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21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경기호황, 가처분소득 상승, 소비자 인식 변화 등이 주된 요인


최근 10년 이래 폴란드 경제가 최고의 호황을 누리고 사회 전반적으로 부가 증가하면서 소위 럭셔리 제품(luxury goods),즉 호사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럭셔리 제품(luxury goods)에 대한 폴란드내 시장가치가 2~3년 전에 비해 50% 성장한 약 2억 PLN(7000만 달러)으로 추정됨에 따라 그간 폴란드 시장을 대수롭게 보지 않았던 럭셔리 브랜드들이 시장으로 잇달아 진입하고 있다.

  현지의 대표적 럭셔리 브랜드 취급업체인 Paradise Group 사장 Mr. Jerzy Mazgaj는 폴란드주간 Warsaw Biz Journal 와의 인터뷰에서 "폴란드에서의 럭셔리 시장은 지난 90년대 중반 이후 꾸준히 성장해 왔고 이는 시장조사로도 확인되고 있다.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은 회사가 새로운 럭셔리 브랜드를 시장에 도입하는데 성공을 가져다 주었다.”고 말했다.
폴란드의 고용 증가와 임금 상승에 따라 가처분소득 이 지난 10 년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폴란드인들의 구매력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의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가용자금으로 100만 PLN (약 33만 달러) 이상을 가진 폴란드인이 10만 명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게다가 폴란드인들은 자신이 더 나아 보이기를 원하고, 럭셔리 브랜드는 높은 생활수준과 이런 생활을 가능케 하는 능력에 대한 상징물로 대표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등 소비자 인식에 변화가 오고있다.이와같은 추세 속에 폴란드인은 높아진 구매력을 명품 구입을 통한 자신의 감성 충족에 사용하고 있다.
또한,소비자 낙관주의가 확산되면서 “폴란드 소비자들은 점점 더 부유해지고 고급 부티크나 고급 식품점에서 쇼핑을 하려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고 한 럭셔리 브랜드의 관계자가 밝혔다.

  지난 10년간 관련업체들은 Burberry, Hugo Boss, Max Mara, Versace, Emporio Armani 등과 같은 럭셔리 브랜드를 시장에 들여 왔고, 최근 호사품 시장확장에 힘입어 Louis Vuitton, Chanel, Donna Karan 등이 2~3년 내 시장진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폴란드 경기호조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 부유층을 중심으로 고급·고가 및 브랜드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향후에도 폴란드의 럭셔리 제품 시장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로저널 동유럽 본부
                            최피터 본부장
                            ekn@eknews.net


@유로저널 ONLY 뉴스 에 게재된 각국 기사 내용은 한국 언론들이나 포탈싸이트에 보도되지 않았거나, 본지가 직접 취재한 기사들만을 보도합니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96 유럽의회, 제3국 시민 노동허가 지침에 대한 입장 확정 편집부 2023.05.03 532
5895 유럽 아동 청소년, 매년 대기오염으로 1,200명 이상 사망 편집부 2023.05.03 536
5894 EU,내년부터 미국 결제 시스템에 대응해 자체 방법 도입 편집부 2023.05.03 531
5893 EU 회원국, 챗GPT 규제 움직임 확산 편집부 2023.04.25 452
5892 美 , 유럽 '폭스바겐 ID.4'를 보조금(IRA) 대상에 추가 편집부 2023.04.25 436
5891 유럽연합, 반도체 산업에 수십억 유로 투자 결정 편집부 2023.04.25 408
5890 유럽연합, 암호화폐 시장 더 강하게 규제 편집부 2023.04.25 410
5889 EU 경제 공동체 출범 30주년,'국가별 생활 수준 차이 여전' 편집부 2023.04.11 432
5888 EU, 70세 이상 운전 능력 점검 기간 5년으로 단축 편집부 2023.04.11 418
5887 세르비아,경제 대비 유럽 최고 수준 투자 지역 부상 편집부 2023.04.11 413
5886 EU, 2030년 신재생에너지 비중 42.5% 확대에 합의 편집부 2023.04.04 447
5885 EU와 독일, 합성연료 사용 내연기관 자동차 허용 최종 합의 file 편집부 2023.04.04 379
5884 유럽연합에서 유통되는 꿀 중 편집부 2023.04.04 378
5883 유로 통화권 전체 인플레이션 하락 속 코어 인플레이션 위험 수준 편집부 2023.04.04 365
5882 대만, 'EU-대만 투자협정 거부 시 對EU 반도체 투자 거부 편집부 2023.03.29 397
5881 EU-미국, EU 기업의 IRA법 전기차 보조금 수혜 협상 합의 file 편집부 2023.03.29 395
5880 유럽연합 국가, 2000개 이상의 위험 제품 등록 절반 이상이 중국 제조 제품 편집부 2023.03.29 397
5879 유럽중앙은행, 인플레이션 증가 요인으로 경고 편집부 2023.03.29 328
5878 유럽 아동 빈곤 문제 해마다 점점 더 심각해져 편집부 2023.03.14 481
5877 유럽에서 수출 및 기부된 중고 의류,'쓰레기 문제 야기' 편집부 2023.03.14 515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303 Next ›
/ 30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