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한독통일공감토론회” 

독일 베를린 소재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 대회의실에서 열려

 149.JPG

한반도 통일 어떻게 준비 할 것인가’에 대한 공동 토론회의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 공동주최로 지난 1월30일(월) 15시에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 

대회의실에서 성황리 개최되었다.

독일의 유력 학술기관인 아데나워 재단과 공동으로 추진한 이번 토론회에는 한스 

게르트 푀터링(Hans-Gert Poettering) 아데나워 재단 총재, 문 태영 주독일대사 등

현지 저명인사를 비롯한 통일전문가, 취재기자, 교민 등 247명이 참석하여 뜨거운 관심

속에서 공개토론회 형식으로 한국어와 독일어 동시통역으로 진행되었다.

독일의 통일과정 및 통일이후 정책경험을 참고하여 한반도 통일준비 방향을 모색과 

통일전책 및 통일준비에 대한 동포사회의 이해확산, 그리고 한국과 독일의 이해공유 및

우호강화를 위한 포럼이 뜨거운 토론으로 펼쳐졌다.

 146.JPG

102.JPG

한스 게르트 페터링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 총재는 환영사에서“아데나워재단은 한반도

평화통일을 적극지지하고 있다.”면서“오늘 통일공감토론회가 한반도에 커다란 평화의 

가치와 보너스를 위해 분단의 극복과 통일을 위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독일은 수십 

년간 분단되었었는데 공산 이념에서도 통일이 될 수 있었고, 자유 안에서 통일이 이루어 

진 것처럼 한국도 자유 안에서 통일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문 태영 대사와 김 현욱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그리고 모든 관련자들과 민주평통자문위원들이

이 자리를 함께 하게 됨을 기쁘게 생각하며 감사한다.”고 말하였다.

김현욱 수석부의장은 개회사를 통해“독일이라는 통일선배를 둔 것이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면서“북한주민에 대한 사랑이 통일운동의 가장 큰 동력이며, 유럽의 헬싱키프로세스를 

모델로 한 (가칭) 서울프로세스를 제안하며 북한 인권문제 해법에 더 많이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 하였으며 “그동안 콘라드 아데나워재단은 한독, 독한 관계에서 참으로 많은 역할을 

했으며 한국이 끼니조차 걱정해야할 정도로 빈곤했던 1960년대부터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은 

한국의 박정희 대통령을 도와 한국이 눈부신 경제발전을 하는데 많은 역할을 했다“고 

말하면서 끝으로 ”존 에프 케네디가 51년 전에‘나는 베를린 사람이다‘라고 말했는데 

저는 지금 말합니다. 나도 베를린 사람입니다. 베를린을 사랑합니다. 왜냐하면 자유를 

사랑하기 때문입니다“라고 하자 행사장에는 열광의 박수가 쏟아졌다.

 159.JPG164.JPG

문 태영 대사는“이번 톤론회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에서 온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김현욱 수석부의장 및 역할자들, 그리고 한스 게르트 페터링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 

총재 및 독일 측 관련자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면서“독일은 20년 전 분단을 

슬기롭게 해결한 나라이며 통일의 상징도시인 독일 베를린에서 두 번째 통일공감토론회를 

개최하게 됨을 기쁘게 생각 한다. 작년 12월 김정일 사망 후 향방 예측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남북문제를 토의하게 되었지만, 갑자가 올 수 있는 통일을 대비하여 분단의 

경험을 갖은 분들과 통일에 대한 토론을 나누면서, 통일에 대한 문제점과 후유증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대화가 되길 희망 한다.”고 말하였다.

제2부 순서로는 ‘디 벨트’ 신문 주필 스벤 펠릭스 켈러호프 씨의 사회로 제1 세션에서 

'한반도 평화통일 전망-독일통일과정의 시사점을 중심으로’라는 발제, 주제로 한국 측 

국내 최고의 통일전문가인 통일연구원장 김태우 박사와 독일 측 에서는 동독 출신으로 유럽 

최고의 한반도 전문가이며 이미 90년대 초반에 북한 평양의 김일성대학과 한국 서울의 

고려대학교에서 한반도 통일문제를 연구했고 한국어 실력도 상당한 수준인 뤼디거 프랑크 빈 

대학 교수의 발제를 들은 후, 염돈재 교수(성균관대), 유르겐 클림케 연방하원의원이 참여하는 

자유토론 순으로 진행되었다.

 128.JPG

김태우 통일연구원장은 독일통일의 성공요인으로 ►서독을 선택한 동독주민의 결단(동독 내부의 

통일역량),►서독의 동방정책, ►서독의 압도적 국력과 확고한 안보태세, ►서독의 성공적인 

통일외교와 미국의 중재, ►서독국민들의 통일의지, ►헬무트 콜(Helmut Kohl)이라는 

통일지도자의 존재 등 이상의 6가지를 들고, “독일통일 과정은 한반도 통일의 그날까지 유익한

교훈으로 남을 것이며, 한국은 대북·외교·대내 정책 등에 이를 담아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뤼디거 프랑크 교수는 “한국과 독일의 상황은 여러 가지로 다르기 때문에 독일통일에는 

없었던 후유증이 한국의 통일과정 중에 새롭게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하면서, 최근 북한

내의 휴대전화 급증, 여성들의 화려해진 외모 등 최근에 감지되는 물질주의적 정황들을 

소개하면서 향후 북한의 점진적인 변화 가능성을 예견하기도 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염 돈재 교수는“통일의 후유증을 성공적으로 극복한 독일이 한국인에게 

주저함 없이 통일에 매진하라고 충고”해 달라면서“과거 독일이 한국의 인권, 민주화에 

많은 기여를 했던 것처럼, 현 시기에는 북한의 인권, 민주화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호소했다.

