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경제				 
										2024.09.26 13:29				 올해 8월 ICT 수출 206.0억 불로 무역수지 89.6억 불 흑자
																																			조회 수 589					추천 수 0					댓글 0									 올해 8월 ICT 수출 206.0억 불로 무역수지 89.6억 불 흑자 중국 수출액이 '베트남+미국+유럽+일본'에 수출한 합보다 더 많아 2024년 8월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206.0억 불, 수입은 116.4억 불, 무역수지는 89.6억 불 흑자로 잠정 집계되었다. 지난 8개월동안 중국으로 수출한 액수가 636억불로 전체 ICT단일품목 총 수출액1,488.2억불의 42.74%를 기록했고,무역수지도 279.6억 불에 달해 전체 ICT무역수지 흑자액(306.6억불)의 91.19%를 기록했다.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은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37.6%↑), 휴대폰(60.1%↑), 컴퓨터‧주변기기(144.2%↑)가 수출을 견인하며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하였다. ICT 수출 증감률은 2023년 11월 7.5%↑→ 2024년 1월 25.2%↑→8월에는 28.5%↑가 크게 증가했다. 반도체는 메모리(72.9억불, 71.7%↑) 및 시스템(40.7억불, 2.7%↑)이 동시 증가하며 전체 반도체 수출은 10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했다. 반도체 수출 증감률로는 2023년 11월 10.7%↑→ 2024년 1월 53.0%↑ → 8월에는 37.6%↑가 증가했다. 휴대폰은 완제품(3.2억불, 95.0%↑), 부분품(12.5억불, 53.0%↑)이 동시에 수출이 증가하여 60%가 넘는 증가세를 보였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은 SSD가 월간 수출액 10억불을 돌파(12.5억불, 249.8%↑)하며 주요 수출 품목으로 자리매김했다. 
 꿈의 직장으로 불리던 빅테크 기업에 이어 반도체 업계에서 최근 대규모 정리해고가 이어지고 있다. 인텔이 전세계적으로 18,000여명의 감원을 발표한 데 이어 , 퀄컴, 인피니언, 온세미, IBM 등 글로벌 상위 반도체 기업에서 수백명에서 만명 규모의 정리해고가 결정되면서 전자 업계에 주는 파장이 크다. 기업들은 수익성이 낮은 사업에서는 인력을 과감하게 줄이고, 신사업에 인력을 재배치하는 등 수익구조 개편을 실시함에 따라 대규모 해고를 결정했다. 품목별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반도체가 118.9억불로 37.6% 증가했고, 휴대폰은 15.7억불로 60.1% 증가, 컴퓨터·주변기기는 16.1억불로 144.2%증가한 반면, 디스플레이는 20.1억불로 △5.8% 감소, 통신장비는 1.9억불로 △9.1% 감소했다. 지역별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중국(홍콩 포함)에 83.2억불로 27.0% 증가, 베트남에 32.7억불로 7.5% 증가, 미국에는 25.9억불로 57.6% 증가,유럽연합에는 12.1억불로 44.3% 증가한 반면, 일본에는 3.1억불을 수출해, △17.2% 감소했다. 일본 월별 수출을 살펴보면 2024년 6월 3.3억불(△8.6%) → 7월에는 2.7억불(△34.7%)→ 8월에는 3.1억불(△17.2%)로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여왔다. 지난 8개월동안 수출액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국(홍콩포함)이 636.6억 불(무역수지 +279.6억불)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이 237억 불(무역수지, +147,3억불),미국 176억 불(무역수지 118.9억불), 유럽연합에 81.8억 불(무역수지 +32.4억불), 일본에 24.2억 불(무역수지 -59.5억불:적자)을 기록했다. 8월 한 달동안 ICT 수입 현황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반도체(62.8억불, 18.9%↑)는 증가, 휴대폰(4.9억불, △13.5%), 디스플레이(3.7억불, △9.3%), 컴퓨터·주변기기(9.9억불, △2.0%)는 감소했다. 같은 기간 지역별 수입 현황을 살펴보면 대만(20.0억불, 13.8%↑), 베트남(12.0억불, 9.5%↑), 일본(11.6억불, 11.6%↑) 등은 증가한 반면, 미국(6.8억불, △8.3%), 중국(홍콩 포함, 36.0억불, △17.2%) 등은 감소했다. 한국 유로저널 유형상 선임기자 hsyoo@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 ||||||||||||||||||||||||||||||||||||||||||||||||||||||||||||||||||||||||||||||||||||||||||||||||||||||||||||||||||||||||||||||||||||||||||||||||||||||||||||||||||||||||||||||||



























 한국인들의 자존감 수준, ‘학벌, 경제수준’ 따라 뚜렷한 차이 보여
							한국인들의 자존감 수준, ‘학벌, 경제수준’ 따라 뚜렷한 차이 보여
							 중국 자동차, 고관세국인 미국, 유럽 피해 이스라엘 도착
							중국 자동차, 고관세국인 미국, 유럽 피해 이스라엘 도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