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한 마디로 천 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이나,세 치 혀가 사람을 살리기도 하고 죽이기도 한다는
옛말이 무섭도록 실감이 가는 요즈음이다. 
그 말을 뱉고 난 뒤에 생각이나 가치관이 급격히 바뀌었을 지라도, 이미 뱉고 난 말은 바뀔 수 없다.
결국, 그 말을 내뱉은 당사자가 더 이상 그 말에 본인 자신조차 동의하지 못한다고
해도 어쩔 수 없이 본인이 그 말에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다. 
사실,
이렇게 말 한 마디로 인해 인생의 파도를 경험하는 이들은 결국 말을 잘 하는 이들, 또 많은 이들이 그 사람의 말에 귀를 많이 기울여주는 경우다. 
원래 말이 없거나 말을 잘 못하는 사람은 이렇게 말 한 마디로 인해 삶에
어떤 영향을 받을 기회가 없다. 
그러나,
말을 잘 하는 사람들, 그 사람의 말에 귀를 기울여주는 이들이 많은 경우는 말 한
마디로 부와 명예, 그리고 인기도 얻을 수 있다. 말을 잘 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하늘이 주는 재능과도 같기에.
하지만,
그런 만큼 위험 부담도 크다. 사람은 언제나 자신이 잘 하는, 또 많이 하는 일에서 실수가 나오는 법이기에. 
아예 못하는 일, 혹은 거의 하지 않는 일을 하다가 실수를 하는 경우는 없다. 그 만큼 시도 자체를 거의 안 하고, 어쩌다 시도를 하더라도 극도로 조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본인 스스로 잘 한다고 여기는 일, 또 남들로부터도 잘 한다고 인정을 받는 일,
그래서 자주 하는 일을 하다보면 오히려 실수가 나올 수 있다. 잘 하고,
또 자주 하는 일이기에 조심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자칫 주변 분위기에 도취되거나 스스로 감정조절이 안 되어서 적정 수위를
넘는 말을 내뱉게 되면, 그리고
그것이 어떤 형태로든 기록으로 남게 되면, 그 말은 이제 그 말을 내뱉은 사람의 인생에 본인 스스로 묻어둔
지뢰가 된다. 
그리고,
언제,어떤 상황에서라도 그 지뢰를 밟게 되어 터지는 날에는, 즉 자신이 내뱉은 적절치 못한 말 한 마디가 자신에게 불리한 상황에서 공개가 되는 날에는 그야말로 한 방에 훅 가는 셈이다.
그렇게 말 한 마디로 한 방에 훅 가는 사람들을 보면서, 문득 지금 이렇게 내가 쓰고 있는 글도 정말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말을 많이 하는 사람이 결국 말 실수를 하는 것처럼, 나 역시 글을 많이는 아니지만 그래도 오래
썼기에 분명 글 실수를 할 위험성이 높다. 
물론,
내가 무슨 대단한 사람도 아니고, 내 글을 읽는 사람이 엄청 많은 것도 아니지만,
어쨌든 이렇게 공개된 경로를 통해 글을 쓰는 만큼, 비록 단 한 명이 내 글을 본다고
해도,어쨌든 나 역시 내가 쓴 글에 책임을 져야 하는 입장인 것이다. 
벌써
5년이 넘도록 쓰고 있는 ‘서른 즈음에’ 지난 이야기들을 읽다보면, 또 그 외에
이렇게 저렇게 쓰게 된 나의 글들을 보면 크게 수위를 벗어난 것은 아니더라도, 솔직히 고치고 싶거나 지우고
싶은 글들이 있다. 
어줍잖은 지식과 의견으로 무언가,혹은 누군가에 대해 함부로 판단하거나 비판한
글들, 혹은 내 감정과 기분에 사로잡혀 그 순간의 속마음만 토해놓은 글들... 
글을 쓰면서 아무리 나름대로 수정을 하고 검열(?)을 한다고 해도, 결국 스스로를 냉정하게 조절하는 것은 가장 어려운 일이기에 지금 보면 부끄러워지는 글들을 당시에는 깨닫지 못한 채 써버린 것이다.
게다가,
변명 아닌 변명을 하자면 ‘서른 즈음에’에는 가장 솔직한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 그래서, 글을 쓴 당시의 내 생각이나 감정들이 여과없이 묻어있다.
때로는 내 속에서 고민이,갈등이, 슬픔이 요동을 치는데, 아무 일도 없는 척 다른 얘기를 꺼낼 수가 없었다.
그래서,
이미 서른이 훌쩍 넘어버린 지금도 마치 사춘기 청소년처럼 내 속에서 파도가 칠 때 어쩔 수 없이 나는 ‘서른 즈음에’에
그 철 없는 방황의 흔적을 남기곤 한다.
누군가는 그런 내 글을 보면서 철 없다고,한심하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고,
또 누군가는 지난 시절 비슷한 방황을 했던 기억을 떠올리며 나를 귀엽게(?) 봐주실
수도 있을 것이고, 또 동년배의 그 누군가는 내 글을 읽는 순간 나와 같은 방황을 하고 있었기에 공감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어쨌든,
혹시나 내가 글을 통해 나도 모르게 수위를 넘는 발언을 하거나, 그야말로 훗날 한
방에 훅 갈 수 있는 이야기를 했다면, 정말로 그렇게 한 방에 훅 가기 전에 먼저 여러분들로부터 따끔한 지적과
충고를 받을 수 있길 간절히 바랄 뿐이다. 
 
 영국과의 인연 혹은 운명
							영국과의 인연 혹은 운명
							
						
					 Never too old to play
							Never too old to play
							
						
					 크리스마스 트리
							크리스마스 트리
							
						
					 친구 (3)
							친구 (3)
							
						
					 한국전 참전용사의 한 마디, “Remember us!”
							한국전 참전용사의 한 마디, “Remember us!”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