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2011.09.23 16:00

옛날의 나는(VIII)

조회 수 30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Extra Form

옛날의 나는 불안과 근심걱정 속에 살았습니다.

 

항상 현재 하는 일과 내일 일을 걱정하고 살았습니다. 하고 있는 일이 잘 되고 있는지, 결과는 잘 될 것인지, 잘못 되면 어떻게 하나, 노후 대책을 어떻게 해야 하나, ..

 

가까운 인연에 대한 걱정이 떠나질 않았습니다. 부모님 건강이 어떠하신지, 멀리 떠나 보낸 자식이 할 일을 제대로 잘 하는지, 나쁜 친구를 사귀지나 않는지, 제대로 먹고 있는지, 가사 일에 힘겨워하는 아내의 건강이 걱정되는데 ..

 

 하나의 걱정이 끝났다 싶으면 또 다른 걱정이 뒤를 이었습니다. 그 걱정이 해소되고 나면 또 다른 걱정이 뒤를 잇고, 걱정에 끝이 없었습니다. 으레 사는 것이 그러하다고 체념도 해 보지만 여전히 걱정이 끊이지를 않았습니다.

 

 옛날의 나는 사는 것이 고통이었습니다. 늘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는 것이고 또 스트레스는 삶에 자극을 주어 삶에 활력을 주는 것이라고 자위하고 합리화하였습니다. 삶은 즐겁기도 하고 행복하기도 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진정한 즐거움도 행복도 없다는 것을 몰랐습니다. 조상대대로 고통 속에 살아왔고 주위의 모든 사람이 고통 속에 살고 있어 그렇게 사는 것이 사람 사는 것이라고 체념하였습니다. 또 늘 고통 속에 있어서 고통에 무디어져 있었습니다. 인간은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체념하고 살았습니다. 왜 고통스럽게 살 수밖에 없는지 그 이유를 몰랐습니다. 고통이 무엇 때문에 연유하는지를 몰랐고 고통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몰랐습니다. 불가(佛家)에서 삶을 고해(苦海)라고 하는 이유를 몰랐습니다. 그리고 고통의 원인을 항상 밖에서 찾았습니다. 그 일 때문에, 그 사람 때문에, 여건 때문에, 때가 맞지 않아서, 재수가 없어서 등등. 고통의 씨앗이 내 안에 있음을 몰랐습니다.

 

 옛날의 나는 불안에 떨고 있었습니다. 죽으면 어떻게 하나. 내일 불의의 사고로 갑자기 죽는다면, 천수를 누리더라도 언젠가는 죽을 터인데 막연하기만 하고 두렵고 불안할 뿐이었습니다. 신앙인으로서 열심히 살다 죽으면 된다는데 마음 깊이 확신을 가지지 못하였습니다. 더구나 지금 이순간 이렇게 저렇게 살아라 살지 마라 하는 대로 살지도 못하는데. 마음으로도 죄짓지 말라 하였고 했다는 마음도 없어야 하는데, 무엇이든 세상 사람이 원하는 것보다 더 해주어야 하는데, 마저 다 내 놓아야 하는데 .. 어느 것 하나 제대로 행하지 못하는데 죽는다고 될까. 살아있는 동안에 그렇게 사는 존재가 되어야 함을 몰랐습니다. 그러한 존재로 거듭나는 일은 상상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불안에 떨며 살았습니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updatefile 편집부 2024.06.02 5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798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35
179 최지혜 예술칼럼 내 작품은 내 삶의 성장이다. (최욱경1) file 편집부 2022.03.10 132
178 최지혜 예술칼럼 “흐르는 피를 두 손을 모으고” (최욱경2) file 편집부 2022.03.10 105
177 최지혜 예술칼럼 “I paint as I see, as I feel” (뉴욕 모마 세잔전2) file 편집부 2022.03.10 83
176 최지혜 예술칼럼 피카소와 방탄소년단 (BTS 1) file 편집부 2022.03.10 56
175 최지혜 예술칼럼 피카소와 방탄소년단에겐…(BTS 2) file 편집부 2022.03.10 109
174 최지혜 예술칼럼 피카소와 방탄소년단을…(BTS 3) file 편집부 2022.03.10 62
173 최지혜 예술칼럼 피카소와 방탄소년단은 차세대 리더다 (BTS 4) file 편집부 2022.03.10 100
172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마음/거울 file 편집부 2022.03.10 54
171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나는 그림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는 전혀 모른다” (2) file 편집부 2022.03.10 159
170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나는 다른 사람이 했던 게 아니라, 단지 내가 해야 할 것을 하기로 결정했다” (3) file 편집부 2022.03.11 152
169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라우센버그가 들라크루아라면 재스퍼 존스는 앵그르다” (4) file 편집부 2022.03.11 154
168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미국 미술의 영웅 (5) file 편집부 2022.03.11 59
167 최지혜 예술칼럼 재스퍼 존스 : 생존 작가 미술 작품 중 가장 비싼 이유 (6) file 편집부 2022.03.11 230
166 최지혜 예술칼럼 'Surrealism Beyond Borders' (‘혁신적인 미술 운동의 역사를 새로 쓰다’ 1) file 편집부 2022.03.11 103
165 최지혜 예술칼럼 초현실주의는 팬데믹 (‘혁신적인 미술 운동의 역사를 새로 쓰다’ 2) file 편집부 2022.03.11 63
164 최지혜 예술칼럼 초현실주의는 ‘마음의 상태’ (‘혁신적인 미술 운동의 역사를 새로 쓰다’ 3) file 편집부 2022.03.11 83
163 최지혜 예술칼럼 초현실주의는 ‘꿈‘ (‘혁신적인 미술 운동의 역사를 새로 쓰다’ 4) file 편집부 2022.03.11 140
162 최지혜 예술칼럼 초현실주의는 ‘혁신적인 이상한 일‘ (‘혁신적인 미술 운동의 역사를 새로 쓰다’ 5) file 편집부 2022.03.11 96
161 이윤경의 예술칼럼 벨기에 예술가, 피터 스톡만스 Pieter Stockmans – 1편 file 편집부 2022.03.11 131
160 이윤경의 예술칼럼 벨기에 예술가, 피터 스톡만스 Pieter Stockmans – 2편 file 편집부 2022.03.11 114
Board Pagination ‹ Prev 1 ...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