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조회 수 74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또 한 번의 대학 수학능력 시험이 끝났다. 해마다 수능 날은 대한민국 수많은 청소년들이 자신들의 남은 인생이 한 판(?)으로 결정 된다는 두려움과 긴장으로, 그리고 이들을 바라보는 수험생 학부모들은 당사자들보다 더한 간절함으로 마음 졸이는 하루다.

이번 2008년도 수능을 지켜보면서 유난히 마음이 불편한 것은 과연 수능을 마친 저들이, 아직 인생의 날개도 펴보지도 못한 저 젊은 영혼들이 과연 어디로 가야 하는지, 정작 본인들은 갈 곳을 알고 있는지, 또 우리 사회가 이들에게 갈 곳을 찾도록 도와줄 수 있는지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88만원 세대’로 대표되는 고단한 대한민국의 청년들을 둘러싼 먹구름은 당분간 걷힐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학업에 뜻이 있어서, 그 만큼의 노력을 기울여서 소위 말하는 명문대, 명문과에 입학하게 될 이들, 그리고 나름대로의 사정으로 비명문대, 비명문과에 입학하게 될 이들, 그리고 내년에 재도전 하기 위해 재수, 혹은 삼수를 선택하게 될 이들, 마지막으로 대학이라는 곳과 인연이 없다는 판단으로 곧장 사회에 뛰어들 이들, 모두가 다 우리 사회를 구성하게 될 소중한 구성원들이다.

그러나, 이들이 어떤 길로 향하든 지금과 같은 우리 사회, 경제 분위기 속에서는 상위 몇 %에 해당하는 부유층 출신이 아닌 이상, 안타깝게도 모두가 다 고단한 길이 될 것으로 보인다. 희망하는 대학, 학과에 입학한 기쁨도 잠시, 이들은 등록금 천만원 시대가 가져온 학비 부담을 극복해야 한다. 더욱이 요즘과 같은 분위기에서는 대학을 졸업했다고 미래가 보장되는 것도 아니다. 이들은 4년이라는 시간 동안 엄청난 양의 시간, 돈, 노력을 기울이면서도, 그 과정을 마친 것에 대한 보상을 기대하기 힘들다.  

그래도 이들은 4년 간 미래를 위해 준비하고, 사회 진출 전에 대학 졸업장이라는 무기(?) 하나라도 갖추는 셈이다. 그런데, 모두가 다 대학 공부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모두에게 대학 과정이 적성에 맞는 게 아닌 이상, 자의든 타의든 이번 수능을 마치고 곧바로 사회라는 전쟁터에 뛰어들어야 하는 이들도 있다. 대학 졸업장이라는 기본 무기도 갖추지 못한 이들을 기다리는 것은 차갑고 높은 우리 사회의 벽이다.

원래 사회는 대학에 가기 위해 노력한 이들, 대학을 다니면서 사회에 나오기 위해 노력한 이들을 위한 일자리를 제공해야 한다. 고등 교육 과정을 거친 이들을 최대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해야 한다. 또, 사회는 대학을 나오지 않아도 잘 할 수 있는 일들을 감당해야 하는 이들을 위한 일자리도 제공해야 한다. 당장, 일자리가 없다면 일자리를 찾는 과정이 될 수 있는 교육이나 훈련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사회는 이 모든 젊은이들이 사회에 진출했을 때 갈 방향을 제시해 주고, 방향이 결정된 이들을 보조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런데, 지금 우리 사회는 이들 젊은이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게, 이들을 위해 마련해 놓은 게 없어도 너무나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대부분이 자신이 무엇을 잘 하는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조차 모르도록 만드는 우리 교육과 우리 사회가 해마다 수능이 끝나면 수많은 젊은이들을 외로운 혼돈으로 몰아 넣고 있다.

당장은 이들의 존재가 미미해 보일 수 있겠지만, 10년, 20년 뒤 우리 사회를 지탱해 나갈 주역들이 바로 이들이다. 지금 사회 각 층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이들이 늙고 병들어 더 이상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할 때가 오면, 자연스레 우리 사회를 책임지고, 또 그 때가 되면 지금보다 훨씬 증가해 있을 노년층의 삶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칠 이들이다.  

이렇게 막중한 임무를 지니게 될, 이렇게 중요한 가치를 지니게 될 젊은이들, 과연 수능이 끝남과 동시에 이들은 어디로 가야 하는지? 이들이 명쾌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답을 찾은 이들에게는 최선의 지원을 해줄 수 있는 우리 사회가 될 수 있기를 간절히 기다려 본다.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560 일본 대지진 충격과 우리에게 주는 교훈 2011.03.17 5574
559 자연에 순응하는 에너지 정책 2011.03.21 3570
558 천안함 1주기와 안보혁신 2011.03.30 3021
557 신공항 백지화 단상 2011.04.05 3194
556 자살공화국 단상 2011.04.12 4990
555 IT강국 대한민국의 깨어진 신뢰 2011.04.21 3204
554 검찰개혁의 단초, 사개특위 개혁안 2011.04.26 3934
553 4.27 재보선이 남긴 숙제 2011.05.03 3382
552 금융시스템과 신뢰의 구축 file 2011.05.09 4750
551 대통령의 유럽순방 이후 과제 file 2011.05.17 4130
550 유성기업 파업과 기업간의 상생 file 2011.05.23 5189
549 보이지 않는 대한민국 서민 생존 정책 file 2011.05.30 4426
548 중수부 폐지 논란과 부산저축은행 수사 file 2011.06.07 4159
547 파리의 한국대중음악 file 2011.06.14 5799
546 국민이 먼저인 수사권 개혁안이 되어야 file 2011.06.22 3846
545 홍준표 한나라당 새 대표의 과제 file 2011.07.05 4236
544 평창올림픽 개최와 과제 file 2011.07.12 5861
543 유로존의 위기를 간과할 수 없는 이유 file 2011.07.19 4555
542 공포와 광기의 산물, 테러 file 2011.07.26 3446
541 진화하는 기상이변,체계적인 대책 필요하다 file 2011.08.02 4044
Board Pagination ‹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115 Next ›
/ 11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