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대중적 시술된 뼈이식 임플란트, 방법 다양

by eknews posted May 02, 201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대중적 시술된 뼈이식 임플란트, 방법 다양

853-건강 4 ekn 사진.jpg

치아 관리를 잘못하면 충치가 심해져 발치까지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자연치아를 도저히 살릴 수 없을 때 인공치아를 만드는 임플란트 시술은 이제 대중적인 시술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아무리 인공치아를 심으려 해도 심을 수 있는 뼈가 부실하면 임플란트 조차 어려운데,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뼈이식 임플란트’이다. 잇몸 뼈에 염증의 정도가 너무 심하거나 앞니가 빠졌을 경우 시행하며, 특히 노인들의 경우 치아가 빠진 후 오래 방치되어 가라앉은 잇몸 때문에 임플란트를 심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아 뼈이식 임플란트의 주요 대상이 된다. 뼈이식 임플란트란 환자 자신의 뼈나 타인의 뼈, 또는 인공뼈를 이용해 임플란트를 심을 수 있는 충분한 잇몸 뼈를 형성해주는 시술을 말한다. 뼈이식 임플란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자가뼈이식 임플란트 

대중적 시술된 뼈이식 임플란트, 방법 다양 임플란트가 필요한 위치의 치아를 발치한 후 발치된 치아를 이용해 뼈이식을 하는 것이다. 장점은 자신의 뼈를 이식하는 것으므로 거부반응이 적고 시술 시간이 단축 될 수 있으며 신생골 형성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발치한 치아를 재료로 사용하기까지의 가공이 복잡하고 어려워 인공 뼈이식에 비해 비싸며 타부위에서 채취시 통증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인공골 임플란트

인공골은 합성골이라고 불리며 대부분 분말 형태로 식염수와 섞어서 사용한다. 장점은 자체가 특수한 가공과정을 거쳐 나오는 재료이기 때문에 시술이 쉬워 자가뼈이식보다 가격이 저렴하지만 자가뼈 임플란트에 비해 골 융합이 떨어져 신생골의 생성이 늦어질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인공골로 사용되는 소재는 다양하다. 한상운 치과 전문의는 "임상에서는 β-tricalcium phosphate(β-TCP)와 HA가 주 성분인 합성골을 사용하며 이 두 성분의 비율에 따라 물성이 달라지므로 회사마다 약간 혼합비율이 차이가 있다"고 설명한다. 인공골 임플란트는 사람 뼈와 같은 성분으로 만들어져 생체 친화성과 골전도성이 좋다. 또 이식 후 정상 뼈가 자라면 체내에 흡수돼 사라지기 때문에 별도의 시술이 필요없다고 알려져 있다.

이종골&동종골 임플란트

이종골은 동물의 뼈를 의미하며 보통 송아지뼈를 많이 사용한다. 동종골은 타인 혹인 사체의 뼈를 말한다. 이종골과 동종골 모두 다른 뼈를 사용하기 때문에 위생처리 과정이 매우 엄격하며, 골 자체의 질이 자가뼈 보다는 떨어진다. 하지만 자가뼈이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다.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뼈이식 종류를 선택해 임플란트를 했다면 그에 따른 관리도 중요하다. 임플란트는 외부로부터의 방어와 재생에 관여해주는 치주인대가 없기 때문에 관리 소홀할 경우 잇몸질환에 매우 쉽게 이환될 수 있다. 또 일단 잇몸질환에 이환되면 자연치아에 비해 급속도로 뿌리 끝까지 진행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임플란트 후 관리법

1. 임플란트 후 1년 이내에는 3개월에 한번, 1년 이후에는 6개월에 한번정도는 치과를 방문한다. 2. 마른 오징어, 쥐포 등 단단하고 질긴 음식은 피한다. 3. 치간칫솔, 치실 등을 활용해 임플란트 사이사이를 칫솔질한다. 4. 임플란트 시술 전후로 반드시 금연한다.

유로저널 안하영 기자 

eurojournal16@eknews.net

유로저널광고

Articles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