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대사관 | 유관기관 | 한인회 | 유학생회 | 기타한인단체 | 한인동포업체 | 주재상사 | 유럽내 추천사이트 | 해외동포 언론사이트

단독 사설
단독 칼럼
단독 인터뷰
독자기고/특별기고
엣세이/여행기/장편소설
유럽한인 취재뉴스
유로저널특집/기획취재뉴스
취재/독자/동영상
한인사회 게시판
정부/대사관 공지
재미있는 유머
경제뉴스
국제뉴스
정치뉴스
사회뉴스
기업뉴스
문화뉴스
연예뉴스
건강뉴스
여성뉴스
스포츠뉴스
내고장소식
독일뉴스
영국뉴스
베네룩스
프랑스뉴스
유럽뉴스
동유럽뉴스
스칸디나비아
스페인/이탈리아
오스트리아/스위스
그리스/터키/포르투갈
유럽각국 전시정보
유럽각국 이민정보
유럽각국 생활정보
유럽각국 교육정보
유럽각국 문화정보
여행기사 정보제공
유럽각국 여행정보
유럽각국 연금제도
유럽소비자 제품평가
공공기관/기업광고
동포업체 및 기타/해외
번역/통역, 관광, 가이드
민박, 하숙, 호텔

최지혜 예술칼럼
2022.07.25 06:46

사람을 그리는 화가들 3 - 모딜리아니와 호크니

조회 수 1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Files
Extra Form

유로저널 324

사람을 그리는 화가들 3 - 모딜리아니와 호크니

 

7 12 모딜리아니의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서 런던 테이트 갤러리에서 모딜리아니의 그림을 포스팅했다. 

Amedeo Modigliani, Madame Zborowska, 1918.jpg

Amedeo Modigliani, Madame Zborowska, 1918

(사진출처: facebook.com/tategallery/photos/a.117432718992/10160329503388993/)

 

모딜리아니를 떠올리면 우리는 잔느를 같이 생각하지 않을 수가 없다.    

Amedeo Modigliani, 큰 모자를 쓴 잔느 에뷔테른,1917.jpg

Amedeo Modigliani, 모자를 잔느 에뷔테른,1917 (개인 소장)

 

파란 눈의 목이 여자기 바로 모딜리아니(Amedeo Modigliani, 1884-1920) 영원한 사랑이자 예술의 영감이었던 뮤즈 잔느 에뷔테른(Jeanne Hebuterne, 1898-1920). 

잔느는 미술사에서 주목받지는 못했지만, 모딜리아니의 모델로서 영감을 불러일으켰고 그와 함께 작업하며 예술에 대한 열정을 표출했다. 

그녀는 15살의 나이에 이미 화가의 꿈을 지녔던 화가 지망생이었다. 미술학교에 다니며 몽파르나스의 가난한 예술가들과 교우하고 때론 그들의 모델이 되어주기도 했다 

Jeanne Hebuterne.jpg

Jeanne Hebuterne

 

잔느는 수업이 끝나면 카페 로통드에 자주 들르곤 했다. 그러던 어느 , 깔끔한 코듀로이와 붉은 스카프를 두른 모딜리아니와 우연히 마주쳤다. 

당시 모딜리아니는 생긴 외모에 교양과 매너가 있어서 당시 파리의 예술가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아주 높았다. 하지만, 그는 너무 가난해서 빵을 사기 위해 헐값에 그림을 그리기도 했고술과 마약, 방탕한 생활에 의지해 현실에서 도피하며 살고 있었다. 

1917 , 조각가 차나 오를로프(Chana Orloff) 화가들의 모임에서 모딜리아니에게 잔느를 정식으로 소개해 주었다.

때부터 둘은 니스에서 가난하지만 기쁨이 충만한 날들을 보냈다. 모딜리아니는 어느 때보다 뛰어난 작품들을 열정적으로 그렸다. 목이 여인으로 유명한 잔느의 초상화들과 모딜리아니의 대표적인 초상화들이 탄생했다. 또한 모딜리아니와 잔느 사이에 잔느도 태어났다. 

Amedeo Modigliani, Portrait of Jeanne hébuterne, 1919.jpg

Amedeo Modigliani, Portrait of Jeanne Hébuterne, 1919 (사진출처: commons.wikimedia.org)

 

잔느는천국에서도 당신의 아내가 되어 줄게요라고 모딜리아니에게 말했다. 

 

Amedeo Modigliani, Jeanne Hébuterne 1919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하지만, 다시 파리로 돌아오면서 이런 그들의 사랑도 2년이 못되어 끝이 나게 된다. 1919 겨울부터 극도로 건강이 나빠진 모딜리아니는 이듬해인 1920 1 24 결핵성 뇌수막염으로 입원 3 만에 사망하고 만다. 

