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상반기 ,'수출은 , 수입은 소폭 감소'로 무역수지 소폭 증가
2025년 상반기(1-6월) 수출은 3,347억 달러(△0.03%)로 전년 동기 수준에서 보합세를 보였고, 수입은 3,069억 달러로 1.6% 감소하면서 무역수지는 278억 달러 흑자로 전년 대비 48억 달러 개선되었다.
산업통산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는 15대 주요 수출품목 중 반도체 (733억 달러,전년동기대비 +11.4%), 무선통신(75억달러, +8.5%), 컴퓨터 (59억달러,+12.6%), 선박(139억달러,+18.8%), 바이오헬스(82억달러,+11.0%) 등 5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하였다.
특히, 한국의 양대 수출품중에서 반도체 수출은 DDR5·HBM 등 고부가제품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올해 들어 주요 메모리제품 고정 가격도 반등하면서 전년 대비 11.4% 증가한 733억 달러를 기록, 역대 상반기 기준 최대실적을 경신하였다.
반도체 역대 상반기 수출를 살펴보면 2022년 690억달러(역대 2위)→2023년 432억달러→2024년 657억 달러(역대 3위)→2025년 733억 달러(역대 1위)를 기록했다.
또한, 자동차 수출(364억 달러, △1.7%)은 최대 시장인 미국의 관세 조치 및 현지 전기차 생산 본격화 등에도 불구 하이브리드차 수출 호실적(81억 달러, +29.5%)으로 감소 폭은 제한적이었다.
자동차 역대 상반기 수출를 살펴보면 2022년 243억달러→2023년 356억 달러(역대 3위)→2024년 370억 달러(역대 1위)→2025년 364억달러(역대 2위)를 기록했다.
한편 석유제품(215억 달러, △18.8%)·석유화학(216억 달러, △11.4%) 수출은 유가와 연동되는 수출단가 하락과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수요 감소로 두 자릿수 감소율을 보였다. 철강 수출은 미 관세 조치에도 불구, 물량은 증가하였으나 단가가 하락하면서 금액 기준으로는 5.9% 감소(156억 달러)하였다.
이어
* 일반기계 236.2억달러(△9.4%),
* 철강 156.3억달러(△5.9%),
* 선박 139.4억달러(+18.8%),
* 자동차부품 107.7억달러(△4.8%),
* 바이오헬스 82.0억달러(+11.0%),
* 디스플레이 76.1억달러(△14.4%),
* 무선통신기기 75,3억달러(+8.5%),
* 컴퓨터 58.6억달러(+12.6%),
* 섬유 49.3억달러(△7.5%),
* 가전 37.0억달러(10.6%),
* 이차전지 36.1억달러(△8.9%),
순으로 수출 되었다.
상반기에 지역별로 살펴보면 9대 주요 지역 중 5개 지역 수출이 증가하였다.
2025년 상반기 수출 지역으로는
* 미국 621.8억달러 (역대 2위, △3.7%)
* 중국 604.9억달러 ( △4.6%)
* 아세안지역 576억 달러(역대 2위, +3.8%),
* EU지역 349억달러(역대 2위, +3.9%),
* 일본 139.2억달러(△3.8%)
* 중남미 137.0억달러(△6.1%)
* 중동 98.2억달러 (+3.3%)
* 인도 94.7억달러 (역대 1위, +1.6%)
* CIS 지역 (+13.3%) 순으로 수출되었다.
* 중동지역 98억 달러 (+3.3%),
* 인도 95억 달러(+1.6%),
* CIS지역 62억 달러(+13.3%)순이었다.
한편, 대(對)미국 수출은 양대 수출품목인 자동차·일반기계 수출 부진으로 3.7% 감소한 622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반면, 수입은 0.7% 증가하면서 흑자 규모(263억 달러)는 전년(290억 달러) 대비 26억 달러 축소되었다. 대중국 수출도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 수출 감소로 4.6% 감소한 605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대아세안(576억 달러, +3.8%), 대EU(349억 달러, +3.9%) 수출은 시장별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자동차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하면서 플러스를 기록하였다. 대인도 수출(95억 달러, +1.6%)은 상반기 중 역대 최대실적을 경신하였다.
한편, 2025년 상반기 수입은 1.6% 감소한 3,069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에너지 수입은 저유가 등 영향으로 15.3%(595억 달러) 감소하였으나, 에너지 외 수입은 반도체 장비(+27.6%) 등을 중심으로 2.4%(2,474억 달러) 증가하였다.
한국 유로저널 김한솔 기자 hskim@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