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9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폭력의 역사, 비폭력 시위가 필요할 때  

정태춘이 부른 <92년 장마, 종로에서>라는 노래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다시는/ 다시는 시청 광장에서 눈물을 흘리지 말자/ 물대포에 쓰러지지도 말자/ 절망으로 무너진 가슴들/ 이제 다시 일어서고 있구나”

90년대 중반 연대사태를 비롯한 일련의 시위진압과정에서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할 때까지 대부분의 집회, 시위 과정에서 과도한 폭력의 사용은 헤어나올 수 없는 굴레와 같았다.

대나무로 보강된 방호복과 방독면, 철망이 덮인 헬멧은 국가의 합법적 폭력을 대변하는 아이콘이었고, 쪼개진 보도블럭과 화염병은 이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었다. 

사실 이러한 폭력의 악순환을 끊기 위한 노력은 집회를 하는 쪽이나 막는 쪽이나 양 쪽에서 끊임없이 있어 왔다. 

1989년 경찰은 이스라엘제 물대포 2대를 처음으로 도입하게 된다. 그러나 너무 커서 시위 현장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웠던 이 장비가 1년 넘게 전혀 사용되질 않자, 90년 국정감사에서 야당 의원들은 “왜 비싼 돈 들여 구입하고는 사용하지도 않느냐”고 따지기도 했다. 최루탄보다는 그래도 물대포가 더 낫지 않으냐는 뜻이었다.

이 물대포가 처음으로 선보인 것은 91년 3월28일이었다. 서울대생 3천여명이 총학생회 발대식을 마친 뒤 교문 앞에서 경찰과 맞붙었다. 

당시 반정부 시위가 으레 그랬듯이 한편에서는 돌과 화염병이 날고, 다른 쪽에서는 곤봉과 최루탄이 작렬했다. 이런 공방전이 계속되는 중에 갑자기 물벼락이 학생들에게 쏟아졌다. 나중에 시위학생을 가려낼 목적으로 물속에는 형광물질도 넣었다.이후 물대포는 항상 최루탄과 함께 사용되고도 했고 얼마 전에는 최루용액을 섞어 분사하기도 했다. 그만큼 시위자들의 고통도 갑절로 늘었다. 

그리고 이번엔 영하의 날씨에서 매서운 ‘칼분사’로 반FTA 시위대를 죽음의 공포로 몰아넣었다. 

애시당초 시위 진압과정에서 과도한 폭력을 배제하고자 도입한 장비가 오히려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장비로 탈바꿈한 순간이었다. 사실 물대포는 소방선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미국에서 개발된 폭동 진압용 기구였다. 흑인 민권운동이 한창이던 60년대에 물대포의 사용도 절정기를 맞았다. 그러나 물대포에 쫓겨서 달아나는 흑인들의 모습으로 말미암아 물대포는 인권침해뿐 아니라 인종차별적 이미지까지 띠게 되면서 인기를 잃었다. 미국에서는 요즘 거의 사용되지 않고, 다른 나라에 수출만 하고 있다.아무튼 이런 폭력적 시위진압의 반작용은 즉각적이었다. 

지난 26일 밤 한미FTA 무효화 시위 과정에서 마침 야당 대표를 만나러 간다는 명분으로 시위 중심부로 걸어가던 박건찬 종로경찰서장이 경찰 제복을 입은 상태에서 시위대로부터 폭행을 당한 것이다. 

박 서장은 계급장이 뜯기고, 안경이 부러졌다. 사건 뒤 이강덕 서울지방경찰청장은 기자회견을 갖고 불법행위는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이 청장은 “적법하게 공무를 수행하던 종로경찰서장이 폭행을 당하고 경찰관 38명이 부상을 입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밝히고 “사회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일단 만날 약속도 정하지 않았다는 정동영 의원이나 이정희 의원이 제기한 의아함은 차치하고, 또 전치 3주라지만 외견으로 보이는 외상도 없을뿐더러, 일상업무에 바로 복귀한 경찰서장의 상태 역시 차치하더라도 우선 현직 경찰서장에 대한 폭행은 명백한 불법행위이다.

 물대포에 대한 증오가 아무리 심하더라도 이에 대한 폭력의 행사는 또다른 폭력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밖에 없다. 

진정한 비폭력 집회만이 시민들을 설득할 수 있는 무기가 된다.이번 기회에 집회지도부와 경찰은 냉정함을 되찾을 필요가 있다.

 어떤 방식으로 의사를 표출하고 또 어떤 방식으로 질서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고민할 때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541 적폐청산은 촛불 시위의 준엄한 명령, 중단되어서는 안된다 file 2018.09.05 1680
540 또 다시 반복되는 인재,국가 총체적 부실 file 2014.02.18 1683
539 증권계의 심각한 도덕적 해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 file 2018.04.11 1683
538 정당차원 야권연대 실패라면 유권자들의 투표라도 민심을 반영해야. file 2016.04.05 1685
537 북·러의 전면적 협력, 한국과 미국의 외교 실패 결과물 file 2023.09.18 1687
536 G8 정상회담, 환경 그리고 우리의 미래 2007.06.21 1688
535 ‘국정농단’ 참회 없는 박근혜의 ‘옥중정치’에 놀아나는 한국정치 '정말 한심하다 ' file 2020.03.11 1688
534 진정한 '실용외교' 2008.07.29 1689
533 한국당의 명분없고 민심과 괴리된 장외투쟁, '현 시국에 무책임하다' file 2019.08.21 1689
532 북핵과 경제 위기로 국가 비상사태, '대통령과 정권, 오기정치 중단해야' file 2016.09.27 1690
531 광복회장의 친일반민족 세력 청산 주장은 당연하다 file 2020.08.19 1690
530 쿠오바디스 ? 독일의 변화에서 우리는 무엇을 볼 것인가? 2006.05.29 1691
529 한국당 의원들, '5.18 민주화'에 이어 ‘세월호 참사’까지 망언 쏟아내 file 2019.04.17 1693
528 김정은 위원장, 한반도 평화정착 위해 연내 서울 답방을 기대한다. file 2018.12.05 1697
527 여야정 협의체의 첫 결실을 환영한다. file 2018.11.07 1700
526 역사적인 남북미 정상 판문점 회동은 사실상의 ‘종전선언’ 평가 file 2019.07.03 1700
525 컨텐츠 저작권에 대한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 2009.03.10 1701
524 이명박의 정치보복 주장, '어불성설이고 적반하장' file 2017.11.14 1707
523 수도권 규제 완화와 부동산 규제 철폐의 독 2008.11.05 1709
522 국정원 정치개입은 '적폐중에 적폐' , 철저한 수사 통해 엄벌 해야 file 2017.07.12 1712
Board Pagination ‹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16 Next ›
/ 11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