그리고 이틀이 지난 1920 1 26 새벽잔느는 가족들과 함께 머물던 아파트 5층에서 뛰어내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당시 22살이었던 그녀는 8개월 둘째 아이를 임신하고 있었다. 

Amedeo Modigliani, Jeanne Hébuterne 1919 ©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jpg

Amedeo Modigliani, Jeanne Hébuterne with Hat and Necklace, 1917

 

모딜리아니의 절친한 친구였던 시인 앙드레 살몽은 잔느의 죽음에 시를 남겼다. 

편히 잠들라, 애처로운 잔느 에뷔테른이여.

편히 잠들라, 당신의 죽은 아이를 요람에 넣어 흔들었을 애처로운 여인이여.

편이 잠들라, 이상 헌신적일 없었던 여인이여.

메다르 교구의 마리아 상과 닮았던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의 죽은 아내여.

편히 잠들라흙에 덮여가는 새하얀 은둔처에서.

  

4. 데이비드 호크니

서울 시립 미술관에서 2019 전시회를 가졌던 현대미술의 거장인 데이비드 호크니는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현존하는 예술가들 명이다. 그는 1960년대부터 작업을 시작해 일생 동안 다양한 환경 속에 작업 방식을 변화시켜오고 있다. 

 

 (다음에 계속…)

 

유로저널칼럼니스트, 아트컨설턴트 최지혜

메일 : choijihye107@gmail.com

블로그 : blog.daum.net/sam107

유로저널광고

List of Articles
번호 카테고리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블룸스버리에듀케이션 입시정보 블룸스버리 에듀케이션 소개 및 연락처 file 편집부 2024.06.02 21
공지 이윤경의 예술칼럼 이윤경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21.05.03 4819
공지 크리스티나의 음악일기 크리스트나 칼럼니스트 소개 file 편집부 2019.01.29 19865
2120 최지혜 예술칼럼 “나를 흥미롭게 하는 것은 예측불허한 것이다” (시그마 폴케6) file 편집부 2022.05.02 111
2119 이윤경의 예술칼럼 도예가들이 펼치는 색채의 향연 - 1 file 편집부 2023.01.06 111
2118 CBHI Canada 건강 칼럼 칼슘과 치매( II) 편집부 2023.02.20 112
2117 이윤경의 예술칼럼 인터섹트 INTERSECT / 가로지르다 - 2 file 편집부 2022.07.11 113
2116 이윤경의 예술칼럼 벨기에 예술가, 피터 스톡만스 Pieter Stockmans – 2편 file 편집부 2022.03.11 116
2115 이윤경의 예술칼럼 젊은 도예가를 위한 프레헤너 도자공모전 – 1 file 편집부 2023.01.06 116
2114 CBHI Canada 건강 칼럼 칼슘과 폐 건강 편집부 2023.01.25 116
2113 허경영 칼럼 허경영 칼럼-1 file 편집부 2023.08.07 116
2112 이윤경의 예술칼럼 퀴퍼스뮐레 현대미술 박물관MKM - 1 file 편집부 2022.04.25 117
2111 최지혜 예술칼럼 “난 예술을 나의 구원과 필요로서 껴안았다” - 니키 드 생팔 2 file 편집부 2023.05.09 117
2110 이윤경의 예술칼럼 도자박물관 틴드스휘어 테헬렌 Keramiekcentrum Tiendschuur Tegelen – 2 file 편집부 2023.02.07 121
2109 최지혜 예술칼럼 “듣는 자가 아닌 실천하는 자가 되시기 바랍니다.” (네빌 고다드의 강의5-2) file 편집부 2022.03.09 125
2108 최지혜 예술칼럼 “나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기 때문에 예술가가 되었다” - 니키 드 생팔 1 file 편집부 2023.05.03 126
2107 런던지점 조부장의 에피소드 런던 한국한교 운동회 참관기 _ 2023.5.27 file 편집부 2023.06.06 128
2106 최지혜 예술칼럼 경계에 서서 돌아보기 ; 바넷 뉴먼, 요셉보이스, 이우환 file 편집부 2023.08.07 129
2105 최지혜 예술칼럼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 사실인가? (시그마 폴케2) file 편집부 2022.03.29 130
2104 최지혜 예술칼럼 설레는 아트 페어 1 – 아트 바젤 홍콩 file 편집부 2023.03.21 130
2103 이윤경의 예술칼럼 벨기에 예술가, 피터 스톡만스 Pieter Stockmans – 1편 file 편집부 2022.03.11 131
2102 최지혜 예술칼럼 사람을 그리는 화가들 1 - 세잔과 마티스 file 편집부 2022.07.11 131
2101 이윤경의 예술칼럼 인터섹트 INTERSECT / 가로지르다 - 1 file 편집부 2022.07.11 133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12 Next ›
/ 11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연락처 | 회사소개 | 광고문의 | 찾아오시는길 copyright@ EKNews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