
eurojournal16@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