 

<제2세션>에서는‘독일통일 21년 - 통일 후 통합과정이 한국에 준 시사점’을 주제로 정중재 

교수(충북대)의 발제를 들은 후, 유 영옥 교수(경기대), 요크 쉔봄 전 국방부 차관, 힐디군트 

노이베르트 아데나워재단 이사가 참여하는 토론으로 분야별 통합과정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정 중재 교수는 발제를 통해 통일비용을 논의함에 있어 금전적 문제보다는 속도에 집중해야 

할 것을 강조했다. 특히 정 교수는 “통일 이후 어떻게 정상궤도로 신속히 진입할 것인가를 더

많이 연구해야 할 것”이라면서 동서독 경제통합 과정에 나타난 통화의 단일화, 국유재산 사유화, 

실업대책 등의 효과성을 분석하면서 한국식 해법을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유 영옥 교수는 현재까지 이어진 북한의 경제특구가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지적하면서“남측은 확대를 원하지만, 계약이행을 번복하는 북측의 지속적 행태가 국제적으로 

신용추락으로 이어져 막대한 투자유치 기회를 놓치는 현실에 유감”을 표시했다.

 

독일의 요크 쉔봄 전 국방부차관은 1990년 초 동서독 군 통합 과정을 소개하면서, “동독의 

무기들을 폐기하는 일도 어려웠지만, 40년간 독재 정치로 뿌리박힌 국민들의 의식전환에 대한 

대비가 미흡했던 것이 통합을 어렵게 한 중대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힐디군트 노이베르트 이사도 당시 마르크시즘이 동독 교사, 행정가들의 의식 속에 깊이 

자리하고 있었다고 회고하면서“근본적으로 인간은 자유에 대한 열망이 있으므로, 현재 북한이 

보이고 있는 경제적 측면의 욕구가 문화, 정치적 요구로 전이된다면 큰 희망이 될 수 있을 것”

이라며 긍정적 측면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눈부신 경제적 성과를 이룬 한국이 통일과정도 슬기롭게 대처하여 다시 한 번 세계를 

놀라게 하기를 기대한다면서, 이번 토론회가 한반도 통일을 보다 정밀하게 준비하는 데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됐다며 논의를 마무리했다.

 


