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고작 서른 해 조금 넘은 삶을 살아온 내가 짧은 지식과 경험으로 이런 말을 할 자격이 있는 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지금까지 내가 목격하고 경험한 바로는 정말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우리들 대부분은 허튼 짓(?)만 하지 않으면 자신에게 주어진 밥그릇 안에서 충분히 자급자족하며 살 수 있도록 창조된 것 같다. 
물론, 그 밥그릇의 크기는 저마다 천차만별로 다를 수 있는데, 이것이 불공평하다고 느껴진다면 창조주를 원망하는 수 밖에 없다. 
여하튼, 그 주어진 밥그릇 안에서 성실함만 잃지 않는다면, 우리는 누구나 밥을 굶지 않고, 그 밥그릇 안에서 나름 대로의 작은 여유도 누릴 수 있게 되어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나는 우리 부모님을 통해 그것을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우리집은 비록 내가 초등학교 시절에 샀던 전자레인지를 아직도 쓰고 있고, 내가 고등학교 시절에 샀던 차를 아직도 타고 있을 만큼 화려함과는 거리가 멀지만, 대신 평생토록 남을 도와주면 도와줬지 남한테 아쉬운 소리 한 번 해본 적이 없고, 먹는 것 만큼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푸짐하고 맛있는 밥상을 차려놓고서, 나름대로의 작은 여유들을 누리며 오늘날까지 살아오고 있다.
그럴 수 있었던 것은 결국 부모님께서 단 한 번도 ‘형편껏’의 규칙을 어기신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물론, 정말 특별한 경우라는 게 있다. 태어나면서부터 기아에 허덕이는 아프리카의 불쌍한 어린이들이나, 아니면 정말 천재지변에 의해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 이들처럼 '형편껏'을 위한 기본적인 '형편' 자체가 주어지지 않는 경우도 분명 존재하니까 말이다. 그리고, 당연히 우리는 이들을 도울 의무가 있다. 
그런데, 형편껏 살지 않아서(못해서가 아니다) 어려운 상황에 처한 이들을 돕는 것은 참 고민되는 일이다. 
요즘 한국을 보면 ‘무슨무슨 푸어(poor)’ 하면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이 너무 많다고 한다. 물론, 부(富) 혹은 소득의 재분배가 엉망인 한국은 구조적, 제도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게 사실이며, 정치, 경제에 바로잡아야 할 게 정말 많다. 
이것들을 바로잡기 위해서 우리는 끊임없이 약자들이 처한 형편을 호소하는 한편, 부당한 세상을 만들고 또 유지하려는 이들과 치열하게 투쟁해야 함은 너무도 당연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조건 이들 ‘~푸어’들이 세상 탓만 하는 것도, 또 이들 ‘~푸어’들에게 마냥 경제적 지원을 제공해야 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게중에는 정말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기본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푸어’가 된 경우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고 그야말로 형편껏 살지 않아서 ‘~푸어’가 된 이들도 분명 있을 테니까.
너무 극단적인 예가 될 수도 있겠지만, 나는 요즘 한국 사람들이 너도 나도 최신형 스마트폰을 갖고 있는 게 조금 잘못되었다고 본다. 
자녀 교육비로 허리가 휜다는 학부모들이 어린 자녀들에게 스마트폰을 사주고, 등록금 깎아달라는 대학생들 중에도 스마트폰 쓰는 이들이 있다. 
“내 돈 주고 내가 쓰고 싶은 스마트폰 쓴다는데 뭔 상관이냐?”고 한다면 나도 할 말은 없지만, 적어도 경제적으로 어렵다고 말하는 이들은 그래도 일반폰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스마트폰 쓰면서 그런 말 할 자격이 없다는 것이다.
스마트폰 안 쓴다고 큰 일 나는 것도 아닌데, 돈 없다고 노래를 부르는 이들이 최신형 스마트폰 쓰는 것을 보면 혼란스럽다.
카드빚에 시달리는 사람들도 마찬가지다. 게중에는 정말 가족의 병원비 마련을 위해 피치 못해 카드빚을 낸 사람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고 형편을 넘어서는 지출을 하다보니 카드빚이 쌓인 사람도 분명 있을 것이다. 
여기를 봐도, 저기를 봐도 온통 빚을 내라는 광고 투성이인 한국에서 그 유혹을 뿌리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은 이해하지만, 그래도 카드건 뭐건 ‘내가 땀흘려 번 내 돈’이 아닌 것은 결국 ‘무서운 남의 돈’일 뿐이다. 
그 ‘남의 돈’을 너무나 쉽게 생각하고 쓰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그래 놓고선 도저히 본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빚이 늘어나자 사는 게 힘들어 죽겠다고 하니, 한편으로는 동정이 가면서도 그렇다고 남의 돈을 생각 없이 쓴 사람을 무조건 구제해줘야 하는지 갈등이 된다. 
다음 회에 계속
 
 영국과의 인연 혹은 운명
							영국과의 인연 혹은 운명
							
						
					 Never too old to play
							Never too old to play
							
						
					 크리스마스 트리
							크리스마스 트리
							
						
					 친구 (3)
							친구 (3)
							
						
					 한국전 참전용사의 한 마디, “Remember us!”
							한국전 참전용사의 한 마디, “Remember us!”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