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4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U, 9월 대외 교역 적자폭 크게 감소
지난 8개월동안 독일, 네덜란드, 아일랜드는 흑자, 영국,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 등은 적자


833-유럽 1 ekn 사진.jpg

유럽연합(EU 27)의 대외 교역이 금년 9월에는 적자폭이 2 개월 연속 감소했고, 유로존(EA 17)의 경우에는

흑자폭이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EU 통계청(Eurostat) 발표에 따르면 EU 27의 금년 9월 대외 교역은 전년도 동월 대비 무역수지 적자가 34억

유로 감소하여 105억 유로(추정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에도 전년도 동월에 비해 무역수지 적자가 15억 유로 감소했었다.

또한,유로존(EA 17)의 9월 대외교역은 전년도 동월 대비 무역수지 흑자가 24억 유로 증가하여 29억 유로

(추정치) 흑자를 기록했다.


8월의 경우는 이와 달리 44억 유로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였으나, 전년도 동월에 비해 무역수지 적자가 18억

유로 감소했다.
유럽연합(EU 27)의 2011년 1월부터 8월까지 교역은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해 증가하였으나,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이례적으로 9% 감소했다.
수출은 러시아(30%), 터키(29%), 중국(22%), 인도(22%), 한국(18%) 순으로 증가한 반면, 수입은 러시아

(25%), 브라질(23%), 인도(23%), 노르웨이(20%), 터키(18%) 순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동안 전년도 동기 대비 무역수지 흑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교역 상대국은 터키(107억 유로 → 168억 유로:

61억 유로), 스위스(122억 유로 → 172억 유로: 50억 유로), 미국(448억 유로→485억 유로: 37억 유로 증가) 순이다.
반면, 같은 기간 전년도 동기 대비 무역수지 적자가 가장 많이 증가한 교역 상대국은 러시아(507억 유로 →  662억 유로:

155억 유로)와 노르웨이(248억 유로 → 315억 유로: 67억 유로)로 밝혀졌다.


중국과 일본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는 큰 변화가 없는 상황이나, 한국에 대한 무역수지 적자는 전년 동기 대비 64억불이

개선되어 28억불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이 원유 수입을 증가시켰고, 항공기를 3 대 도입하면서 한국으로부터의 수입폭이 증가한 것으로 한국 관세청이

밝혔다.
한편, 같은 기간동안 유럽연합(EU 27)은 전년도 동기 대비 에너지 수입에 따른 무역수지 적자가 529억 유로가 증가한

반면, 상품 무역수지 흑자는 469억 유로 증가했다.
2011년 1월부터 8월까지 유럽연합 회원국별 무역수지 현황을 살펴보면, 독일(1,006억 유로), 네덜란드 (288억 유로),

아일랜드 (282억 유로) 순으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한 반면, 영국(-763억 유로), 프랑스(-580억 유로), 스페인(-315억

유로), 이탈리아(-234억 유로), 그리스(-119억 유로), 포르투갈(-11억 유로) 순으로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밝혀졌다.

유로존 17 개국 (EA17)과 유럽 연합 27 개국 (EU27)

유로존 17 개국 (EA17)
Belgium, Germany, Estonia,Ireland, Greece, Spain, France, Italy, Cyprus, Luxembourg, Malta,

the Netherlands, Austria, Portugal, Slovenia, Slovakia and Finland.
유럽 연합 27 개국 (EU27)
Belgium, Bulgaria, the Czech Republic, Denmark, Germany, Estonia, Ireland, Greece, Spain, France,
Italy, Cyprus, Latvia, Lithuania, Luxembourg, Hungary, Malta, the  Netherlands, Austria, Poland,

Portugal, Romania,Slovenia, Slovakia, Finland, Sweden and the United Kingdom.

유로저널 김세호 기자
eurojournal01@eknews.net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96 미 달러 살포에 '유럽위기' 재발 file 유로저널 2010.11.12 2437
4895 英 겨냥한 루마니아 아동 앵벌이 양성소 적발 file 유로저널 2010.04.19 2437
4894 유럽 연합, 이스라엘 정주 계획에 당혹감 표명 file eknews 2012.12.11 2436
4893 한·EU FTA,"급격히 악화된 EU 경제 상황이 문제" file eknews 2011.10.11 2436
4892 온난화로 그린란드 일대 해빙 가속화 file eknews 2014.03.17 2435
4891 EU,2007년도 1.4분기 노동 시장 대체로 안정적 유로저널 2007.07.05 2435
» EU, 9월 대외 교역 적자폭 크게 감소 file eknews 2011.11.22 2434
4889 獨 자동차 테스트,독일차 가장 우수,기아차 결함률 높아 유로저널 2008.01.24 2434
4888 EU회원국, 정부적자및 부채 개선되고 있어 유로저널 2007.05.28 2434
4887 유로존, 더블딥 선고 확정 file eknews24 2012.11.20 2433
4886 EU 긴급 정상회담,그리스 추가 구제 금융 합의 file eknews 2011.07.28 2432
4885 EU, 영국 유로화로 빚 값아야! file eknews21 2017.04.24 2431
4884 유럽 연합, 열띤 토론 끝에 임의적인 이민자 수용에 합의 file eknews 2015.06.29 2431
4883 독일 연방정부 유럽연합 고소 file eknews21 2014.03.03 2431
4882 독일, 그리스 지원 댓가로 재정주권 요구 file eknews 2012.02.02 2431
4881 10월 중 유럽 자동차 판매 증가 유로저널 2006.11.25 2431
4880 한-EFTA FTA 9월 1일 공식 발효 유로저널 2006.08.31 2431
4879 독일, EU 은행감독청 런던에서 프랑크푸르트로 이사 요구 file eknews21 2017.04.18 2430
4878 벨파스트 폭력 시위 끝나나? file eknews 2013.01.23 2429
4877 EU에서 학부모 교육비 부담 가장 큰 회원국은 영국 file eknews03 2011.08.16 2429
Board Pagination ‹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303 Next ›
/ 30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