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의 시장 진입을 위해 국가보조금 필요(1면)

by eknews20 posted Oct 10,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베를리너 모르겐포스트지가 뮌헨 공과대학교와 테일러 베싱 법률사무소의 전기자동차 시장진입에 대한 공동연구 결과를 인용하여, 국가적인 구입보조금 지원방안 없이는 독일에서 전기자동차가 시장에 진입하여 살아남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하였다.
이번 연구는 총 180명의 전문가들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을 기초로 이루어졌는데, 설문조사에 응한 전문가들의 56퍼센트는 국가가 전기자동차를 구입하는 사람에게 적어도 4000유로 이상의 보조금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특히 2000 유로 이하의 보조금 지원은 전기 자동차 구입을 유도하는 것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다수의 전문가들은 구입 보조금을 지원하는 것을 이유로 지금까지 국가가 전기자동차의 연구/개발을 지원해 오던 것을 중단해도 된다는 뜻은 아니라고 밝혔다. 직접적으로 자동차 구입에 보조를 하는 것은 국가의 전기자동차 연구지원을 대체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보조수단일 뿐이라는 것이다
.
특히 설문조사 응답자의 98퍼센트가 자동차 구입에 대한 보조금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설문자의 89퍼센트는 2000유로 이상의 구입 보조금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 진행자들은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평균 구매가격을 4만 유로에서 5만 유로 선으로 잡고 있다
.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자동차회사 및 운송회사, 전기 및 마케팅회사의 상급 매니저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설문자들은 전체적으로 전기자동차의 시장진입에 대해 낙관적인 견해를 지니고 있었다. 이 중 55.6퍼센트는, 이미 메르켈 연방 수상이 요구했던 바와 같이, 2020년까지 100만대 이상의 전기자동차가 도로 위를 주행할 것으로 보고 있다. 71.7퍼센트는 2020년까지는 전기자동차가 고객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전문가들은 독일 도로에서 전기자동차 100만대 상용을 기대하는 2020년 시점에 있어, 독일산 전기자동차의 시장점유율은 39퍼센트 정도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현재 전기자동차에서는 디자인이나 고급화 전략보다는, 지속성과 기능성이 더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 즉 소비자들은 전기자동차가 편안함이 조금 덜한 것은 감수할 수 있으나, 기동성이 떨어지는 점은 문제로 삼고 있다. 또한 배터리 충전시간 및 충전에 따른 주행거리의 범위가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도록 개선될 필요가 있다.

 

elektroauto.jpg

 

유로저널광고

Articles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