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2025.11.17 14:35
독일인, 정치 및 사회 불안에 해외 이주 증가
조회 수 5 추천 수 0 댓글 0
독일인, 정치 및 사회 불안에 해외 이주 증가 최근 독일에서 자국민의 해외 이주가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독일은 여전히 이민자 유입이 많은 ‘이민국가’지만, 독일 국적자의 해외 이주는 뚜렷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연방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약 11만3000명의 독일인이 독일을 떠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10만1000명보다 증가한 수치로, 독일 전체 인구 대비 수치로 보면 마치 하일브론(Hilbronn) 규모의 도시 인구가 국경을 넘어가듯 상당한 규모다. 독일 일간지 포커스 온라인(Focus Online)은 이같은 현상이 단순한 이동이 아니라 국민 전체의 이탈 움직임임을 전했다. 이주 사례 중에는 유명인사의 사례도 있다. 방송인 베로나 푸트는 최근 두바이로 이주했다고 밝혔으며, 그녀는 높은 치안과 뛰어난 서비스 환경을 이유로 들었다. 실제로 많은 독일인들이 치안 문제를 주요 이유로 해외 이주를 선택하고 있으며, 특히 스위스와 오스트리아가 인기 이주국으로 꼽힌다. 지난해에만 2만1천 명이 스위스로, 1만3천 명 이상이 오스트리아로 이주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주의 동기는 다양하다. 안정된 직업 기회와 안전뿐만 아니라 삶의 방식 변화, 가족 문제 등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독일 연방인구연구소는 이러한 해외 이주가 일시적으로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경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국내 정세는 엇갈린 평가가 지배적이다.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독일 국민의 다수는 현재 집권 연정인 기민당·사민당 연합(흑적 연정)의 국정 운영에 불만을 품고 있다. 독일 공영방송 ARD의 ‘독일 트렌드’ 조사에선 정부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29%에 불과하며, 69%가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이는 연정 출범 이후 최저치로, 정치적 신뢰 저하를 보여준다. 개별 장관 평가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국방장관은 60%의 지지율을 기록한 반면, 라르스 클링바일 재무장관, 배르벨 바스 노동장관, 알렉산더 도브린트 내무장관은 30%대에 머물렀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 역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불신의 핵심 원인은 사회보장 불안과 경제 정체로 분석된다. 연금·의료·돌봄 제도 개혁 기대는 낮고, 에너지 가격 상승, 디지털화 지연, 주택난 등도 불만을 키우고 있다. 여기에 내부 갈등과 관료주의 개혁 지연, 주택 건설 지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정부는 ‘권력 다툼에만 몰두한다’는 인식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정치·사회적 불만이 결국 독일인들의 해외 이주를 촉진하고 있으며, 이는 부유층이나 유명인뿐만 아니라 평범한 시민들 사이에서도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독일 유로저널 김지혜 기자 jhkim@theeurojournal.com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