유로저널 독일 안비니 기자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영국 대다수 영국한인들, 재영한인회장 선거는 무효이고 재선거해야 file 편집부 2024.01.15 949
공지 영국 재영한인총연합회, 감사 보고 바탕으로 회장 선거 무효 선언하고 재선거 발표 file 편집부 2024.01.02 508
공지 유럽전체 유로저널 주최 2023 영국 K-POP 대회 대성황리에 개최되어 file 편집부 2023.12.05 1256
공지 유럽전체 제5회 (사)해외동포언론사협회 국제 포럼, 세 주제로 열띤 토론으로 성황리에 개최되어 file 편집부 2023.10.30 1662
공지 유럽전체 2022년 재외동포처 설립과 재외우편투표 보장위한 국회내 토론회 개최 (유로저널 김훈 발행인 참여) file 편집부 2022.12.18 2256
공지 유럽전체 제 4회 (사)해외동포언론사협회 포럼에서 재외동포기본법과 재외선거 관련 4시간동안 열띤 토론 진행 file 편집부 2022.11.14 3129
공지 유럽전체 유럽 영주권자 유권자 등록 불과 최대 855명에 불과해 편집부 2022.01.25 4179
공지 유럽전체 제 20대 대선 재외국민 유권자 등록 '매우 저조해 유감' file 편집부 2022.01.22 4299
공지 유럽전체 유로저널 유럽 한인 취재 기사 무단 전재에 대한 경고 편집부 2021.06.12 10780
공지 유럽전체 제 3회 (사)해외동포언론사협회 국제포럼 성황리에 개최해 file 편집부 2019.11.06 32398
공지 유럽전체 제2회 (사) 해외동포언론사협회 국제포럼 깊은 관심 속에 개최 편집부 2019.06.07 35147
공지 유럽전체 (사)해외동포언론사협회, 철원군 초청 팸투어 통해 홍보에 앞장 서 편집부 2019.06.07 35784
공지 유럽전체 제 1회 (사)해외동포언론사협회 해외동포 언론 국제 포럼 성공리에 개최되어 file 편집부 2018.10.30 39486
공지 유럽전체 해외동포 언론사 발행인들,한국에 모여 첫 국제 포럼 개최해 file 편집부 2018.10.20 35231
공지 유럽전체 유총련은 유럽한인들의 대표 단체인가? 아니면 유총련 임원들만의 단체인가? 편집부 2018.03.21 40638
공지 영국 [유로저널 특별 기획 취재] 시대적,세태적 흐름 반영 못한 한인회, 한인들 참여 저조와 무관심 확대 file 편집부 2017.10.11 49166
공지 유럽전체 '해외동포언론사협회' 창립대회와 국제 포럼 개최로 동포언론사 재정립 기회 마련 file eknews 2017.05.11 63189
공지 유럽전체 유럽 한인 단체, 명칭들 한인사회에 맞게 정리되어야 eknews 2013.03.27 65414
공지 유럽전체 해외 주재 외교관들에 대한 수상에 즈음하여(발행인 칼럼) eknews 2012.06.27 71617
공지 유럽전체 재유럽 한인 대표 단체 통합을 마치면서(정통 유총련: 회장 김훈) file eknews 2012.02.22 64290
공지 유럽전체 존경하는 재 유럽 한인 여러분 ! (정통 유총련 김훈 회장 송년 인사) file eknews 2011.12.07 75850
공지 유럽전체 유럽 한인들을 위한 호소문 (정통 유총련 회장 김훈) file eknews 2011.11.23 88368
공지 유럽전체 유총연 대정부 건의문(정통 유총련: 회장 김훈) file eknews 2011.11.23 94871
공지 유럽전체 유총연 (회장 김훈) , 북한 억류 신숙자씨 모녀 구출 촉구 서명운동 eknews 2011.11.23 93573
공지 유럽전체 '유총련’임시총회(회장 김훈)와 한-벨 110주년 행사에 500여명 몰려 대성황이뤄 file eknews 2011.11.16 104546
공지 유럽전체 재유럽 한인 두 단체에 대한 유총련의 입장(통합 정관 부결 후 정통유총련 입장) file eknews05 2011.10.31 87612
공지 유럽전체 유총연 임시총회,통합 정관 부결로 '통합 제동 걸려' (제 9대 신임회장에 김훈 회장을 만장일치로 선출) file eknews 2011.09.20 96899
공지 유럽전체 재유럽한인 총연합회 전현직 임원,그리고 재유럽 한인 여러분 ! (통합관련 총회 소집 공고) eknews05 2011.09.05 91765
5445 독일 “재외 동포와 함께 하는 평화통일" 및 강연회 file eknews04 2018.03.29 2064
5444 유럽전체 “재외국민 ‘우편투표’ 실시 도입 촉구” 청와대 청원 진행중 eknews06 2020.11.16 1132
5443 프랑스 “저 너머…” 김명남 개인전. file eknews09 2011.05.23 9493
5442 독일 “진정한 용기”를 배우는 비스바덴 한글학교 역사 캠프 file eknews05 2022.08.06 211
5441 독일 “침묵-그래 말없이-아니라고”-교포 2세 현 마틴 file 유로저널 2009.07.14 3381
5440 독일 “태권도로 하나되는 세상”을 염원하는 세계인의 대축제 file 유로저널 2006.09.24 2265
5439 독일 “태권도로 하나되는 세상”을 염원하는 세계인의 대축제 file 유로저널 2006.09.24 1591
5438 독일 “태권도로 하나되는 세상”을 염원하는 세계인의 대축제 file 유로저널 2006.09.24 1724
5437 독일 “태권도로 하나되는 세상”을 염원하는 세계인의 대축제 file 유로저널 2006.09.24 2586
5436 독일 “태권도로 하나되는 세상”을 염원하는 세계인의 대축제 file 유로저널 2006.09.24 1614
5435 독일 “파독근로자 60주년 기념 행사”에 초대합니다!! 편집부 2023.06.06 147
5434 독일 “판소리에서 포크음악으로” 싱어송라이터 인기가수 최고은 베를린 문화원 콘서트 file eknews05 2013.01.12 4929
5433 독일 “한가위 윷 대회를 하는 충청회 향우들” file eknews05 2013.10.30 3805
5432 프랑스 “한국 만화” 프랑스 특별전. file 유로저널 2010.02.08 3820
5431 유럽전체 “한국·이탈리아 수교 130주년” 기념의 해! “프란체스코 교황 방문의 해”! 이탈리아로 팔려간「조선인 노예 영령 추모 행사」 개최되어 file eknews 2014.03.25 4149
5430 독일 “한국인들은 왜...?” 독일인 위한 ‘한국 문화 해설서’ 나왔다. file 편집부 2023.01.26 136
5429 프랑스 “한국전통무용의 밤” 열려. file 유로저널 2008.07.07 7390
» 독일 “한독통일공감토론회” 독일 베를린 소재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 대회의실에서 열려 file eknews 2012.02.15 3991
5427 프랑스 “한불문화상 2008” 시상식 열려. file 유로저널 2009.05.12 3726
5426 독일 “현대 포워드 컨테이너” 함부르크 입항 file eknews04 2018.05.17 1392
Board Pagination ‹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314 Next ›
/ 314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