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10명중 3명 , 지난 1 년내 해외 여행 경험
만 13세 이상 한국인 10명중에 9명이 1 년 내 국내 여행 경험 있고, 3명은 해외 여행 경험 있어
한국인들의 여가 활동이 급증하면서 국내외 여행을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화관(69%), 노래방(49%)도 남녀노소 보편적 여가 활동이 되었고, 지난 몇 년사이에 국내외 여행이 급증했다.
한국갤럽이 전국(제주 제외) 만 13세 이상 5,251명에게 최근 1년 내 운동을 제외한 여가 활동 경험(이하 '연간 경험률') 12종 각각의 경험을 물은 결과, 국내여행(91%), 영화관 관람( 69%), 노래방 이용(49%), 찜질방 이용(44%), PC/모바일(이하 '온라인') 게임(3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어 해외여행(34%), 공연장/뮤지컬 관람(32%), 전시회/박물관 관람, 도서관 이용 각각(28%), PC방/게임방 이용(22%), 스포츠 경기장 관람 (20%), 온라인 포함한 바둑(8%) 순으로 나타났다.
해외여행 급증:
연간 경험률 2023년 13%→ 2025년 34%
국내여행,
공연·전시·경기 관람 등도 팬데믹 전보다 활발
2020년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은 2021년 백신 본격 도입으로 공포를 덜었고, 2022년 변이종 확진 급증기를 거쳐 비로소 누그러져 2023년 초 실내·대중교통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됐다. 그해 3월 말 기준 국내 누적 확진자는 3천여 만 명, 한국인 열에 여섯 명꼴이었다. 그로부터 2년이 지난 2025년 올해 상반기 여가 활동 상황은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변화를 한층 뚜렷이 보여준다.
◎ 게임·바둑을 제외한 대부분 여가 활동 연간 경험률이 2년 전보다 늘었다. 팬데믹 이전과 비교하면 활동별 변화 양상이 다르다. 국내외 여행, 공연·전시·경기 관람 등은 팬데믹 전보다 활발하고, 영화관·노래방·찜질방은 회복세지만 예전만 못하며, 게임은 저변 확대 후 유지, 바둑은 거의 변함없다.

◎ 가장 극적으로 부침한 여가 활동은 해외여행이다. 2020년 2월 이전에는 만 13세 이상 소비자 열에 셋(28%) 정도가 연중 한 번은 해외여행을 떠났지만, 2021년에는 그 비율이 6%, 2022년 1%로 위축돼 관련 업계가 매우 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엔데믹기에 접어들며 해외여행 연간 경험률은 2023년 13%로 늘었고, 2025년 34%로 급증해 팬데믹 이전 수준을 뛰어넘었다.
연령별로 1년 내 국내외 여행을 분석해 보면
* 13-19세: 국내:82%,해외:13%
* 19-29세: 국내:92%,해외:42%
* 30 대 : 국내:96%,해외:47%
* 40 대 : 국내:94%,해외:42%
* 50 대 : 국내:93%,해외:38%
* 60 대+ : 국내:88%,해외:26%
한국관광공사 통계 에 따르면 우리나라 내국인 출국자 수는 2005년 1천만 명 수준에서 2016년 처음으로 2천만 명을 넘었고, 2019년 2,870만 명에서 2021년 122만 명으로 급감, 2023년 2,272만 명, 2024년 2,869만 명으로 다시 증가했다.
◎ 공연장에서 공연/뮤지컬 관람 연간 경험률은 2023년 21%에서 2025년 32%, 같은 기간 전시회/박물관 관람은 20%에서 28%, 스포츠 경기장 관람도 12%에서 20%로 늘었다. 모두 팬데믹 이전 수준을 웃돈다.
영화관(60→69%), 노래방(44%→49%), 찜질방(33%→44%) 이용률 증가 폭도 큰 편이지만, 팬데믹 전보다는 못하다. 전자(공연·전시·경기 관람)와 후자(영화관, 노래방, 찜질방)는 실내·스크린에서 벗어난 색다른 공간에서의 오감 체험, 소셜미디어 공유용 인증샷과 후기 생성 측면에서 갈리는 것으로 짐작된다.
◎ 온라인 게임에는 2022년에서 2023년 사이 40·50대 남성과 10·30대 여성 이용자가 추가 유입됐다. 하지만 장소 제약 없는 온라인 게임 특성상 이런 저변 확대가 PC방/게임방에 활력이 되진 않았다.
PC방/게임방은 기존 주 이용자인 젊은 남성 전용 공간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장년 남성이 주로 즐기는 바둑 또한 온라인 게임화되어 팬데믹 전후 변화가 미미했다.
◎ 우리 삶의 시간 자원은 유한한데, 지난 몇 년간 영상 콘텐츠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나도 커지면서 거의 무제한으로 전 세계 영상에 접근할 수 있는
* 유튜브 연간 이용률은 2020년 80%에서 2025년 95%(60대+ 49%→91%)로,
* 넷플릭스·웨이브·티빙 등 유료 OTT 서비스 연간 이용률도 같은 기간 21%에서 67%(20대 45%→90%; 60대+ 3%→36%)로,
* 이미지·숏폼 중심 소셜미디어 인스타그램(2020년 29% → 2025년 45%)과 틱톡(2021년 10% → 2025년 35%)도 늘었다.
한국 유로저널 김한솔 기자 hskim@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