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78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현재 한국은 전망 부재(不在)의 상태에 있다. 기존의 보수와 진보는 한국이 나아갈 길을 제시할만한 능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보수는 반대할 줄만 알지 지향점을 밝히고 그에 이르는 구체적 방략(方略)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진보는 집권했으면서도 별 성과는 내지 못하고 ‘민족의 이름으로’ 모든 것을 바꾸고 달리 해석하려고 듦으로써 분란만 가중시키고 있다.
한국이 처한 더 큰 딜레마는 보수와 진보 사이에 소통의 길이 막혀있다는 점이다. 보수와 진보는 사회를 구성하는 두 축이다. 두 진영이 서로 경쟁하면서 생산적 대화를 나눌 때 사회는 발전한다. 그런데 한국의 보수와 진보는 서로 할 말만 늘어놓고 들으려고는 하지 않는 귀머거리의 대화를 나누고 있을 뿐이다.
‘뉴라이트(New Right)’는 한국이 직면한 이러한 두 가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출현한 것이다. 보수에게 전망과 대안을 안겨주면서 진보에게도 자기 혁신을 통해 생산적 대화의 장으로 나올 것을 요구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뉴라이트이다. 이 점에서 진보의 혁신을 내세운 ‘좋은 정책포럼’이나 ‘세교연구소’ 같은 싱크탱크의 출범은 뉴라이트 입장에서도 환영할만한 일이다.
이들은 그 동안 진보 진영에서 별로 환영받지 못한 ‘시장’ ‘글로벌화’ ‘성장’ ‘인권’ 등에 대해서도 앞으로는 적극 발언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 개념들에 대해 무조건적 반대가 아니라 실현가능한 대안을 모색하겠다고 나섰다는 점에서 이들은 한국적 의미에서의 새로운 진보, 즉 뉴라이트에 맞서는 ‘뉴레프트(New Left)’로 불러도 좋을 것 같다.
한 가지 걸리는 것은 뉴레프트의 출범식에서 민주주의 부족에 대한 걱정은 들을 수 있었으나 자유주의 결여에 대한 문제의식은 찾아보기 어려웠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한국의 보수와 진보가 공히 직면한 딜레마는 자유주의에 대한 이해의 부족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이 뉴라이트의 기본입장이다.
기존의 보수와 진보는 정치적 자유와 경제적 자유에 관해 아전인수(我田引水)의 태도를 보여주었다. 진보는 경제적 자유 확대의 효율성을 인정하지 않은 채 그로 인한 부작용에만 주목했으며, 국내 차원에서는 정치적 자유의 확대를 요구하다가도 민족(북한) 앞에만 서면 한없이 작아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보수는 국가 의존에서 시장 주도로 발 빠르게 변신했지만 여전히 정경유착의 악습을 버리지 못했고, 북한에 대해서는 정치적 자유의 확대를 주장하면서 국내에서는 그것의 확대에 대해 유보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자가당착은 양 진영이 자유주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제 한국의 보수와 진보는 자유주의에 대한 인식을 보다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 보수는 투명성 부족을 해소해야 하고, 국가보안법의 도움 없이도 자생력이 있음을 보여주어야 한다. 진보는 시장의 효율성과 공존하는 법을 배워야 하고, 민족 앞에서도 자유가 위축되지 않음을 보여주어야 한다. 이럴 때 양 진영은 뉴라이트와 뉴레프트로 거듭나게 될 것이다.
이 점에서 우리는 뉴레프트의 등장을 환영하면서, 그들이 민주주의 지상(至上)의 사고에서 벗어나 자유주의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기를 기대한다. 이제 자유주의는 보수와 진보, 남한과 북한 가릴 것 없이 모두가 고민해야 할 문제이다.

위기에 봉착한 남한의 민주주의를 올바른 방향으로 심화시키기 위해서도, 북한을 개혁과 개방으로 이끌기 위해서도 자유주의의 문제를 숙고해야 한다. 한국에서는 민주주의뿐 아니라 자유주의도 ‘미완(未完)의 기획(project)’임을 알아야 한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20 특권 유지에 발버둥치는 검찰,'더 강한 개혁만이 답' file 2020.11.04 3349
219 특권층 권력형 비리 은폐의 상징 '김학의·장자연 성폭력 의혹', 공수처 신설이 절실함을 강조한다 2019.03.20 1206
218 특별사면, 이제 고쳐야 할 때다. file 2013.01.31 2723
217 파란만장한 이완구 총리, 내각 주도력 회복에 힘을 쏟아야 file 2015.02.17 1469
216 파리의 한국대중음악 file 2011.06.14 5799
215 패거리의 나라,관료 사회 수술만이 해결책이다. file 2014.04.29 2206
214 패러다임 변화와 한국 IT산업의 위기 file 2011.08.22 3756
213 패스트트랙 충돌사건, 수사 서둘러서 무자격의원 선출 막아야 file 2019.11.20 1119
212 평창올림픽 개최와 과제 file 2011.07.12 5861
211 평창올림픽은 '평화올림픽'으로 승화시킨 우리 민족의 걸작품 file 2018.02.28 1781
210 평화정착의 길 2006.12.01 1031
209 평화정착의 길 2006.12.01 1358
208 평화정착의 길 2006.12.01 1938
207 평화정착의 길 2006.12.01 967
206 평화정착의 길 2006.12.01 882
205 평화헌법 무시하며 공격 능력 강화하는 일본을 경계해야 file 2022.12.23 214
204 폭력의 역사, 비폭력 시위가 필요할 때 2011.11.29 2906
203 표현의 자유 보장은 민주주의 국가의 가장 소중한 기본권 file 2013.11.14 2355
202 풍전등화의 개혁신당, 기존 정당과는 차별화된 정치 보여야 file 2024.02.19 944
201 프랑스 '노동유연성법' 반대 시위의 교훈 2006.05.30 924
Board Pagination ‹ Prev 1 ...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15 Next ›
/ 1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