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0월 수출, 일평균 최대치로 5개월 연속 증가
5개월 연속 수출 증가, 반도체 수출 역대 10월 중 최대, 선박도 세 자릿수 수출 증가
미국의 관셰 압박 속에서도 10월 수출은 전년 동월(575억 달러) 대비 3.6% 증가한 595.7억 달러,10월 수입은 전년 동월(543억 달러) 대비 1.5% 감소한 535.2억 달러로 무역수지 흑자는 63.5억 달러를 기록했다.
10월 무역수지는 28.9억 달러 증가한 60.6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으며, 1~10월 누적 흑자 규모는 564.3억 달러로 ‘24년 전체 흑자 규모인 518.4억 달러를 넘어섰다.
10월 수출은 추석 연휴로 인한 조업일 축소(2024년 10월,22일간→2025년 10월,20일, △2.0일)에도 불구, 역대 10월 중 최대실적인 595.7억 달러(+3.6%)를 기록하면서 6월부터 5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일평균 수출(29.8억 달러, +14.0%)은 전 기간 기준 최대치를 경신했다.

2025년도 수출을 월별로 살펴보면 1월 492억 달러(전년대비 △10%)→2월 523억 달러(+0.4%)→3월 581억 달러(+3%)→4월 581억 달러(+3%)→5 월573억 달러(△1%)→6월 598억 달러(+4%)→7월 607억 달러(+6%)→8월 583억 달러(+1%)→9월 659억 달러(+13%)→10월 596억 달러(+4%)를 기록했다.
역대 10월 수출 순위로는 1위는 2025년(596억 달러) → 2위는 2024년(575억 달러) → 3위는 2021년(557억 달러) → 4위는 2023년(550억 달러) 순으로 높았다.
역대 일평균 수출 순위로 1위는 2025년 10월(29.8억 달러) → 2위는 2024년 9월(29.3억 달러) → 3위는 2025년 6월(28.5억 달러) 순으로 많았다.
10월 수출에서 15대 주요 품목을 살펴보면 반도체 수출은 25.4% 증가한 157.3억 달러로, 서버 중심 HBM·DDR5 등 고용량·고부가 메모리의 강한 수요가 메모리 고정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8개월 연속 플러스, 역대 10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하였다. 컴퓨터 수출(9.8억 달러)도 1.7% 증가하면서 3개월간의 마이너스 흐름을 끊고 플러스로 전환되었다.
반도체 수출추이(억달러,%):2025년 1월101억달러(+8%)→2월 96억달러(△3%)→3월 131억달러(+12%)→4월 117억달러(+17%)→5월 138억달러(+21%)→6월 150억달러(+11%)→7월 147억달러(+32%)→8월 151억달러(+27%,역대3위)→9월 166억달러(+22%, 역대1위)→10월 157억달러(+25%,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선박 수출은 해양플랜트(24.7억 달러)를 포함한 46.9억 달러로 세 자릿수 증가율(+131.2%)을 기록하면서 8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석유제품 수출은 국제 제품가격이 보합세를 보이는 가운데, 전년 대비 수출물량이 증가하면서 12.7% 증가한 38.3억 달러를 기록 2개월 연속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월초 장기 연휴로 인해 15대 품목 중 대다수 품목과 그 외 품목 수출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미 관세 영향을 크게 받는 자동차, 자동차부품, 철강, 일반기계, 가전 등의 수출 감소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한국 수출 15대 주요 품목을 수출액 순으로 살펴 보면 반도체 (157.3억 달러,+25.4%), 자동차 (55.5억 달러,△10.5%), 선박 (46.9억 달러,+131.2%), 석유제품(38.3억 달러,+12.7%), 일반기계 (33.3억 달러,△16.1%), 석유화학(31.1억 달러,△22.0%), 철강(22.5억 달러,△21.5%), 무선통신(18.3억 달러,△10.9%), 디스플레이(14.8억 달러,△8.7%), 차부품(15.2억 달러,△18.9%), 바이오헬스(11.6억 달러,△6.2%), 컴퓨터(9.8억 달러,+1.7%), 섬유(7.1억 달러,△16.9%), 가전(5.5억 달러,△19.8%), 이차전지(5.4억 달러,△14.0%) 순으로 높았다.
주요 수출 지역을 살펴보면 중국(115.5억달러, △5.1%), 아세안 (94.0억달러, △6.5%), 미국(87.1억달러, △16.2%), 중남미(47.1억 달러,+99.0%), EU(51.9억 달러,△2.0%), 일본(22.4억 달러,△7.7%), 중동(15.0억 달러,△1.3%), 인도(14.9억 달러,△1.2%), CIS(13.4억달러,+34.4%) 순으로 높았다.
한국 유로저널 이준동 선임기자 jdlee@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